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암 통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장회장 (토론 | 기여)
암 통증의 통증 부분에 대한 내용 번역
2번째 줄: 2번째 줄:
'''암 통증'''은 [[종양]]이 인근 신체 부위를 압박하거나 침윤하여 발생할 수 있다. 치료 및 진단 절차에서나 호르몬 불균형이나 면역 반응으로 인한 피부, 신경 및 기타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대부분의 만성(오래 지속되는) 통증은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며 대부분의 급성(단기) 통증은 치료 또는 진단 절차로 인해 발생한다. 그러나 [[방사선 요법]], 수술 및 화학 요법은 치료가 끝난 후에도 오랫동안 지속되는 고통스러운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암 통증'''은 [[종양]]이 인근 신체 부위를 압박하거나 침윤하여 발생할 수 있다. 치료 및 진단 절차에서나 호르몬 불균형이나 면역 반응으로 인한 피부, 신경 및 기타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대부분의 만성(오래 지속되는) 통증은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며 대부분의 급성(단기) 통증은 치료 또는 진단 절차로 인해 발생한다. 그러나 [[방사선 요법]], 수술 및 화학 요법은 치료가 끝난 후에도 오랫동안 지속되는 고통스러운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통증의 존재는 주로 암의 위치와 질병의 단계에 따라 다르다. 악성 암 진단을 받은 사람의 약 절반이 어느 시점에서든 통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진행성 암 환자의 3분의 2는 수면, 기분, 사회적 관계 및 일상 생활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심한 통증을 경험한다.
통증의 존재는 주로 암의 위치와 질병의 단계에 따라 다르다.<ref name="Hanna2013">{{cite book|title=Cancer Pain|date=1 January 2013|publisher=Springer|pages=vii & 17|isbn=978-0-85729-230-8|veditors=Hanna M, Zylicz Z}}</ref> 악성 암 진단을 받은 사람의 약 절반이 어느 시점에서든 통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진행성 암 환자의 3분의 2는 수면, 기분, 사회적 관계 및 일상 생활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심한 통증을 경험한다.<ref name="Marcus2011">{{cite journal|title=Epidemiology of cancer pain|journal=Current Pain and Headache Reports|date=August 2011|volume=15|issue=4|pages=231–234|doi=10.1007/s11916-011-0208-0|pmid=21556709|vauthors=Marcus DA|s2cid=11459509}}</ref><ref name="Gorin">{{cite journal|title=Meta-analysi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reduce pain in patients with cancer|journal=Journal of Clinical Oncology|date=February 2012|volume=30|issue=5|pages=539–547|doi=10.1200/JCO.2011.37.0437|pmc=6815997|pmid=22253460|display-authors=6|vauthors=Sheinfeld Gorin S, Krebs P, Badr H, Janke EA, Jim HS, Spring B, Mohr DC, Berendsen MA, Jacobsen PB}}</ref>


철저한 관리를 통해 암 통증은 80~90%의 경우에서 제거되거나 잘 조절될 수 있지만 선진국 암 환자의 거의 50%는 최적의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암 환자의 거의 80%가 진통제를 거의 또는 전혀 받지 않는다. 소아 및 지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암성 통증도 제대로 치료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철저한 관리를 통해 암 통증은 80~90%의 경우에서 제거되거나 잘 조절될 수 있지만 선진국 암 환자의 거의 50%는 최적의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암 환자의 거의 80%가 진통제를 거의 또는 전혀 받지 않는다.<ref name="Hanna-Zylicz">{{cite book|title=Cancer pain|year=2013|publisher=Springer|page=1|chapter=Introduction|isbn=9780857292308|lccn=2013945729|vauthors=Hanna M, Zylicz Z|veditors=Hanna M, Zylicz Z}}</ref>소아 및 지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암성 통증도 제대로 치료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ref>{{cite journal|title=Cancer Pain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ystematic Review and Survey of Health Care Professionals|journal=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date=December 2019|volume=58|issue=6|pages=1081–1099.e3|doi=10.1016/j.jpainsymman.2019.07.013|pmid=31326504|vauthors=Millard SK, de Knegt NC|doi-access=free}}</ref>

[[세계보건기구]](WHO) 등은 암 통증 관리에 약물 사용 지침을 발표했다.<ref name="WHO_1996">WHO guidelines:

* {{cite book|url=https://books.google.com/books?id=FhaII7PMHZcC|title=Cancer pain relief. With a guide to opioid availability|author=World Health Organization|year=1996|edition=2|publisher=WHO|location=Geneva|isbn=978-92-4-154482-5}}
* {{cite book|url=https://archive.org/details/cancerpainrelief0000unse|title=Cancer pain relief and palliative care in children|author=World Health Organization|year=1998|publisher=WHO|location=Geneva|isbn=978-92-4-154512-9|url-access=registration}}</ref><ref name="guidelines">Other clinical guidelines:

* {{cite web|url=http://publications.nice.org.uk/opioids-in-palliative-care-safe-and-effective-prescribing-of-strong-opioids-for-pain-in-palliative-cg140|title=Opioids in palliative care: safe and effective prescribing of strong opioids for pain in palliative care of adults|date=May 2012|publisher=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20703005547/http://publications.nice.org.uk/opioids-in-palliative-care-safe-and-effective-prescribing-of-strong-opioids-for-pain-in-palliative-cg140|archive-date=2012-07-03|url-status=dead|access-date=2012-08-24}}
* {{cite web|url=http://consensus.nih.gov/2002/2002CancerPainDepressionFatiguesos022html.htm|title=Consensus statement&nbsp;– Symptom management in cancer: Pain, depression and fatigue|year=2002|publisher=USA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51108192909/http://consensus.nih.gov/2002/2002CancerPainDepressionFatiguesos022html.htm|archive-date=2005-11-08|url-status=dead|access-date=2011-08-22}}
* {{cite web|url=http://www.eapcnet.eu/Themes/Clinical/Publicationsdocuments/EAPCRecommendations/tabid/1499/ctl/Details/ArticleID/139/mid/2812/Morphine-and-alternative-opioids-in-cancer-pain-the-EAPC-recommendations.aspx|title=Recommendations: morphine and alternative opioids for cancer pain|year=2001|publisher=European Association for Palliative Car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20330212529/http://www.eapcnet.eu/Themes/Clinical/Publicationsdocuments/EAPCRecommendations/tabid/1499/ctl/Details/ArticleID/139/mid/2812/Morphine-and-alternative-opioids-in-cancer-pain-the-EAPC-recommendations.aspx|archive-date=2012-03-30|url-status=dead|access-date=2011-08-22}}
* {{cite web|url=http://www.sign.ac.uk/guidelines/fulltext/106/index.html|title=Control of pain in adults with cancer|year=2008|publisher=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1027214354/http://www.sign.ac.uk/guidelines/fulltext/106/index.html|archive-date=2011-10-27|url-status=dead|access-date=2011-08-22}}
* {{cite web|url=http://www.nccn.org/professionals/physician_gls/pdf/pain.pdf|title=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oncology: adult cancer pain|year=2011|publisher=USA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access-date=2011-08-22}}{{registration required}}</ref>의료 전문가는 가능한 한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가 통증 관리 옵션과 관련된 위험 및 이점에 대해 잘 알고 있는지 확인해야 하는 윤리적 의무가 있다. 적절한 통증 관리는 때때로 죽어가는 사람의 생명을 약간 단축시킬 수 있다.<ref name="Randall">{{cite book|title=Clinical pain management: Cancer pain|year=2008|edition=2nd|publisher=Hodder Arnold|location=London|pages=93–100|chapter=Ethical issues in cancer pain management|isbn=978-0-340-94007-5|vauthors=Randall F|veditors=Sykes N, Bennett MI, Yuan CS}}</ref>

== 통증 ==
통증은 극심한 (단기) 만성적인 (장기) 로 분류된다.<ref>{{cite book|title=Cancer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date=23 June 2003|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page=8|chapter=Cancer pain syndromes|isbn=978-0-521-77332-4|vauthors=Portenoy RK, Conn M|chapter-url=https://books.google.com/books?id=_OYWqEAiGCQC&pg=PA8|veditors=Bruera ED, Portenoy RK}}</ref>

만성적인 통증은 가끔씩 급작스럽게 통증의 강도가 상승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통증이 없는 무통 기간과 연관되어 있다. 장기간 지속적인 약물치료나 또는 다른 치료를 병행해 통증이 잘 관리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돌발적인 통증신호는 갑작스럽게 느껴지지만, 이것은 빠른 효과가 드는 진통제로 치료를 할 수 있다.<ref name="Induru">{{cite journal|title=Managing cancer pain: frequently asked questions|journal=Cleveland Clinic Journal of Medicine|date=July 2011|volume=78|issue=7|pages=449–464|doi=10.3949/ccjm.78a.10054|pmid=21724928|vauthors=Induru RR, Lagman RL|s2cid=19598761|doi-access=free}}</ref>

다수의 만성 통증을 가진 사람들은 기억력과 집중력의 문제의 어려움을 신경씁니다. 객관적인 심리검사에서 기억력, 집중력, 언어 능력, 유연한 사고와 생각의 속도에 대한 문제가 발견 되었다.<ref name="Kreitler&Niv">{{cite journal|title=Cognitive impairment in chronic pain|journal=Pain: Clinical Updates|url=http://www.iasp-pain.org/AM/AMTemplate.cfm?Section=Clinical_Updates&CONTENTID=15330&SECTION=Clinical_Updates&TEMPLATE=/CM/ContentDisplay.cfm|date=July 2007|volume=XV|issue=4|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1203065734/http://www.iasp-pain.org/AM/AMTemplate.cfm?Section=Clinical_Updates&CONTENTID=15330&SECTION=Clinical_Updates&TEMPLATE=%2FCM%2FContentDisplay.cfm|archive-date=2013-12-03|access-date=2019-06-21|vauthors=Kreitler S, Niv D}}</ref> 통증은 우울, 분노, 공포, 분노 상승과도 관련되어 있다.<ref name="pmid19146872">{{cite journal|title=Pain-related effects of trait anger expression: neural substrates and the role of endogenous opioid mechanisms|journal=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date=March 2009|volume=33|issue=3|pages=475–491|doi=10.1016/j.neubiorev.2008.12.003|pmc=2756489|pmid=19146872|vauthors=Bruehl S, Burns JW, Chung OY, Chont M}}</ref> 지속적인 통증은 삶의 전반적인 질을 저하시키고, 통증을 겪고있는 사람과 간병인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지쳐가게 한다.<ref name="Induru" />

통증의 강도는 불쾌감과는 구별된다. 예를들어, [[:en:Psychosurgery|정신외과]]와 약물치료 혹은 [[:en:Hypnosis|최면]]이나 [[:en:Placebo|플라시보]]를 통해 통증의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통증의 불쾌감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ref name="Melzack_1968">{{cite book|title=The skin sense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Skin Senses, held at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in Tallahassee, Florida|author=[[Ronald Melzack|Melzack R]] & [[Kenneth L. Casey|Casey KL]]|year=1968|publisher=Charles C. Thomas|location=Springfield|pages=423–443|chapter=Sensory, motivational and central control determinants of chronic pain: A new conceptual model|veditors=Kenshalo DR}}</ref>가끔, 통증은 통증이 있는 곳이 아니라 다른 곳이 아픈 통증 처럼 느껴질 때도 있다. 이것을 [[:en:Referred_pain|연관통]]이라고 부른다.

암의 통증은 신체의 대부분에서 발견되는 통증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말단에 기계적, 화학적인 자극에 의해 발생 할 수 있고([[:en:Nociception|통각]]), 이는 질병, 손상 또는 압축된 신경에 의해 발생 할 수 있으며, 이는 [[:en:Neuropathic_pain|신경성 통증]]이라고 한다. 신경성 통증은 [[저림|핀, 바늘]]과 같은 저림 현상을 동반한다. <ref name="Kurita">{{cite journal|title=How is neuropathic cancer pain assessed in randomised controlled trials?|journal=Pain|date=January 2012|volume=153|issue=1|pages=13–17|doi=10.1016/j.pain.2011.08.013|pmid=21903329|vauthors=Kurita GP, Ulrich A, Jensen TS, Werner MU, Sjøgren P|s2cid=38733839}}</ref>

통증의 정도를 환자 본인이 직접 설명하는 것이 가장 좋은 측정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0~10의 척도로 강도를 추정하도록 권유한다. (0은 통증이 없고 10은 지금까지 본인이 경험한 최악의 통증을 뜻한다).<ref name="Induru" />그러나 몇몇의 환자는 본인의 통증을 말로 설명을 못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표정, 몸의 움직임, 신음과 같은 생리적 척도에 의존하여 판단해야한다.<ref name="Fundamentals of nursing">{{Cite book|title=Fundamentals of nursing|last1=Potter|first1=Patricia Ann|date=2016-02-25|edition=Ninth|location=St. Louis, Mo.|others=Potter, Patricia Ann,, Perry, Anne Griffin,, Hall, Amy (Amy M.),, Stockert, Patricia A.|isbn=9780323327404|oclc=944132880}}</ref>


[[세계보건기구]](WHO) 등은 암 통증 관리에 약물 사용 지침을 발표했다. 의료 전문가는 가능한 한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가 통증 관리 옵션과 관련된 위험 및 이점에 대해 잘 알고 있는지 확인해야 하는 윤리적 의무가 있다. 적절한 통증 관리는 때때로 죽어가는 사람의 생명을 약간 단축시킬 수 있다.


{{Medical resources
{{Medical resources

2023년 11월 27일 (월) 16:03 판

암 통증종양이 인근 신체 부위를 압박하거나 침윤하여 발생할 수 있다. 치료 및 진단 절차에서나 호르몬 불균형이나 면역 반응으로 인한 피부, 신경 및 기타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대부분의 만성(오래 지속되는) 통증은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며 대부분의 급성(단기) 통증은 치료 또는 진단 절차로 인해 발생한다. 그러나 방사선 요법, 수술 및 화학 요법은 치료가 끝난 후에도 오랫동안 지속되는 고통스러운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통증의 존재는 주로 암의 위치와 질병의 단계에 따라 다르다.[1] 악성 암 진단을 받은 사람의 약 절반이 어느 시점에서든 통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진행성 암 환자의 3분의 2는 수면, 기분, 사회적 관계 및 일상 생활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심한 통증을 경험한다.[2][3]

철저한 관리를 통해 암 통증은 80~90%의 경우에서 제거되거나 잘 조절될 수 있지만 선진국 암 환자의 거의 50%는 최적의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암 환자의 거의 80%가 진통제를 거의 또는 전혀 받지 않는다.[4]소아 및 지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암성 통증도 제대로 치료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

세계보건기구(WHO) 등은 암 통증 관리에 약물 사용 지침을 발표했다.[6][7]의료 전문가는 가능한 한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가 통증 관리 옵션과 관련된 위험 및 이점에 대해 잘 알고 있는지 확인해야 하는 윤리적 의무가 있다. 적절한 통증 관리는 때때로 죽어가는 사람의 생명을 약간 단축시킬 수 있다.[8]

통증

통증은 극심한 (단기) 만성적인 (장기) 로 분류된다.[9]

만성적인 통증은 가끔씩 급작스럽게 통증의 강도가 상승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통증이 없는 무통 기간과 연관되어 있다. 장기간 지속적인 약물치료나 또는 다른 치료를 병행해 통증이 잘 관리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돌발적인 통증신호는 갑작스럽게 느껴지지만, 이것은 빠른 효과가 드는 진통제로 치료를 할 수 있다.[10]

다수의 만성 통증을 가진 사람들은 기억력과 집중력의 문제의 어려움을 신경씁니다. 객관적인 심리검사에서 기억력, 집중력, 언어 능력, 유연한 사고와 생각의 속도에 대한 문제가 발견 되었다.[11] 통증은 우울, 분노, 공포, 분노 상승과도 관련되어 있다.[12] 지속적인 통증은 삶의 전반적인 질을 저하시키고, 통증을 겪고있는 사람과 간병인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지쳐가게 한다.[10]

통증의 강도는 불쾌감과는 구별된다. 예를들어, 정신외과와 약물치료 혹은 최면이나 플라시보를 통해 통증의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통증의 불쾌감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13]가끔, 통증은 통증이 있는 곳이 아니라 다른 곳이 아픈 통증 처럼 느껴질 때도 있다. 이것을 연관통이라고 부른다.

암의 통증은 신체의 대부분에서 발견되는 통증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말단에 기계적, 화학적인 자극에 의해 발생 할 수 있고(통각), 이는 질병, 손상 또는 압축된 신경에 의해 발생 할 수 있으며, 이는 신경성 통증이라고 한다. 신경성 통증은 핀, 바늘과 같은 저림 현상을 동반한다. [14]

통증의 정도를 환자 본인이 직접 설명하는 것이 가장 좋은 측정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0~10의 척도로 강도를 추정하도록 권유한다. (0은 통증이 없고 10은 지금까지 본인이 경험한 최악의 통증을 뜻한다).[10]그러나 몇몇의 환자는 본인의 통증을 말로 설명을 못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표정, 몸의 움직임, 신음과 같은 생리적 척도에 의존하여 판단해야한다.[15]


  1. Hanna M, Zylicz Z, 편집. (2013년 1월 1일). 《Cancer Pain》. Springer. vii & 17쪽. ISBN 978-0-85729-230-8. 
  2. Marcus DA (August 2011). “Epidemiology of cancer pain”. 《Current Pain and Headache Reports》 15 (4): 231–234. doi:10.1007/s11916-011-0208-0. PMID 21556709. S2CID 11459509. 
  3. Sheinfeld Gorin S, Krebs P, Badr H, Janke EA, Jim HS, Spring B, 외. (February 2012). “Meta-analysi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reduce pain in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0 (5): 539–547. doi:10.1200/JCO.2011.37.0437. PMC 6815997. PMID 22253460. 
  4. Hanna M, Zylicz Z (2013). 〈Introduction〉. Hanna M, Zylicz Z. 《Cancer pain》. Springer. 1쪽. ISBN 9780857292308. LCCN 2013945729. 
  5. Millard SK, de Knegt NC (December 2019). “Cancer Pain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ystematic Review and Survey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58 (6): 1081–1099.e3. doi:10.1016/j.jpainsymman.2019.07.013. PMID 31326504. 
  6. WHO guidelines:
  7. Other clinical guidelines:
  8. Randall F (2008). 〈Ethical issues in cancer pain management〉. Sykes N, Bennett MI, Yuan CS. 《Clinical pain management: Cancer pain》 2판. London: Hodder Arnold. 93–100쪽. ISBN 978-0-340-94007-5. 
  9. Portenoy RK, Conn M (2003년 6월 23일). 〈Cancer pain syndromes〉. Bruera ED, Portenoy RK. 《Cancer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8쪽. ISBN 978-0-521-77332-4. 
  10. Induru RR, Lagman RL (July 2011). “Managing cancer pain: frequently asked questions”. 《Cleveland Clinic Journal of Medicine》 78 (7): 449–464. doi:10.3949/ccjm.78a.10054. PMID 21724928. S2CID 19598761. 
  11. Kreitler S, Niv D (July 2007). “Cognitive impairment in chronic pain”. 《Pain: Clinical Updates》 XV (4). 2013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1일에 확인함. 
  12. Bruehl S, Burns JW, Chung OY, Chont M (March 2009). “Pain-related effects of trait anger expression: neural substrates and the role of endogenous opioid mechanisms”.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33 (3): 475–491. doi:10.1016/j.neubiorev.2008.12.003. PMC 2756489. PMID 19146872. 
  13. Melzack R & Casey KL (1968). 〈Sensory, motivational and central control determinants of chronic pain: A new conceptual model〉. Kenshalo DR. 《The skin sense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Skin Senses, held at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in Tallahassee, Florida》.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423–443쪽. 
  14. Kurita GP, Ulrich A, Jensen TS, Werner MU, Sjøgren P (January 2012). “How is neuropathic cancer pain assessed in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Pain》 153 (1): 13–17. doi:10.1016/j.pain.2011.08.013. PMID 21903329. S2CID 38733839. 
  15. Potter, Patricia Ann (2016년 2월 25일). 《Fundamentals of nursing》. Potter, Patricia Ann,, Perry, Anne Griffin,, Hall, Amy (Amy M.),, Stockert, Patricia A. Nin판. St. Louis, Mo. ISBN 9780323327404. OCLC 944132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