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똥가리아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말똥가리아과
서부붉은꼬리말똥가리
서부붉은꼬리말똥가리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강
목: 수리목
과: 수리과
아과: 말똥가리아과
(Buteoninae)
  • 본문 참조

말똥가리아과(Buteoninae)는 맹금류 아과의 하나로 중형부터 대형까지 넓은 날개를 지닌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먹이로부터 살을 찢을 수 있는 크고 강력한 갈고리 모양의 부리와 강한 다리, 강력한 발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멀리서 잠재적인 먹이를 찾아낼 수 있도록 매우 예리한 시력을 가지고 있다. 말똥가리아과는 모양과 형태가 매우 다양한 말똥가리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일부는 독수리처럼 보인다. 전체적으로 최소 50종을 포함하고 있다. 한때는 독수리와 같은 큰 집합체를 포함하여 여러 유형이 그룹화되었지만 미토콘드리아 DNA를 사용한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이 아과가 이전에 분류된 것보다 더 작다.[1][2][3]

하위 분류[편집]

계통 분류[편집]

2021년 카타나흐(Catanach) 등과 생스터(Sangster) 등의 연구에 기초한 수리과 계통 분류이다.[4]

수리과

검은날개솔개아과

수염독수리아과

벌매아과

그리폰독수리아과

뱀독수리아과

머리깃참매아과

부채머리수리아과

검독수리아과

조롱이아과

말똥가리아과

2021년 카타나흐(Catanach) 등과 생스터(Sangster) 등의 연구에 기초한 말똥가리아과 계통 분류이다.[4]

말똥가리아과
이빨솔개족

이빨솔개속

솔개족

휘파람솔개속

솔개속

참수리속

잿빛머리독수리속

말똥가리족

왕새매속

납빛솔개속

고기잡이말똥가리속

높은다리매속

달팽이솔개속

가는부리솔개속

쇠청말똥가리속

검은말똥가리속

가로줄무늬말똥가리속

큰부리말똥가리속

닮은말똥가리속

수리말똥가리속

Pseudastur

Leucopternis

말똥가리속

각주[편집]

  1. Lerner, H. R., Klaver, M. C., & Mindell, D. P. (2008). Molecular phylogenetics of the Buteonine birds of prey (Accipitridae). The Auk, 125(2), 304-315.
  2. Lerner, H. R., & Mindell, D. P. (2005). Phylogeny of eagles, Old World vultures, and other Accipitridae based on nuclear and mitochondrial DN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37(2), 327-346.
  3. Lerner, H., Christidis, L., Gamauf, A., Griffiths, C., Haring, E., Huddleston, C. J., Kabra, S., Kocum, A., Krosby, M., Kvaloy, K., Mindell, D., Rasmussen, P., Rov, N., Wadleigh, R., Michael Wink & Gjershaug, J. O. (2017). Phylogeny and new taxonomy of the Booted Eagles (Accipitriformes: Aquilinae). Zootaxa 4216 (4), 301-320.
  4. Amaral et al. (2006, 2009), Arshad (2009), Barrowclough et al. (2014), Breman et al. (2013), Bunce et al. (2005), Catanach et al. (2021), Gamauf and Haring (2004), Griffiths et al. (2007), Haring et al. (2007b), Helbig et al. (2005), Knapp et al. (2019), Kocum (2006), Kruckenhauser et al. (2004), Lerner and Mindell (2005), Lerner et al. (2008, 2017), Nagy and T¨ok¨olyi (2014), Oatley et al. (2015), Ong et al. (2011), Riesing et al. (2003), Sangster et al. (2021), Wink and Sauer-G¨urth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