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개충: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 부착 (근거 1, 근거 2)
영문위키 zooid 1052914469버전의 내용 일부를 추가함
태그: m 모바일 웹 동음이의 링크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Pyrosoma atlanticum.JPG|섬네일|right|개충들로 이루어진 군체 [[불우렁쉥이]]({{학명|Pyrosoma atlanticum}})]]
[[파일:Pyrosoma atlanticum.JPG|섬네일|right|개충들로 이루어진 군체 [[불우렁쉥이]]({{학명|Pyrosoma atlanticum}})]]
'''개충'''(個蟲, {{llang|en|Zooid}})은 [[군생]]동물을 이루는 최소 유기체 또는 동물의 단위를 일컫는다. 군체 내에서는 서로 [[조직 (생물학)|조직]]이나 외골격을 공유하면서 이어져 있으며,<ref>{{서적 인용|last1=Thorp |first1=James H. |last2=Wood |first2=Timothy S. |title=Thorp and Covich's Freshwater Invertebrates: Volume 4: Keys to Palaearctic Fauna |date=2019 |isbn=978-0-12-385024-9 |pages=519–529 |edition=4th |language=English |chapter=Chapter 13 - Phylum Ectoprocta}}</ref> 개충으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동물로는 [[불우렁쉥이]]·[[작은부레관해파리]] 등이 있다.
'''개충'''(個蟲, {{llang|en|Zooid}})은 [[군생]]동물을 이루는 최소 유기체 또는 동물의 단위를 일컫는다. 군체 내에서는 서로 [[조직 (생물학)|조직]]이나 외골격을 공유하면서 이어져 있으며,<ref>{{서적 인용|last1=Thorp |first1=James H. |last2=Wood |first2=Timothy S. |title=Thorp and Covich's Freshwater Invertebrates: Volume 4: Keys to Palaearctic Fauna |date=2019 |isbn=978-0-12-385024-9 |pages=519–529 |edition=4th |language=English |chapter=Chapter 13 - Phylum Ectoprocta}}</ref> 개충으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동물로는 [[불우렁쉥이]]·[[작은부레관해파리]] 등이 있다.

개충은 [[다형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현생 [[태형동물]]은 먹이 섭취, 지반에 군집을 고착,배를 품는 등 여러 가지 다른 기능을 사용하는 개충들을 보유하고 있다.<ref>{{Cite Book |last1=Fish |first1=J. D. |title=A Student's Guide to the Seashore |date=1989 |isbn=978-94-011-5888-6 |pages=356–366 |chapter=Bryozoa}}</ref> However, fossil bryozoans are only known by the colony structures that the zooids formed during life.<ref>

일부 개충의 크기와 온도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다.<ref>{{Cite Journal |last1=Amui-Vedel |first1=Ann-Margret |last2=Hayward |first2=Peter J. |last3=Porter |first3=Joanne S. |title=Zooid size and growth rate of the bryozoan Cryptosula pallasiana Moll in relation to temperature, in culture and in its natural environment |journal=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date=21 December 2007 |volume=353 |issue=1 |pages=1–12 |doi=10.1016/j.jembe.2007.02.020}}</ref> 화석화된 군집 내 개충의 다양성은 지질학적 과거의 해양의 주기성과 온도를 파악해내는 지표로 사용이 가능하다 할 수 있다.<ref>{{cite journal |last1=Okamura |first1=Beth |last2=O'Deaa |first2=Aaron |title=Intracolony variation in zooid size in cheilostome bryozoans as a new technique for investigating palaeoseasonality |journal=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date=October 2000 |volume=162 |issue=3–4 |pages=319–332 |doi=10.1016/S0031-0182(00)00136-X|bibcode=2000PPP...162..319O }}</ref><ref>{{cite journal |last1=Okamura |first1=Beth |last2=Bishop |first2=John D. D. |title=Zooid size in cheilostome bryozoans as an indicator of relative palaeotemperature |journal=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date=August 1988 |volume=66 |issue=3–4 |pages=145–152 |doi=10.1016/0031-0182(88)90197-6|bibcode=1988PPP....66..145O }}</ref>

개충의 영칭 학술용어인 zooid는 오랫동안 생활유기체 내부에서 독자적 움직임을 보이는 조직세포 또는 조직체로 사용되었다. 특히, [[정자]] 같은 [[운동성]] [[생식자]](조류의 웅성 배우자체(zoid) 등) 또는 [[효모|출아]]나 [[세포 분열]] 등의 번식에 따른 무성생식성 동물과 유사한 독립체적 유기체 같은 것들이 그렇다.


== 각주 ==
== 각주 ==

2024년 5월 16일 (목) 19:04 판

개충들로 이루어진 군체 불우렁쉥이(학명Pyrosoma atlanticum)

개충(個蟲, 영어: Zooid)은 군생동물을 이루는 최소 유기체 또는 동물의 단위를 일컫는다. 군체 내에서는 서로 조직이나 외골격을 공유하면서 이어져 있으며,[1] 개충으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동물로는 불우렁쉥이·작은부레관해파리 등이 있다.

개충은 다형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현생 태형동물은 먹이 섭취, 지반에 군집을 고착,배를 품는 등 여러 가지 다른 기능을 사용하는 개충들을 보유하고 있다.[2] However, fossil bryozoans are only known by the colony structures that the zooids formed during life.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화석화된 군집 내 개충의 다양성은 지질학적 과거의 해양의 주기성과 온도를 파악해내는 지표로 사용이 가능하다 할 수 있다.[3][4]

개충의 영칭 학술용어인 zooid는 오랫동안 생활유기체 내부에서 독자적 움직임을 보이는 조직세포 또는 조직체로 사용되었다. 특히, 정자 같은 운동성 생식자(조류의 웅성 배우자체(zoid) 등) 또는 출아세포 분열 등의 번식에 따른 무성생식성 동물과 유사한 독립체적 유기체 같은 것들이 그렇다.

각주

  1. Thorp, James H.; Wood, Timothy S. (2019). 〈Chapter 13 - Phylum Ectoprocta〉. 《Thorp and Covich's Freshwater Invertebrates: Volume 4: Keys to Palaearctic Fauna》 (영어) 4판. 519–529쪽. ISBN 978-0-12-385024-9. 
  2. 틀:Cite Book
  3. Okamura, Beth; O'Deaa, Aaron (October 2000). “Intracolony variation in zooid size in cheilostome bryozoans as a new technique for investigating palaeoseasonality”.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62 (3–4): 319–332. Bibcode:2000PPP...162..319O. doi:10.1016/S0031-0182(00)00136-X. 
  4. Okamura, Beth; Bishop, John D. D. (August 1988). “Zooid size in cheilostome bryozoans as an indicator of relative palaeotemperature”.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66 (3–4): 145–152. Bibcode:1988PPP....66..145O. doi:10.1016/0031-0182(88)90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