본문으로 이동

사용자:Go5000/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충청남도 축산기술연구소(忠淸南道 畜産技術硏究所, CHUNGCHEONGNAM-DO LIVESTOCK RESEARCH INSTITUTE)충청남도청 사업소로서 1941년 8월 1일 대전유성에서 충청남도 종양장으로 발족하였으며, 1945년 3월 31일에 충청남도 종축장으로 개칭하였으며, 1999년 6월 21일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축산시험장으로 개칭, 2000년 8월 1일에 충청남도 축산위생연구소와 통합했으며, 2006년 4월 20일에 충청남도 축산기술연구소[1]로 조직 확대 개편하여 현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큰백길 117-75(학암리) 일원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조직 및 인력[편집]

조직[편집]

축산기술연구소는 두개의 과(종축개량과[2], 축산연구과[3])로 이루어 졌으며, 종축개량과에는 서무팀,기술지원팀, 종돈개량팀[4]으로 이루어 졌으며, 축산연구과는 시험검정팀, 생명공학팀[5]으로 이루어졌다.

종축개량과[2][편집]

  • 서무팀은 예산편성 및 운영, 공유재산 관리, 청사 시설 및 환경정리를 담당하는 부서다.
  • 기술지원팀은 시군 축산관계 공무원 교육 및 축산기술 협의회 운영, 풀사료 분석 기관운영을 담당하는 부서다.
  • 종돈개량팀은 종돈관리,검정 및 생산보급, 돼지 수정란 생산 및 이식, 양돈관련 시험 연구를 담당하는 부서다.

축산연구과[3][편집]

  • 시험검정팀은 한우 사양관리 및 송아지 분양, 충남형 한우 보증 종모우 생산, 한우 친자감별 검사 및 분석을 담당하는 부서다.
  • 생명공학팀은 한우 수정란 생산 및 보급, 동물 유전자 은행 운영, 재래우(칡소)및 재래닭 증시을 담당하는 부서다.

인력[편집]

축산기술연구소 직원은 일반직(소장,과장 등),연구사(과장 등),공무직,실무원등으로 이루어 졌다.

축산기술연구소 직원[5]

일반직 공무직 실무원
4급 5급 5급연구관 6급 7급 연구사 8급 9급
정원 35 1 1 1 1 5 5 1 3 13 4

재산 및 종축 현황[6][편집]

부지 및 건물(2018년 1월 현재)[편집]

총면적 634,000m²의 부지를 가지고 있으며, 건물(동)이 20개가 위치하고 있다.

종축 현황(2018년 1월 현재)[편집]

돼지는 총1098두(종모돈사 21두,임신사 171두, 분만사 222두, 자돈사 441두, 비육사 119두, 검정사 84두, 청정사 10두, 격리사 30두)이며, 소는 총 230두(한우 204두, 칡소 26두), 닭은 총 580수 를 키우고 있다.

주요기능(업무)[7][편집]

축산기술연구소는 축산환경 변화에 따른 연구개발 추진 하며 축산기술 제공을 통한 농가 생산성 향상에 도움되고자 하며, 우량종축 생산·보급 및 가축유전자원 운영을 하고 있다.

축산환경 변화에 따른 연구개발 추진[편집]

  • 고능력 모돈(산자수) 선발 관련 자궁내 단백질 연구
  • 한우 유전능력 평가체계 구축
  • 번식우 선발 및 임신적기 측정을 위한 분자마커 개발(신규)
  • 부식산을 활용한 양돈분뇨 퇴·액비 부속도 연구(신규)
  • 친환경축산을 위한 학취저감 효능 시험(신규)
  • ICT[8]를 활용한 축산농가 생산성 향상 시범사업(신규)

축산기술 제공을 통한 농가 생산성 향상[편집]

  • 한우 송아지 친자감별체계 기반구축 및 한우개량 촉진
  • 동계 풀사료 품질검사 서비스 제공
  • 축산공무원 현장교육을 통한 가축관리 실무능력 향상
  • 보증종모우(씨수소) 생산을 통한 한우개량 촉진

우량종축 생산·보급 및 가축유전자원 운영[편집]

  • 우량종축 및 한우 수정란 생산·보급
  • 한우(칡소), 재래계 등 토종가축 유전자원 보존
  1. “자치법규정보시스템”. 
  2. “조직도”. 
  3. “조직도”. 
  4. “홈페이지”. 
  5. “홈페이지”. 
  6. 축산기술연구소 (2018.4.16). 《2018년도 업무처리 매뉴얼》. 
  7. “자치법규정보시스템”. 
  8. “네이버 사전”. 《네이버 전자사전》. 2018.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