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삼백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는 1763년에 청나라의 이석찬(李錫瓚)이 편집한 것이다. 총 8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에서는 <당시삼백수>를 초학(初學)의 교본으로 한다.

시인[편집]

당시삼백수를 쓴 시인들은 그 수가 많으며 잘 알려진 시인에서부터 익명의 시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 백거이(白居易)
  • 잠참(岑參)
  • 상건(常建)
  • 진도(陳陶)
  • 진자앙(陳子昂)
  • 최호(崔顥)
  • 최호(崔護)
  • 최서(崔曙)
  • 최도(崔塗)
  • 대숙륜(戴叔倫)
  • 두보(杜甫)
  • 두목(杜牧)
  • 두추낭(杜秋娘)
  • 두심언(杜審言)
  • 두순학(杜荀鶴)
  • 고변(高駢)
  • 고적(高適)
  • 고황(顧況)
  • 한굉(韓翃)
  • 한악(韓偓)
  • 한유(韓愈)
  • 하지장(賀知章)
  • 황보염(皇甫冉)
  • 가도(賈島)
  • 교연(皎然)
  • 김창서(金昌緒)
  • 리백(李白)
  • 리단(李端)
  • 리하(李賀)
  • 리빈(李頻)
  • 리기(李頎)
  • 리상은(李商隱)
  • 리신(李紳)
  • 리야(李冶)
  • 리익(李益)
  • 류장경(劉長卿)
  • 류방평(劉方平)
  • 류척허(劉脊虛)
  • 류우석(劉禹錫)
  • 류중용(柳中庸)
  • 류종원(柳宗元)
  • 로륜(盧綸)
  • 락빈왕(駱賓王)
  • 마대(馬戴)
  • 맹호연(孟浩然)
  • 맹교(孟郊)
  • 섭이중(聶夷中)
  • 배적(裴迪)
  • 전기(錢起)
  • 진도옥(秦韜玉)
  • 구위(邱為)
  • 기무잠(綦毋潛)
  • 권덕여(權德輿)
  • 융욱(戎昱)
  • 침전기(沈佺期)
  • 시견오(施肩吾)
  • 사공서(司空曙)
  • 송지문(宋之問)
  • 당현종(唐玄宗)
  • 왕발(王勃)
  • 왕창령(王昌齡)
  • 왕한(王翰)
  • 왕건(王建)
  • 왕만(王灣)
  • 왕유(王維)
  • 왕지환(王之渙)
  • 위응물(韋應物)
  • 위장(韋莊)
  • 온정균(溫庭筠)
  • 무명씨(無名氏)
  • 서비인(西鄙人)
  • 허혼(許渾)
  • 설봉(薛逢)
  • 원결(元結)
  • 원진(元稹)
  • 장호(張祜)
  • 장계(張繼)
  • 장적(張籍)
  • 장구령(張九齡)
  • 장필(張泌)
  • 장교(張喬)
  • 장욱(張旭)
  • 장지화(張志和)
  • 정전(鄭畋)
  • 주경여(朱慶餘)
  • 조영(祖詠)

외부 링크[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당시삼백수"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