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토론:Jacques De Vincent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5년 전 (Junpei님) - 주제: 토론 내용의 삭제는 안됩니다

Jacques De Vincent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안타성공률[편집]

물론 안타성공률이라는 말은 용어에는 없지만 그렇게 따지면 왜 투수의 기준을 따질 때 방어율을 잘 안 쓰고 평균자책점이라는 말을 쓸까요? 사구(四球)를 왜 베이스온볼(Base on Balls), 사구(死球), 혹은 데드볼을 힛바이피치드볼(Hit by Pitched Ball)이란 말을 같이 쓸까요? 모두 야구용어에 있어서 쓰는 걸까요? 안타성공률이라는 말을 썼다고 했는데 타율(打率)이라는 말은 공을 때리는 비율이라는 말인데 공을 치면 결과는 다양하게 나옵니다. 안타나, 2루타, 3루타, 홈런만 나오는게 아니라 파울볼, 땅볼, 플라이볼, 번트도 나옵니다. "타율"을 계산할 때 "안타수 / 타석에서 때린 공의 수"로 계산하지 않습니까? 그래서 엄밀히 말하면 타석에서 친 공 중에서 안타를 성공하는 확률을 타율로 정의하는 것으로 보는데, 타율이라는 말은 일본용어로 보기 때문에 일단 이를 그나마 순화하기는 어려우므로 농구에서와 같이 성공률이라는 단어를 썼던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일본용어를 많이 줄이지 않으면 안 된다고 보고 있고, 일본용어가 판치던 프로야구 초창기 시절에 미국식 용어를 서슴치 않고 쓰던 허구연 해설위원이 얼마나 존경스러운 사람인지 실감나게 됩니다.--Jacques De Vincent (토론) 2008년 8월 27일 (수) 00:57 (KST)답변

최근에 '방어율'이란 용어를 '평균자책점'으로 바뀌는 것은 좋은 현상이라고 봅니다. 야구 프로젝트 토론란을 보시면 '방어율'이란 단어를 '평균 자책점'으로 바꾸자고 한 것도 제 자신이기도 합니다. '야구'는 미국에서 시작한 스포츠고 그 용어도 미국에서 온 것입니다. 그 동안 'ERA'(Earned Run Average)란 미국 용어를 대체하던 것이 '방어율'이었지만 원래 용어 'ERA'를 직역한 것이 '평균자책점'이죠. 그래서 'ERA'를 '평균자책점'이라고 바꾸는 것에는 저 자신도 동의를 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타율'이라고 부르는 용어는 원래 'BA(Batting Average)'입니다. 굳이 직역을 하자면 '타격평균율'이고 이걸 줄여서 '타율'이라고 하는 것이죠. 그래서 '타율'이라고 부르는 것에 별 무리가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야구에서 타자들이 행하는 '타격'의 목표는 '안타'입니다. 아웃이 되려고 일부러 타격을 하는 타자는 없습니다. 그래서 모든 타격의 행위에는 이미 '안타를 만들어낸다'는 목표가 담겨져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따라서 굳이 '안타'라는 용어를 붙이는 것은 어색하다고 생각이 드는군요. 그리고 '타율' 계산식은 '안타수를 타수로 나눈 것'입니다. --프리스터 (토론) 2008년 8월 27일 (수) 01:15 (KST)답변
야구에 대한 '용어'를 정립하는 데에는 저 자신도 동의합니다. 하지만 이 용어 사용시에는 어느 정도의 토론을 거친 다음 이루어졌으면 합니다. 예를 들자면 우리가 보통 '직구'라고 부르는 야구의 구질도 사실은 잘못된 것입니다. 공이 회전하면서 실밥이 공기와 마찰을 하기 때문에 결코 똑바로 가지 않습니다. 미국용어로는 'FastBall'입니다. 이걸 원래 취지에 맞게 사용하겠다고 '속구(速球)'란 표현을 이용해서 문서를 작성한다면 야구에 문외한인 사람들은 오해를 할 수도 있습니다. --프리스터 (토론) 2008년 8월 27일 (수) 01:22 (KST)답변


토론[편집]

백: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도 읽어보세요. 극도로 무례한 사용자에게 이 정도면 예의를 지키고 초보임을 감안한 최대한의 친절을 베풀었다고 생각하며, 이 시간 이후에 또다시 같은 행동을 할 때에는 가만히 있지 않겠습니다. -- (토론) 2008년 9월 9일 (화) 03:06 (KST)답변

여러 IP를 이용해 반말로 무례한 토론을 하며 비아냥으로 일관하였기 때문에, 로그인 계정의 역사만으로는 이 사용자의 편집을 다 볼 수 없습니다. 이 토론을 보시는 분들은 사용자토론:121.161.152.159‎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토론) 2008년 9월 9일 (화) 04:30 (KST)답변

토론 내용의 삭제는 안됩니다[편집]

토론 내용의 삭제는 안됩니다. 기분 나쁘시더라도 삭제해 주시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위키백과:토론을 참고해 주십시오. --프리스터 (토론) 2008년 9월 24일 (수) 01:52 (KST)답변

그림 저작권 지정 요청[편집]

올리신 파일:Matt Anderson's Interview 20081228 after Victory.JPG의 저작권을 지정해주세요. 권장하는 저작권은 GFDL, PD(퍼블릭 도메인, 공공사용), CC-BY 3.0, CC-BY-SA 3.0입니다. 메타데이터까지 있는걸 보니, 자콥 디 빈센트(한국어로 이렇게 읽는게 맞습니까?)씨 자신이 올리신 그림이 맞군요. 저작권을 지정하시면 이러이러한 용도로 쓸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알릴 수 있습니다. 그 이후에는 자콥씨가 삭제를 원하실 때 요청하시면 삭제처리하실 수 있습니다. --크렌베리 (토론) 2009년 1월 1일 (목) 10:53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