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Barcodemart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www.barcodemart.com/

바코드(BARCODE)란 무엇인가? :: 1차원바코드(1D Barcode),2차원바코드(2D Barcode)
바코드(barcode)는 바(bar, 검은색 막대)와 공백(space, 흰색막대)을 특정한 형태로 조합하여 문자와 숫자 및 기호 등을 표현한 것으로 그 아래에 적혀져 있는 숫자를 스캐너로  읽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백화점이나 슈퍼마켓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을 보면 거의 모든 상품에 가늘고 굵은 검은 막대가 그려진 그래프 같은 것이 있고 그 밑에 숫자가 쓰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 데 이것이 바코드(유통코드)라는 것이다. 특히 한국에는 KAN코드라고 하며, 상품을 제조한 국가 번호, 회사 번호, 제품 번호가 표준화되어있다.

바코드는 이용한 정보관리는 제조, 물류,유통, 판매 및 재고 관리 업무 분야 등외에도 병원, 도서관, 철도나 항공의 여객 및 화물 관리, 공장자동화와 사무자동화 등 대량의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한 곳에서는 모두 찾아 볼 수 있다. 요즘에는 의약품관리, 고정자산관리, 설비관리,주차장관리,다양한 분야에 응용하여 도입되고 있다.

BARCODE(바코드)의 특징 및 종류
바코드 시스템이란 바코드가 적용되는 분야에 알맞게 만들어진 여러 형태의 바코드 심벌 체계와 그 심벌에 맞게 흑과 백의 바코드 라벨을 만들어 주는 인쇄 시스템, 바코들 해독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바꾸어 주는 판독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바코드가 오늘날과 같이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원동력이 된 것은 미국이 주도 적인 역학을 수행하였다.

약 30여년 전부터 데이터가 발생한 실시간에 처리하기 위한 자동인식 기술의 연구 결과로 많은 바코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1973년 UPC 코드가 소비자 산업 기준법으로 채택되고 바코드 스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용이 가속화되었으며, 바코드 시스템의 보급으로 가게의 금전등록기에서는 처리 속도가 빨라지면서 인건비를 대폭 절감하는 성과를 이룩하였다. 이후 많은 바코드 시스템이 개발되면서 바코드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종전의 수동식 입력 방법보다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니게 되었다.

CODE 128 바코드

CODE 128은 전체 ASCII 128 문자를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연속형 심볼로지이며, 수치 데이터는 심볼 문자당 두 자리로 표현한다.

CODE 128은 시작과 끝 문자,변동 가능한 길이의 데이터, 바와 스페이스 두 개 모두에 대한 캐릭터 패리티 체크 문자, 함수 문자 등으로 구성되어 잇으며 인쇄가 보다 용이하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각종 컴퓨터, 프린터에 적당하다.

3 of 9 Code(CODE 39) 바코드

알파벳 문자를 코드화할 수 있는 것의 대표적인 3 of 9 코드는 CODE 39로도 알려져 있다. 이 코드는 1974년 미국의 Interface Mechanism(현재 Intermec사) 의 데이비드 알리아스 와 레이스티븐에 의해 개발되었다.

43개의 문자(0~9, A~Z,7개의 특수문자) 와 하나의 시작, 끝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자는 9개의 요소로 이루어지고 그 중 세 개는 논리값 "1" 을 의미하며, 문자와 문자 사이의 갭은 코드값을 포함하지 않는다. 현재 공업용을 비롯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보통 바 5개가 한문자에 해당하며 시작과 끝문자는 반드시 "*" 이어야 한다.

3 of 9 코드의특성

- 바코드의 길이 변경 가능,최대 허용 길이는 스캐너의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

- 자기 진단 코드가 있다(Check Digit)

- 이산적이며 문자간 갭의 허용 오차가 적다

- 양쪽방향 래독이 가능한 양 방향성 코드이다

- 라벨의 길이는 넓은 범위에 걸쳐 변동이 가능하다

- * 문자는 시작과 끝을 알려 주는 문자로 사용한다

CODE 93 바코드

Intermec 사에 의해 개발된 CODE 39는 구조적인 단순성으로 인해 산업용 바코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이산적이고 자체 검사 기능이 가능한 이유로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나 바코드의 크기로 인해 많은 제약을 받았다. 이에 매우 작은 크기의 바코드를 사용해야 할 경우를 위해 개발된 코드가 바로 CODE 93이다.

CODE 93은 작은 심볼이 요구 되는 곳에서 CODE 39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CODE 93은 43개의 데이터 캐릭터와 4개의 제어 캐릭터 , 한 개의 시작과 끝 캐릭터를 갖는 영문과 숫자 코드로 128개 ASCII 캐릭터와 제어 캐릭터, 기본적인 데이터 캐릭터의 조합으로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CODE 93 의 특징

- 코드의 길이 변동가능, 최대 허용길이는 스캐너의 특성에 좌우된다.

- CODE 93은 양쪽방향성 코드이다.

- 높은 밀도를 제공,기록할 수 있다.

- 연속적이며 문자의 갭이없다.

- Start/Stop 캐릭터는 독립적으로 사용,스캐너에 의해서는 전송되지 않는다.

- 리딩 에러를 극소화 할 수 있는두 개의 체크 캐릭터 포함, 전송되지는 않는다.

- CODE 39와 호환되며 모든 심볼은 6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 Quiet Zone

* Start 캐릭터

* Data 캐릭터

* 두 개의 Check Digit

* Stop 캐릭터

* Quiet Zone

Interleaved 2 of 5 Code 바코드

이 코드는 1972년 미국의 Intermec 사가 2 of 5코드의 효율을 증대 시키기 위해 개발했으며, 산업용 바코드 중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코드는 한 개의 숫자가 5개의 바와 5개의 스페이스를 교대로 조합시켜 이루어져 있으며 문자 사이의 갭을 없앴다.

이코드는 문자의 수가 짝수여아 하므로 홀 수 개의 문자가 들어 왔을 경우에 "0" 이 맨앞에 붙여지나 바코드중 가장짧은 것이 특징이다. 이코드는 숫자 데이터 표현시 많은 데이터를 짧게 코드화할 수 있고 자체 검사 기능도 뛰어나므로 산업용 및 소매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CODABAR 바코드

1972년 미국의 Monach Marking System에서 백화점의가격 표찰용으로 발표한 코드인데 각캐릭터는 7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네 개의 바와 세 개의 여백으로 이루어진다.

각 문자 간의 여백은 어떠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지 않다.CODABAR 의 각 캐릭터는 두 개의 넓은 바를 지니고 있기에 2 of 7 코드라고도 한다.

CODABAR 로 표현가능한 캐릭터는 숫자 0~9, 6가지의 특수문자($, -, :, /, ., +)와 네 가지의 시작과 끝 문자 (a/t, b/m, c/*, d/e)를 가지고 있으며 이 시작/끝 문자는 다른 종류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키로 사용이 가능하다.

CODABAR 는 주로 알파벳 문자는 필요하지 않으면서 가변되는 점을 이용해 혈액 위의 혈액팩, 도서관,사진 현상 업무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UPC(Universal Product Code) 바코드

UPC 코드는 식료품 관련협회인 Ad Hoc 위원회가 설립된 이래로 식료품과 잡화 등 유통 제품에 부착하기 위한 연구 결과로 컴퓨터와 POS(Point of Sales) 제작에 흥미를 가졌던 많은 제작자들의 여러 제안에 의해 Battle Memorial 연구소와 그래픽 기술 재단에서 인쇄내성(Printing Tolerance)및 인쇄 능력 시험과 상점에서의 시험 등을 거쳐 대량의 심볼에 대한 평가 연구를 시작으로 마침내 1973년산업 표준 심볼로 채택되었다.

이 심볼은 IBM에서 고안한 것과 거의 유사한 것이며 현재 미국이나 캐나다 등지에서 POS 용으로백화점이나 슈퍼마켓의 식료품과 일상 잡화 , 의료제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UPC 코드는 12개의 캐릭터로 구성되어 숫자(0~9)만 표시가 가능하며 세가지 종류의 형이 있다.

Version A 는표준형으로 12자리를 표현하고, Version E는 단축형으로 6자리를, Version D는 확대형으로 표준형보다 많은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UPC 코드느 좌측 여백과 좌측 가드패턴, 상품분류 체계번호, 제조업체 번호, 중앙 가드패턴, 상품번호,검사문자,우측 가드패턴, 우측 여백으로 구성 된다.

콰아어트 존이라 불리는 좌, 우측 여백은 좌측이 "X" 디멘전의 11배이상이고, 우측은 7배 이상이어야 하며, 마지막은 체크 디지트로 데이터의 잘못 여부를 확인하며 D/C 로 표시하기도 한다.

12자리의 구성

* 1자리 : 생산품목 분류(예:0-식료품, 2-고기,3-의료품)

* 5자리 : 제조업체 코드

* 5자리 : 상품명 코드

* 1자리 : 체크디지트

EAN(European Article Number) 바코드

미국의 UPC 코드 제정 이후 유럽의 12 개국이 모여 국제적인 공통상품 코드를 제정했는데 이것이 바로 EAN(European Article Number)코드이다.

EAN 코드는 UPC 코드보다 상위 레벨의 코드로 EAN 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기는 UPC코드를 읽을 수 있으나 그 반대는 성립되지 않는다.

EAN 코드는 13 개의 문자를 포함 할 수 있는데 바코드로 표현되는 것은 12 자리 이고 맨 좌측의 문자는 수치로 표현되므로 UPC 와 동일한 심볼 길이인 95X를 갖는다.

EAN 코드의 종류에는 EAN-13, 즉 13개의 문자를 포함하는 표준형과 EAN-8인 8개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축형이 있다.

KAN(Korean Article Number) 바코드

KAN 은 한국공통상품 코드로 판매시점에 필요한 정보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POS 시스템이 보급되면서 미국과 유럽에서 EAN 및 UPC 코드를 사용하고 가까운 일본에서도 EAN 에 가입하여 JAN 코드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이와 같이 국제적인 상황에 맞추어 1988년 EAN 에 가입과 동시에 KAN 코드를 제정하게되었다.

KAN은 표준형 13자리와 단축형 8자리의 두가지가 있는데 표준형 코드의 구성은 제조국코드 2자리, 제조원 코드 5자리, 상품코드 5자리, 체크 문자 한 자리로 구성된다.

EAN 및 JAN 은 두 자리의 숫자를 채택해 주로 국가 코드로 사용되고 우리 나라의 경우 EAN 으로부터 국가번호 코드로 " 880 "부여받았다.

상품 제조업체 코드 5 자리는 일정한 기준에 의해 제조업체나 수입업자들이 사용하되 공통 상품를 관장하고 있는 코드 지정 기관이 각 대상업체에 부여하고 있다.

단축형 코드의 구성은 주로 인쇄 공간이 부족하거나 표준형 코드의 사용이 부적당한 경우 사용된다. 표준형과 거의 같지만 제조업체 코드의 경우 표준형이 5 자리인데 반해 단축형은 4 자리로 구성되며 상품 품목 코드에서도 5 자리인 표준형과 달리 1 자리로 구성된다

BARCODE SYSTEM 도입시 효과
  데이터 입력의 간소화

     사람이 키를 직접 펀치하는 등 수작업으로 인한 번거로움에서 바코드 스캐너가 직접  정보를      입력하므로 데이터 입력이 간소하다.   데이터 입력시 에러율 감소      키보드를 사용하여 사람이 직접 입력할 때에는 그 사람의 숙련도에 따라 에러가 발생하지만      바코드는 각각의 문자가 자체적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정확한 입력으로      인해 에러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자료 처리 시스템의 구성이 가능       바코드는 그 일정한 높이 중 95%가 훼손되더라도 데이터 입력에 지장을 주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프린터의 사용       바코드는 현재 이용되고 있는 모든 프린팅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BARCODE(바코드)의 정의
바코드는 굵거나 가는 바(검은 막대)와 스페이스(흰 막대)의 조합에 의해 영 숫자 또는 특수 기호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기 쉽게 부호화한 것이다. 이것을 이용하여 정보의 표현과 정보의 수집, 해독을 가능하게 한다. 문자나 숫자를 나타내는 검은 바와 흰 공간의 연속으로 바와 스페이스를 특정하게 배열해 이진수 0과 1의 비트로 바뀌게 되고 이들을 조합해 정보로 이용하게 되는데, 이들은 심벌로지라고 하는 바코드 언어에 의해 정의된 규칙에 의해 만들어진다. 즉, 바코드는 컴퓨터 내부 로직의 기본인 0과 1의 비트로 이루어진 하나의 언어로, 바의 두께와 스페이스의 폭의 비율에 따라 여러 종류의 코드 체계가 있다. 이 인쇄된 코드는 바코드 인식 장치에 빛의 반사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재생시키며 재생된 데이터를 수집, 전송하는 것이다.
BARCODE SYMBOL(바코드심벌)의 구조
정보를 바코드로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를 바코드 심벌로지라고 한다. 바코드 심벌로지는 현재까지 약 150여 종이 개발되어 있으며 같은 데이터라도 심벌체계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후 적절한 코드를 선택해야 한다. 바코드 심벌의 구조는 코드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QUIET ZONE

      바코드의 시작과 끝에는 여백이 있는데 이 여백을 QUIET ZONE이라 하여 가장 좁은 요소의

      10배 이상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시작 문자의 앞과 멈춤 문자의 뒤에 있는 공백 부분을 가리

      키며 바코드의 시작 및 끝을 명확하게 구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심벌 좌측의 여백을

      전방 여백, 우측의 여백을 후방 여백이라 한다.

  START/STOP CHARACTER

      시작문자는 심벌의 맨 앞부분에 기록된 문자로 데이터의 입력 방향과 바코드의 종류를 바코드

      스캐너에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멈춤 문자는 바코드의 심벌이 끝났다는 것을 알려 주어 바코드

      스캐너가 양쪽 어느 방향에서든지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해준다.

  CHECK DIGIT

     검사 문자는 메시지가 정확하게 읽혔는지 검사하는 것으로 정보의 정확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INTERPRETAION LINE

     사람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정보(숫자, 문자, 기호)가 있는 바코드의 윗부분 또는 아랫부분을

     말한다.   BAR/SPACE      바코드는 가장 간단한 넓고 좁은 바와 스페이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중 가장 좁은 바/      스페이스를 'X' 디멘전이라 부른다. 'X' 디멘전이 바코드의 구조상 가장 최소 단위를 이루는      것이면 모듈이라고 한다. 좁은 바/스페이스와 넓은 바/스페이스는 1:2 또는 1:3 ,기타 비율이      필하다.   INTERCHARACTER GAPS      문자들 간의 스페이스('X' 디멘전 크기)를 말한다.

BARCODE(바코드)의 동작과 해독 원리 : 바코드 스캐너 원리
바코드에 있는 정보를 해독하기 위해 변화하는 값에 작은 빛의 점들이 스캐너를 경유하여 바와 스페이스를 스쳐가면서 반사해 주는 것이다. 바코드의 검은 막대 부분인 블랙바는 적은 양의 빛을 스캐너 안으로 반사해 들어가고 검은 막대의 중간 중간에 있는 하얀 스페이스 바는 많은 양의 빛을 반사해 낸다. 반사된 빛의 양의 차이는 스캐너 안에 있는 빛 검출기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번역되고, 이렇게 번역된 신호는 특정한 문자와

숫자를 나타내기 위해 여러 가지 조합으로 사용되는 2진수 0과 1로 바뀌어진다. 이렇게 바뀌어진 0과 1의 조합으로 문자 및 숫자를 판독한다.

바코드 리더는 볼펜과 생긴 펜 타입과 접촉신인 CCD 타입, 레이저빔으로 인식하는 형태인 레이저 타입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어느 것이나 디코더라고 하는 번역기의 회로나 디코더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나 바코드가 수집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 뒤에 호스트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BARCODE(바코드) 도입(사용) 효과
  정보처리가 정확성

  DATA입력의 신속성   작업장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기존 시스템의 변형이 필요 없다.   인건비와 관리비 등의 유지비를 절감시킨다.   운영에 숙련이 불필요하다.     바코드의 판독 원리

BARCODE(바코드) 적용(응용) 분야
  유통 관리

      거래시 발생하는 판매,주문,수금, 등의 업무를 즉각적으로 컴퓨터에 입력함으로써  모든판매       정보를 한눈에 알 수 있다.   자재, 창고 관리      자재의 수급 계획부터 자재 청구, 입고, 창고 재고 및 재고품 재고 파악, 완제품 입고에 이르기      까지 자재에 관련된 정로를 추적, 관리한다.   근태 관리      정확한 출퇴근 시간 및 이와 관련된 이를 통한 급여 자료 산출, 출입에 관한 엄격한 통제가      가능하다.   출하 선적 관리      제품을 출하,창고 입출고시에 그 정보를 읽음으로써 제품의 수량 파악,목적지 실별을 신속하게      할수 있다.   매장 관리      판매, 주문, 입고, 재고 현황 등 각 매장의 정보를 신속하게 본사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며      또한 POS 터미널 자체 매장 관리도 할 수 있다.

GS1 바코드, GTIN 바코드:Global Trade Item Number (국제거래단품식별코드)

GS1-13 코드는 13자리의 숫자로 구성된 코드로 현재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국제표준이다

GTIN : Global Trade Item Number (국제거래단품식별코드) 거래단품란 공급체인 상에서 가격이 매겨지거나 주문 단위가 되는 상품을 말하며,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모든 낱개 상품 뿐 아니라 묶음 상품, 기업 간 주문 단위로 이용되는 골판지 상자 단위도 거래단품의 범주에 포함

GTIN 종류는 GS1-8 (8자리),GS1-13 (13자리),GS1-14 (14자리) 있으며,전산 처리할 경우에는 모두 14자리로 입력 하므로 각 코드의 앞에 ‘0’을 채워 14자리로 만든후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한다.

::GS1 바코드 적용 절차 : 1 단계 : 업체코드 신청, 2 단계 : 상품코드 설정, 3 단계 : 바코드 인쇄방법 결정,

4 단계:바코드 판독환경 고려, 5 단계:바코드 종류 결정, 6단계:바코드 크기 설정, 7 단계:바코드넘버부여,

8 단계 : 바코드 색상 선택,9 단계 : 바코드 부착위치 결정,10 단계 : 바코드 품질관리 계획 수립

** GS1-128 바코드

- GS1-8, GS1-13, GS1-14는 단품 또는 박스단위에 인쇄되는 무의미성, 범용성, 식별코드임

- 물류단위에 다양한 정보를 표준화하고자 함

- 물류단위(박스, 팔렛트, 콘테이너 등)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고자 하였으며, 기업간, 산업간에 상호호환이 가능한 표준정보를 담을 수 있는 코드에 대한 욕구가 발생함. 이에 따라 EAN Int'l과 UCC(Uniform Code Council), AIM(Automatic Identification Manufacture)에 설계

<GS1(GS1-8,GS1-13,GS1-14), GTIN 바코드 적용 표준 사용자 지침서>

KAN코드 (Korean Article Number)이란:한국바코드는 국가표준코드로 제조,물류,유통에 사용
한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한국 바코드 표준코드는 KAN 이며 백화점,수퍼마켓, 편의점 등 유통업체에서 최종소비자에게 판매되는 상품에 사용하는 코드로써, 상품제조단계에서 제조업체가 상품포장에 직접 인쇄하는 것으로 KAN코드에는 표준형A. 표준형B(KAN-13)와 단축형(KAN-8)의 두종류가 있습니다.

EAN-13 코드와 동일한 국내 유통 바코드인 KAN-13, 13자리 바코드로써 유통업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EAN-8 코드는 국내유통 바코드로 KAN-8 단축형 코드로 사용합니다.

또한 UPC-A, UPC-E, CODE128, EAN128 코드 는 국내제조업체가 해외 수출시에 쓰이는 바코드 종류입니다

보건복지부 의약품 표준 (GS1 표준바코드 및 코드체계) :: GS1 128 GS1 Datamatrix
보건복지부는 의약품 포장 단위마다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의약품 일련번호 제도'를 2015년 1월부터 시행하였다. 이는 의약품의 유통 투명화 및 오남용, 위조방지 등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것으로, 제약사에서 생산·수입된 의약품이 도매상을 거쳐 요양기관으로 유통되는 전체 경로를 의약품 최소유통단위로 추적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생산 및 유통과정 상 문제가 발생한 의약품은 신속하게 리콜 또는 회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의약품 일련번호 표시 및 유통이력(공급내역) 보고 제도에 따라, 의약품 제조·수입사에서는 자사 의약품 포장에 일련번호가 입력된 GS1 국제표준 바코드를 인쇄해야 하고, 제품 출하 시 관련 정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로 보고해야 한다. 그리고 의약품도매상에서도 공급받은 의약품을 출하할 때 일련번호 등 의약품의 정보를 보고해야 한다.

현재 미국, EU, 중국 등 여러 나라에서 GS1 국제표준 기반의 의약품 일련번호 제도 도입을 준비하고 있거나 이미 도입한 바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2011년 관련 규정 개정*을 통해 일련번호 표시를 2015년부터 추가하도록 한 바 있다. * 「의약품 바코드와 RFID tag의 사용 및 관리요령 (2011.5월 개정·공포)

http://www.barcodemar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