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Bbhsh/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제:한국야구에 대한 것

-야구의 정의

└야구란 9명으로 구성된 팀끼리 9회까지(동점일 경우 12회)까지 공격과 수비를 번갈아가며 하여 점수를 더많이 얻은팀이 이기는 스포츠 경기이다(12회까지 동점일경우 무승부로).
한국야구의 역사
└1901년도에 필립 질레트라는 미국인 선교사가 한국에와서 1905년에 자신이 설립한 청년회 회원들에게 미국에서 하는 공놀이인 야구를 가르치면서 시작되었다. 야구의 도입은 1905년도 보다 먼저인 일본이 조선을 침입하면서 전국에 일본인 팀들 만들어 경기를 했지만 한국인이 하는게 아니라 한국야구의 시작이라고 할수는 없다.

-한국 프로야구의 시작

└ 야구가 프로화 되기 시작된 것은 1981년부터인데 그당시 문화방송이 20주년을 맞으면서 김동엽을 중심으로 프로야구 창단을 기획하게 되었다. 
프로화 작업이 시작된 것은 1981년 5월부터이다. 준비위원들은 공동채산제,제일동포선수 영입,지역권보장,대기업 중심 등의 원칙을 가지고 계획을 세우고 창단팀을 설립하였다.

창단팀은 충청남북도인 OB베어스, 전라남북도인 해태 타이거즈 인천,경기도,강원도인 삼미 슈퍼스타즈 경상북도인 삼성 라이언즈,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인 롯데 자이언츠 서울특별시의 MBC청룡 이렇게 6팀이였다. 하지만 이떄 OB베어스는 3년후 1985년도에는 서울로 옮기고 충청남북도에 새팀을 만들기로 하였다. 그런후 1981년 12월 11일에 창립총회를 가지고 한국 프로야구의 출범을 알렸다. 이렇게 구단주~선수까지 본거지 출신으로 구성하면서 지역특성을 가지며 1982년 3월27일 MBC청룡 대 삼성 라이언즈의 경기로 개막전이 시작되면서 한국 프로야구 역사의 시작을 알렸다.

-역대 프로야구 팀들과 특징

①두산 베어스(OB 베어스) 1982~현재

서울 특별시를 연고지로 삼고있으며 LG트윈스와 함께 잠실 종합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1982년도부터 1998년도까지 OB베어스 였지만 OB맥주가 인수되면서 현재 팀이름인 두산 베어스로 바뀌게 되었다.
현재는 수용인원이 26000명인 잠실 종합운동장을 사용하지만 1982~1984년도에는 한밭종합운동잡 야구장과 청주 야구장을 사용하였고 1985년도에는 서울로 오면서 동대문 야구장을 사용하였다가 1986년도 부터는 현재사용하는 잠실 종합운동장을 사용하고있다,
두산의 마스코트는 곰으로 부터 이미지를 따온 철웅이이다.  
그리고 두산은 영구결번의 선수가 2명이 있는데 54번인 김영신과 21번의 박철순이 있다. 마지막으로 두산 베어스는 1982,1995,2001,2015,2016년도 총 5번 한국시리즈 우승을하며 기쁨을 만끽하였다.
또한 기아타이거즈와 함께 1980,1990,2000,2010년도에 한번씩 우승을 해본 팀으로 유명하다.

②롯데 자이언츠 1982~현재

부산 광역시를 연고지로 삼고있으며 사직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는 26800명을 수용하는 사직구장을 사용하지만 1982~1985년도에는 구덕야구장을 사용했으면 1982~2011년도에는 마산야구장을 같이쓰고, 2014~현재는 울산 문수야구장을 같이 사용하고있다.
롯데의 마스코트는 갈매기로부터 이미지를 따온 누리, 피니, 아라가 있다,
롯데는 11번인 최동원 선수가 유일한 영구결번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롯데 자이언츠는 1984,1992년도에 한국시리즈 우승을 한 경험이 있다.

③삼성 라이온즈 1982~현재

대구 광역시를 연고지를 삼고있으며 삼성 라이온즈파크를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는 29000명을 수용할수있는 삼성 라이온즈파크를 홈구장으로 사용하지만 1982~2015년도에는 대구 시민운동장 야구장을 사용하였다.
삼성의 마스코트는 사자로부터 이미지를 가져온블레오,핑크레오,레니,라온이 있다. 
삼성은 영구결번으로 10번 양준혁,22번 이만수,36번 이만수 이렇게 총 3명이 있다. 삼성 라이온즈는 1985,2002,2005,2006,2011,2012,2013,2014년도 총 8번 한국시리즈를 우승하였다.

④LG 트윈스(MBC청룔) 1982~현재

서울 특별시를 연고지로 삼고있으며 두산베어스와 함께 잠실 종합운동장을 홈구장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1982~1989년도까지 MBC청룡이였지만 1990년도 LG가 인수하면서 시작되었다.
현재는 26000명을 수용할수있는 서울 잠실 종합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지만 1982~1989년도 까지는 동대문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였다.
LG는 쌍둥이를 이미지한 럭키,스타 인 마스코트가 있다. 또한 9번 이병규,41번 김용수 총 2명의 영구결번 선수가 있다. 하지만 LG는 아직까지 한국 프로야구 최우수 선수가 나온적이 없다는 불명예를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1990,1994 년도 총 2번 한국시리즈 우승을 한 경험이 있다.

⑤삼미 슈퍼스타즈

인천, 경기도, 강원도 지역을 연고지로 삼고있으며 인천 공설운동장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였다.
마스코트로는 슈퍼맨이 있었다. 1985년도 삼미는 개막전1승후 1달동안 18연패 한후에 연패를 탈출하였지만 시즌 도중 경영난으로 인하여 70억에 구단을 청보에 매각하면서 단한번도 우승한적도 없이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⑥청보 핀토스

인천 경기도 강원도 지역을 연고지로 삼은 삼미를 인수하면서 역시 인천 공설운동장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였다.
마스코트로는 조랑말이 있다. 하지만 청보는 3년이 되지도 않는 시즌을 보낸후에 그룹이 도산하여 팀이 사라지게되어 영구결번, 한국시리즈 우승처럼 뛰어난 활동을 한적이 없이 끝나게 되었다.

⑦태평양 돌핀스

인천 경기도 강원도 지역을 연고지로 삼은 청보를 인수하면서 인천 공설 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였다.
마스코트는 돌고래 였으며 1988~1995년도 까지는 인천운동장을 사용하면서 1989~1995년도에는 수원 운동장도 같이 사용하였다.
팀이 별다른 활약이 없었어 처음년도 순위는 낮았지만 다음년도에 투수진의 활약으로 3번째 인천을 연고지로 하는팀중에 처음으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었다.
하지만 1995년후에 매각을 결정하면서 프로야구 사상 최고액인 470억에 현대에 인수하게 되었다.

⑧현대 유니콘즈

인천, 경기도,강원도 지역을 연고지로 삼았던 태평양 돌핀스를 인수하면서 인천공설 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였다.
1996~1999년도까지는 인천공설 운동장을 사용한 후에 2000년도 부터 서울특별시로 연고지를 옮길려고 하였지만 구단의 재정난 으로 인하여 수원시를 임시 연고지로 정하면서 수원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현대 유니콘즈의 마스코트는 유니와 코니였다. 현대는 첫해부터 준우승을하는등 기대감을 보여 과감한 지원으로 3년만에 한국시리즈 우승을 하였지만 재정난으로 인해 지원이 끊겨 팀의 핵심자원등이 팀을 떠나게 되면서 성적도 떨어져 결국 해채하게되었다,
하지만 현대는 1998,2000,2003,2004년도에 짧은 기간동안 4번이나 우승하는 장면을 보여주었다.

⑨우리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현대 유니콘즈 해체후 재창단 형식으로 인수한 구단으로 서울 특별시에 있는 목동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였다.
마스코트로는 가장유명한 턱돌이를 선두로 동글이와 돔돔이도 있다. 처음에는 담배회사인 우리담배가 인수하였지만 2008시즌중 구단의 kbo가입금 미납을 이유로 스폰서 계약을 해지하여 히어로즈 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게 되었지만 그로인해 자금난 부족으로 선수를  돈으로 팔게 되는일도 생기게 되었다. 2009년도 시즌후에 서울 히어로즈로 활동하려했는데 2010년2월에 넥센타이어와 스폰서 협의를 받아 넥센 히어로즈로 활동하게 되었다. 
넥센히어로즈는 2008~2015년도까지 17000명을 수용하는 목동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였지만 2016년도부터는 한국 최초의 돔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면서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다.
하지만 넥센은 플레이오프에는 진출하였지만 단한번도 아직 한국시리즈 우승을 한적이없어 우승을 꿈꾸는 팀이다.

⑩sk와이번즈

인천광역시를 연고지로하는 팀으로 인천sk행복드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마스코트로는 아테나와 와울이 있다. sk는 2000~2001까지 숭의야구장을 사용하였지만 그후로는 현재의 홈구장인 행복드림구장을 쓰고있다. 
sk는 영구결번으로는 단한명의 선수를 가지고있는데 26번을 사용하고 있는 박경완선수 한명이다. 또한 야구의신이라 불리는 김성근감독아래에서 2007,2008,2010년도에 한국시리즈 우승을 하기도 하였다.

⑪한화 이글스(빙그레 이글스)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북도를 연고지로 하는 구단으로 한화생명 이글스파크를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1986연도에 처음 구단이 설립되었을떄는 빙그레 이글스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지만 1993년도부터는 한화이글스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1986~현재까지 환화생명 이글스파크를 쓰지만 그와함께 청주야구장도 같이 사용하고있다. 한화이글스는 3명의 영구결번이 있는데 21번 송진우,26번 정민철, 35번 장종훈이 있다.
한화는 오랜기간동안 플레이오프에 많이 진출하였지만 1999년도에 한번 우승하게 되었다. 현재는 하위권에 맴돌고 있어 팬들의 실망이 크지만 언젠가는 다시 올라갈수 있을것이다.

⑫쌍방울 레이더스

전라남도를 연고지를 하는 팀으로 전주종합운동장과 군산월명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였다.
처음에는 1990년에 창단한후에는 2군부터 시작하였지만 다음해에 1군에 등장하면서 정규리그에 참여하게 되었다.
하지만 1997년도에 IMF로인해 쌍방울이 부도가 나게되어 선수를 현금과 트레이드 하는일이 발생되어 결국 2000에 해체가 되었다. 그로인해 쌍방울은 우승도 없고 구단도 오래가지않아 영구결번선수 또한 없다.

⑬KIA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

광주광역시 전라남도북도를 연고지로 하는 구단으로 기아 챔피언스필드를 홈구장으로하는 구단이다.
1982년도에는 같은연고지인 해태 타이거즈였는데 해태타이거즈는 1982~2001년도까지 운영했다. 해태 타이거즈는 1982~2001년도까지 광주무등경기장과  전주종합운동장을 사용하였다(1982~1989)
또한 마스코트는 호돌이와 호순이가 있다. 또한 해태타이거즈는 한국시리즈에 올라가면 한번도 진적이 없는 기록을 세웠다. 그리고 1983 1986 1987 1988 1989 1991 1993 1996 1997년도에 한국시리즈우승을하여 총9번 우슬을 하였다.
2001년 8월에 기아가 인수를 한 후에는 우승을 한적이 없다가 2009년도에 우승을하고 2017년도에 우승을 하면서 한국시리즈 진출하면 무조건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어어갔으며 두산과 더불어 1980,1990,2000,2010년도에 우승을 한 팀으로 남아있다.
또한 이렇게 11번이나 우승을 했기 떄문에 팀에 영구결번이 많을 것 같지만 2명만 있는데 7번 이종범과 18번 선동열이 있다.

⑭NC다이노스

경상남도 창원시를 연고지로 삼고있는 구단으로써, 창원마산종합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삼고있다.
2012년도에 처음으로 2군에 등장하여 그다음해인 2013년도에 1군에 등장하게 되었다. NC는 2013년도에 1군에 올라왔찌만 2017년까지 5년동안 포스트시즌에 4번이나 올라올만큼 짧은기간동안 엄청난 힘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아직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을 한적이 없어 우승을 간절히 바랄것이다. NC는 구단 운영기간이 짧아 영구결번이 없을것 같지만 4.16일에 세월호 침몰사고가 일어나 4,16번이 영구결번이 되었다.

⑮Kt위즈

경기도 수원시를 연고지로 삼고있는 구단으로써, Kt위즈파크를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구단이다.
Kt위즈는 영어 대문자를 사용하는 구단들에비해 소문자를 사용하는 유일한 구단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원래 현대 유니콘즈가 쓰던 수원야구장을 개량하여 사용중이다.
이 구단은 가장 최그인 2014년도에 2군에 출범하여 다음해인 2015년도에 1군에 등장한 팀이다. 하지만 새롭게 올라온 팀인만큼 2015년도부터 2017년도 까지 꼴등만 하고있어 2018년도에는 꼴찌를 넘어설것인지 주목하는 팀이다.

-역대 KBO MVP(한국프로야구 최우수상 선수)

원래는 한국프로야구 최우수상 선수였지만 한국야구위원회의 브랜드 아이덴티티화로인하여 KBO MVP로 바뀌었다.

1982 박철순 OB 베어스 투수 다승, 평균자책, 승률 1위 / 탈삼진, 구원 2위 1983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포수 홈런, 타점 1위 / 출루율, 장타율 6위 1984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투수 다승, 탈삼진 1위 / 평균자책, 승률 4위 1985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1루수 홈런, 안타 1위 / 타점, 장타율 2위 / 타율, 출루율 3위 1986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투수 다승, 평균자책, 탈삼진 1위 / 승률 2위 / 구원 3위 1987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외야수 타율, 출루율 1위 / 장타율 4위 / 타점 6위 /1988 1988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1루수 홈런, 타점, 안타, 장타율 1위 / 타율 3위 1989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투수 다승, 평균자책, 탈삼진, 승률 1위 / 구원 3위 1990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투수 다승, 평균자책, 탈삼진, 승률 1위 / 구원 4위 1991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1루수 홈런, 타점, 안타, 장타율, 출루율 1위 / 타율 3위 1992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1루수 홈런, 타점, 장타율 1위 / 출루율 3위 1993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1루수 홈런, 타점 1위 / 장타율 2위 / 출루율 3위 / 안타 4위 / 타율 6위 1994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유격수 타율, 도루, 안타, 득점, 출루율, 장타율 1위 / 홈런 4위 / 타점 5위 1995 김상호 OB 베어스 외야수 홈런, 타점 1위 / 안타 5위 / 장타율 7위 1996 구대성 한화 이글스 투수 다승, 평균자책, 승률, 구원 1위 / 탈삼진 3위 1997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1루수 홈런, 타점, 안타 1위,/ 타율 2위 / 장타율 4위 1998 타이론 우즈 OB 베어스 1루수 홈런, 타점 1위 / 장타율 2위 / 출루율 6위 / 타율 8위 / 안타 9위 1999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1루수 홈런, 타점, 득점, 출루율, 장타율 1위 / 안타 9위 2000 박경완 현대 유니콘스 포수 홈런 1위 / 출루율 3위 / 타점 7위 2001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1루수 홈런 1위 / 장타율, 득점 2위 / 타점 8위 / 출루율 9위 2002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1루수 홈런, 타점, 득점, 장타율 1위 / 안타, 출루율 2위 / 타율 3위 2003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1루수 홈런, 타점, 득점 1위 / 장타율 2위 / 출루율 3위 2004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투수 다승, 승률 1위 / 평균자책 3위 / 탈삼진 4위 2005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투수 다승, 평균자책, 승률 1위 2006 류현진 한화 이글스 투수 다승, 평균자책, 탈삼진 1위 / 승률 2위 2007 다니엘 리오스 두산 베어스 투수 다승, 평균자책, 승률 1위 / 탈삼진 2위 2008 김광현 SK 와이번스 투수 다승, 탈삼진 1위 / 평균자책 2위 2009 김상현 KIA 타이거즈 3루수 홈런, 타점, 장타율 1위 2010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3루수 홈런, 타율, 타점, 득점, 안타, 출루율, 장타율 1위 2011 윤석민 KIA 타이거즈 투수 다승, 평균자책, 탈삼진, 승률 1위 2012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1루수 홈런, 타점, 장타율 1위 2013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1루수 홈런, 타점, 장타율, 득점 1위 2014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2루수 타율, 안타, 득점 1위 / 도루 3위 2015 에릭 테임즈 NC 다이노스 1루수 타율, 출루율, 장타율, 득점 1위 / 홈런 3위 / 도루 5위 2016 더스틴 니퍼트 두산 베어스 투수 다승, 승률, 평균자책 1위 2017 양현종 KIA 타이거즈 투수 다승 1위 / 승률 2위 / 탈삼진 3위 / 평균자책 5위

삼성과 기아가 9번으로 가장 많은 선수가 받았고 3번쨰로는 두산이 5명,4번째로는  한화가4명, 5번쨰로는 롯데와넥센이 3번,7번째로는 현대와 SK와NC가 1번이 있고 아직 Kt와 LG는 받은 선수가 없다. 

-FA구도

한국 프로야구는 시즌이 끝난후 FA로인해 경기가 없어도 인기를 가지고 있다.

FA란 한국 프로야구의 자유계약 선수제도인데, FA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2가지의 방법이 있다.
① 타자의 경우에는 매 시즌 정규시즌 경기 수의 2/3 이상 출전, 투수는 규정 투구 횟수의 2/3 이상을 투구한 시즌이 9시즌동안 했을때 받을수 있다. (정규리그 1군 등록 일수가 145일(2006년 이전은 150일) 이상인 경우에는 1시즌으로 간주)
②4년제 대학을 졸업(대한야구협회에 4년간 등록)한 선수는 위에있는 조건이 8시즌동안 한다면 FA 자격을 얻게 된다.
선수가 FA자격을 얻게된다면 구단들과 계약을위해 협상을 해야하는데 정해진 기간이있다. 

① 바로전에 있었던 소속구단과의 계약 체결 협상기간 - 공시 다음날부터 7일 이내에 가능하다.(다른구단과의 접촉을 막아,선수의 마음을 잡기위해 원구단에 기회를 주는 단계이다.) (11월 10일 ~ 11월 16일) ② 전소속구단외의 다른 구단과의 계약 체결 협상기간 - 전소속구단과 계약체결 협상기간 종료 이후에 7일 이내동안 가능하다. (11월 17일 ~ 11월 23일) ③ 모든 구단과의 계약 체결 협상기간 - 기타 구단과의 계약 체결 협상기간 이후 익년도 1월 15일까지 (11월 23일~1월 15일) ④ FA 선수가 1월 15일까지 계약 체결을 못할 경우 - 총재가 자유계약선수로 공시 (당해년도 타구단 계약 가능으로 2013년부터 변경) 만약에 FA로인해 원구단 이외에 다른구단이 선수와 계약을한경우 선수를 얻은구단에서는 원구단에 보상을 해주어야하는데, 그 보상에는 2가지가 있다. 첫번쨰로는 20명 보호선수, 군보류선수, 당해년도 FA 계약선수, 외국인선수를 제외하고 원래의 소속구단에 보상선수 명단제시 하여 원구단에서는 이 보상선수중에 선수1명과 계약선수의 전년도 연봉의 200%를 받거나 계약선수의 전년도 연봉 300%중 1가지를 고를수있다. 요새 프로야구에는 FA대박을 치는 선수들이 늘고있는데 그중에 롯데가 강민호를 잡을떄 4년에 75억을 주면서 시작이되었다. 그중에는 2016년도에 삼성의 최형우가 4년에 100억에 KIA로 가면서 처음으로 100억이 넘는 선수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일본프로야구와 한국프로야구의 차이점

일본야구는 센트럴리그와 퍼시픽리그라고 불리는 양대리그에 각 여섯개 팀씩 총 열두개 팀이 있습니다. 각리그에서 성적에 따라 A클래스 B 클래스로 나누는데요 1~3위가 A 클래스이고 4~6위가 B클래스이다. 본래 일본프로야구의 플레이오프는 각 리그의1위끼리 붙어서 우승자를 결정하는 일본시리즈였지만,2~3년 전부터 우리나라의 플레이오프처럼 각리그의 2위와 3위가 붙어 이긴팀이 1위랑 붙은후 각리그의 우승팀을 정한후에 일본시리즈를 하게 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에는 돔구장이 넥센히어로즈가 쓰는 고척돔구장 1개인데 일본은 도쿄돔을 중심으로 6개의 프로팀이 돔구장을 사용하고있다. 또한 한국프로야구는 3명의 외국인선수가 있고 2명의 선수가 출장가능하지만 일본은 4명의 외국인선수가있고, 4명의선수 모두가 경기에 뛸수있다. 하지만 한국과같이 모든선수가 타자인 포지션이면 불가능하다.

-미국프로야구와 한국프로야구의 차이점

미국프로야구는 메이저리그와 마이너리그가 있는데 한국프로야구와 같은 1군인 메이저리그에는 총30개의 팀이 있는데 일본과같이 그팀을 2개의 리그인 아메리카리그와 내셔널리그로 15개 팀씩 나눈다. 또 각각의 리그에는 동부지구,서부지구,중부지그 이렇게 3개의 지구로 나누어 경기를 한다. 메이저리그는 정규시즌과 인터리그를 합쳐 총162경기를한다. (인터리그:각각년도에따라 다르게 동부지구는 동부지구끼리 하거나 동부지구와 서부지구가 경기를 한다.) 하지만 한국은 단일리그로 10개의팀이 경쟁을하여 한팀당 144경기를 한다. 또한 미국은 용병제한이 없다. 한국이나 일본의 프로야구의경우 용병으로인하여 경기의 흐름이 바뀌는 경우가 있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어릴떄부터의 인프로가 좋게 구성되어있어 훌륭한 선수들이 매년 배출되어 용병이 경기의 흐름을 바꾸는 경우가 적어 제한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