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알코올과 암: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hc9702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19번째 줄:


일부 국가에서는 소비자에게 술과 암에 대해 알리는 술 포장 경고 메시지를 도입했다. 알코올 업계는 알코올 음료에 암 경고 라벨을 부착하도록 요구하는 법률을 제거하기 위한 캠페인을 진행하는 것 외에도 알코올 소비로 인한 암 위험에 대해 대중을 적극적으로 오도하려고 노력했다.
일부 국가에서는 소비자에게 술과 암에 대해 알리는 술 포장 경고 메시지를 도입했다. 알코올 업계는 알코올 음료에 암 경고 라벨을 부착하도록 요구하는 법률을 제거하기 위한 캠페인을 진행하는 것 외에도 알코올 소비로 인한 암 위험에 대해 대중을 적극적으로 오도하려고 노력했다.

== 알코올 관련 암의 역학 ==

===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암의 [[유병률]] ===
2020년 전 세계적으로 약 74만 건의 알코올 관련 암이 확인되었다.<ref>{{Cite journal|title=Global burden of cancer in 2020 attributable to alcohol consumption: a population-based study|journal=The Lancet Oncology|last1=Rumgay|first1=Harriet|last2=Shield|first2=Kevin|date=2021-08-01|volume=22|issue=8|pages=1071–1080|language=English|doi=10.1016/S1470-2045(21)00279-5|issn=1470-2045|pmc=8324483|pmid=34270924|last3=Charvat|first3=Hadrien|last4=Ferrari|first4=Pietro|last5=Sornpaisarn|first5=Bundit|last6=Obot|first6=Isidore|last7=Islami|first7=Farhad|last8=Lemmens|first8=Valery E. P. P.|last9=Rehm|first9=Jürgen|last10=Soerjomataram|first10=Isabelle}}</ref><ref>{{Cite web|url=http://gco.iarc.fr/causes/alcohol/home|title=Cancer and Alcohol|website=gco.iarc.fr|language=en|access-date=2022-09-14}}</ref>

* 58%(430,000건)의 사례가 [[아시아]]에서 발생하였다.
* 25%(180,000건)의 사례가 [[유럽]]에서 발생하였다.
* 8%(60,000건)의 사례가 [[북아메리카]]에서 발생하였다.
* 5%(39,000건)의 사례가 [[라틴아메리카]]에서 발생하였다.
* 3%(23,000건)의 사례가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였다.
* 1%(7,000건)의 사례가 이외의 지역에서 발생하였다.

740,000건의 사례 중 75% 이상이 남성이었다.<ref>{{Cite web|url=https://www.cancer.gov/news-events/cancer-currents-blog/2021/cancer-alcohol-global-burden|title=Report Details Alcohol's Global Cancer Burden - NCI|date=2021-08-12|website=www.cancer.gov|language=en|access-date=2022-09-14}}</ref>

=== [[미국]] ===
미국에서는 [[델라웨어주]], [[콜로라도주]], [[워싱턴 D.C.|워싱턴 D.C]], [[뉴햄프셔주]], [[알래스카주]]에서 알코올 관련 암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반대로, [[켄터키주]], [[애리조나주]], [[오클라호마주]], [[웨스트버지니아주]], [[유타주]]에서는 알코올 관련 암 발생률이 가장 낮았다.<ref name=":3">{{Cite journal|title=Proportion of cancer cases and deaths attributable to alcohol consumption by US state, 2013-2016|journal=Cancer Epidemiology|last1=Goding Sauer|first1=Ann|last2=Fedewa|first2=Stacey A.|url=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877782121000102|date=2021-04-01|volume=71|issue=Pt A|pages=101893|language=en|doi=10.1016/j.canep.2021.101893|issn=1877-7821|pmid=33477084|last3=Bandi|first3=Priti|last4=Minihan|first4=Adair K.|last5=Stoklosa|first5=Michal|last6=Drope|first6=Jeffrey|last7=Gapstur|first7=Susan M.|last8=Jemal|first8=Ahmedin|last9=Islami|first9=Farhad|s2cid=231680583}}</ref>

2013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에서 매년 약 19,000명(4%)의 암 관련 사망자가 음주로 인해 발생했으며, [[유방암]]과 [[식도암]]으로 인한 사망이 각각 여성과 남성에서 가장 흔했다.<ref>{{Cite journal|title=Proportion of cancer cases and deaths attributable to alcohol consumption by US state, 2013-2016|journal=Cancer Epidemiology|last1=Goding Sauer|first1=Ann|last2=Fedewa|first2=Stacey A.|url=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877782121000102|date=2021-04-01|volume=71|issue=Pt A|pages=101893|language=en|doi=10.1016/j.canep.2021.101893|issn=1877-7821|pmid=33477084|last3=Bandi|first3=Priti|last4=Minihan|first4=Adair K.|last5=Stoklosa|first5=Michal|last6=Drope|first6=Jeffrey|last7=Gapstur|first7=Susan M.|last8=Jemal|first8=Ahmedin|last9=Islami|first9=Farhad|s2cid=231680583}}</ref><ref>{{Cite journal|title=Alcohol-Attributable Cancer Deaths and Years of Potential Life Lost in the United States|journal=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last1=Nelson|first1=David E.|last2=Jarman|first2=Dwayne W.|date=April 2013|volume=103|issue=4|pages=641–648|doi=10.2105/AJPH.2012.301199|issn=0090-0036|pmc=3673233|pmid=23409916|last3=Rehm|first3=Jürgen|last4=Greenfield|first4=Thomas K.|last5=Rey|first5=Grégoire|last6=Kerr|first6=William C.|last7=Miller|first7=Paige|last8=Shield|first8=Kevin D.|last9=Ye|first9=Yu|last10=Naimi|first10=Timothy S.}}</ref>

미국 내 암 사망의 약 3.2%가 음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주별 사망률 분포는 발생률의 분포와 일치하였다.<ref name=":3" />

=== [[유럽]] ===
유럽 남성의 암 진단 중 약 10%가 음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럽 여성의 암 진단 중 3%가 음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ref>{{Cite journal|title=European Code against Cancer 4th Edition: Alcohol drinking and cancer|journal=Cancer Epidemiology|last1=Scoccianti|first1=Chiara|last2=Cecchini|first2=Michele|date=2016-12-01|volume=45|pages=181–188|language=en|doi=10.1016/j.canep.2016.09.011|issn=1877-7821|pmid=27816465|last3=Anderson|first3=Annie S.|last4=Berrino|first4=Franco|last5=Boutron-Ruault|first5=Marie-Christine|last6=Espina|first6=Carolina|last7=Key|first7=Timothy J.|last8=Leitzmann|first8=Michael|last9=Norat|first9=Teresa|last10=Powers|first10=Hilary|last11=Wiseman|first11=Martin|last12=Romieu|first12=Isabelle|doi-access=free}}</ref>

'''유럽''': 2011년 연구에 따르면 남성의 경우 전체 암 중 10건 중 1건, 여성의 경우 33건 중 1건이 과거 또는 현재 알코올 섭취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ref>[https://www.bbc.co.uk/news/health-12999000 Drinking over recommended limit 'raises cancer risk']. BBC. 8 April 2011</ref><ref>{{cite journal|title=Alcohol attributable burden of incidence of cancer in eight European countries based on results from prospective cohort study|journal=BMJ|last1=Schutze|first1=M.|last2=Boeing|first2=H.|year=2011|volume=342|pages=d1584|doi=10.1136/bmj.d1584|pmc=3072472|pmid=21474525|display-authors=29|last3=Pischon|first3=T.|last4=Rehm|first4=J.|last5=Kehoe|first5=T.|last6=Gmel|first6=G.|last7=Olsen|first7=A.|last8=Tjonneland|first8=A. M.|last9=Dahm|first9=C. C.|last10=Overvad|first10=K.|last11=Clavel-Chapelon|first11=F.|last12=Boutron-Ruault|first12=M.-C.|last13=Trichopoulou|first13=A.|last14=Benetou|first14=V.|last15=Zylis|first15=D.|last16=Kaaks|first16=R.|last17=Rohrmann|first17=S.|last18=Palli|first18=D.|last19=Berrino|first19=F.|last20=Tumino|first20=R.|last21=Vineis|first21=P.|last22=Rodriguez|first22=L.|last23=Agudo|first23=A.|last24=Sanchez|first24=M.-J.|last25=Dorronsoro|first25=M.|last26=Chirlaque|first26=M.-D.|last27=Barricarte|first27=A.|last28=Peeters|first28=P. H.|last29=Van Gils|first29=C. H.|last30=Khaw|first30=K.-T.}}</ref>

===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2009년 연구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인 중 2,100명이 매년 음주로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ref>[http://www.abc.net.au/news/stories/2009/08/24/2664875.htm Study bolsters alcohol-cancer link] ABC News 24 August 2009</ref>

== [[발암물질]]및 [[공동발암물질]]로써의 알코올 ==
1998년에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 암 연구 기관|국제 암 연구기관]](Centre International de Recherche sur le Cancer)는 알코올 음료를 발암물질로 분류하였다. 그 평가에 따르면, "인간을 대상으로 한 알코올 음료의 발암성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있다. [...] 알코올 음료는 IARC 기준 그룹 1에 속하는 발암물질로 분류된다"고 기재하였다.<ref>{{Cite book|url=https://archive.org/details/alcoholdrinking0044iarc|title=Alcohol drinking|year=1988|publisher=[[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location=Lyon|pages=258–259|isbn=978-92-832-1244-7|url-access=registration}}</ref> 추가적인 [[역학 (의학)|역학]]적 증거에 의해 알코올과 암 발생과의 관련성을 입증함에 따라, IARC는 2007년에 재회의를 실시하였다. 역학적 연구 결과, 알코올 종류와 관계없이 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에탄올 노출에 따른 암 발생 위험 증가를 보여주는 동물 연구를 바탕으로 알코올 음료의 에탄올이 인간에게 발암성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알코올은 유방암, 간암, 대장암, 식도암, 인두암, 후두암, 구강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009년에는 에탄올의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 역시 인간에게 발암성을 미치는 물질로 판단되었다.<ref>{{Citation|last=Brooks|first=Philip J.|title=Alcohol as a Human Carcinogen|date=2011|url=http://link.springer.com/10.1007/978-1-4614-0040-0_1|work=Alcohol and Cancer|pages=1–4|editor-last=Zakhari|editor-first=Samir|place=New York, NY|publisher=Springer New York|language=en|doi=10.1007/978-1-4614-0040-0_1|isbn=978-1-4614-0039-4|access-date=2022-09-12|editor2-last=Vasiliou|editor2-first=Vasilis|editor3-last=Guo|editor3-first=Q. Max}}</ref> 2021년 미국 국립독성프로그램(NTP)의 15차 보고서에서는 알코올 음료를 "인간에게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로 분류하였으며,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물질"로 분류하였다.<ref>{{Cite report|website=National Toxicology Program (NTP)|title=15th Report on Carcinogens|doi=10.22427/ntp-other-1003|s2cid=245412518|doi-access=free}}</ref>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2023년 8월 28일 (월) 19:47 판

알코올과 암알코올과 같은 질병을 일으키는 연관성을 가르키는 단어이다.

설명

알코올은 식도암, 간암, 유방암, 결장암, 구강암, 직장암, 인두암, 후두암을 유발하고 췌장암을 유발할 수 있다. 알코올 섭취의 양에 관계 없이도 암을 유발할 수 있다. 더 많은 알코올을 섭취할수록 암 위험이 높아지고 어떤 양도 안전한 것으로 간주할 수 없다. 술 음료는 1988년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1군 발암물질로 분류했다.

전 세계적으로 모든 암 사례의 3.6%와 암 사망의 3.5%는 알코올(보다 구체적으로, 에탄올의 대사 유도체인 아세트알데히드) 소비에 기인한다. 2020년 740,000건의 암 발병 사례, 즉 새로운 발병 사례의 4.1%가 알코올에 기인했다.

알코올은 세 가지 주요 메커니즘을 통해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1. DNA 메틸화
  2. 산화 스트레스
  3. 호르몬 변화

이뿐만 아니라 간경화, 미생물 불균형, 면역 체계 기능 감소, 레티노이드 대사, 염증 수준 증가, 1-탄소 대사 및 엽산 흡수 방해의 이차 메커니즘도 이에 해당한다.

남성의 경우 주당 15잔 이상, 여성의 경우 주당 8잔 이상의 과음은 적당한 음주에 비해 암 발병률이 가장 높았다. 알코올 관련 사례의 비율은 남성:여성이 3:1이며, 특히 식도암간암에서 그렇다.

일부 국가에서는 소비자에게 술과 암에 대해 알리는 술 포장 경고 메시지를 도입했다. 알코올 업계는 알코올 음료에 암 경고 라벨을 부착하도록 요구하는 법률을 제거하기 위한 캠페인을 진행하는 것 외에도 알코올 소비로 인한 암 위험에 대해 대중을 적극적으로 오도하려고 노력했다.

알코올 관련 암의 역학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암의 유병률

2020년 전 세계적으로 약 74만 건의 알코올 관련 암이 확인되었다.[1][2]

  • 58%(430,000건)의 사례가 아시아에서 발생하였다.
  • 25%(180,000건)의 사례가 유럽에서 발생하였다.
  • 8%(60,000건)의 사례가 북아메리카에서 발생하였다.
  • 5%(39,000건)의 사례가 라틴아메리카에서 발생하였다.
  • 3%(23,000건)의 사례가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였다.
  • 1%(7,000건)의 사례가 이외의 지역에서 발생하였다.

740,000건의 사례 중 75% 이상이 남성이었다.[3]

미국

미국에서는 델라웨어주, 콜로라도주, 워싱턴 D.C, 뉴햄프셔주, 알래스카주에서 알코올 관련 암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반대로, 켄터키주, 애리조나주, 오클라호마주, 웨스트버지니아주, 유타주에서는 알코올 관련 암 발생률이 가장 낮았다.[4]

2013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에서 매년 약 19,000명(4%)의 암 관련 사망자가 음주로 인해 발생했으며, 유방암식도암으로 인한 사망이 각각 여성과 남성에서 가장 흔했다.[5][6]

미국 내 암 사망의 약 3.2%가 음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주별 사망률 분포는 발생률의 분포와 일치하였다.[4]

유럽

유럽 남성의 암 진단 중 약 10%가 음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럽 여성의 암 진단 중 3%가 음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7]

유럽: 2011년 연구에 따르면 남성의 경우 전체 암 중 10건 중 1건, 여성의 경우 33건 중 1건이 과거 또는 현재 알코올 섭취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8][9]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2009년 연구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인 중 2,100명이 매년 음주로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10]

발암물질공동발암물질로써의 알코올

1998년에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 암 연구기관(Centre International de Recherche sur le Cancer)는 알코올 음료를 발암물질로 분류하였다. 그 평가에 따르면, "인간을 대상으로 한 알코올 음료의 발암성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있다. [...] 알코올 음료는 IARC 기준 그룹 1에 속하는 발암물질로 분류된다"고 기재하였다.[11] 추가적인 역학적 증거에 의해 알코올과 암 발생과의 관련성을 입증함에 따라, IARC는 2007년에 재회의를 실시하였다. 역학적 연구 결과, 알코올 종류와 관계없이 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에탄올 노출에 따른 암 발생 위험 증가를 보여주는 동물 연구를 바탕으로 알코올 음료의 에탄올이 인간에게 발암성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알코올은 유방암, 간암, 대장암, 식도암, 인두암, 후두암, 구강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009년에는 에탄올의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 역시 인간에게 발암성을 미치는 물질로 판단되었다.[12] 2021년 미국 국립독성프로그램(NTP)의 15차 보고서에서는 알코올 음료를 "인간에게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로 분류하였으며,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물질"로 분류하였다.[13]

외부 링크

같이 보기

  1. Rumgay, Harriet; Shield, Kevin; Charvat, Hadrien; Ferrari, Pietro; Sornpaisarn, Bundit; Obot, Isidore; Islami, Farhad; Lemmens, Valery E. P. P.; Rehm, Jürgen; Soerjomataram, Isabelle (2021년 8월 1일). “Global burden of cancer in 2020 attributable to alcohol consumption: a population-based study”. 《The Lancet Oncology》 (영어) 22 (8): 1071–1080. doi:10.1016/S1470-2045(21)00279-5. ISSN 1470-2045. PMC 8324483. PMID 34270924. 
  2. “Cancer and Alcohol”. 《gco.iarc.fr》 (영어). 2022년 9월 14일에 확인함. 
  3. “Report Details Alcohol's Global Cancer Burden - NCI”. 《www.cancer.gov》 (영어). 2021년 8월 12일. 2022년 9월 14일에 확인함. 
  4. Goding Sauer, Ann; Fedewa, Stacey A.; Bandi, Priti; Minihan, Adair K.; Stoklosa, Michal; Drope, Jeffrey; Gapstur, Susan M.; Jemal, Ahmedin; Islami, Farhad (2021년 4월 1일). “Proportion of cancer cases and deaths attributable to alcohol consumption by US state, 2013-2016”. 《Cancer Epidemiology》 (영어) 71 (Pt A): 101893. doi:10.1016/j.canep.2021.101893. ISSN 1877-7821. PMID 33477084. S2CID 231680583. 
  5. Goding Sauer, Ann; Fedewa, Stacey A.; Bandi, Priti; Minihan, Adair K.; Stoklosa, Michal; Drope, Jeffrey; Gapstur, Susan M.; Jemal, Ahmedin; Islami, Farhad (2021년 4월 1일). “Proportion of cancer cases and deaths attributable to alcohol consumption by US state, 2013-2016”. 《Cancer Epidemiology》 (영어) 71 (Pt A): 101893. doi:10.1016/j.canep.2021.101893. ISSN 1877-7821. PMID 33477084. S2CID 231680583. 
  6. Nelson, David E.; Jarman, Dwayne W.; Rehm, Jürgen; Greenfield, Thomas K.; Rey, Grégoire; Kerr, William C.; Miller, Paige; Shield, Kevin D.; Ye, Yu; Naimi, Timothy S. (April 2013). “Alcohol-Attributable Cancer Deaths and Years of Potential Life Lost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3 (4): 641–648. doi:10.2105/AJPH.2012.301199. ISSN 0090-0036. PMC 3673233. PMID 23409916. 
  7. Scoccianti, Chiara; Cecchini, Michele; Anderson, Annie S.; Berrino, Franco; Boutron-Ruault, Marie-Christine; Espina, Carolina; Key, Timothy J.; Leitzmann, Michael; Norat, Teresa; Powers, Hilary; Wiseman, Martin; Romieu, Isabelle (2016년 12월 1일). “European Code against Cancer 4th Edition: Alcohol drinking and cancer”. 《Cancer Epidemiology》 (영어) 45: 181–188. doi:10.1016/j.canep.2016.09.011. ISSN 1877-7821. PMID 27816465. 
  8. Drinking over recommended limit 'raises cancer risk'. BBC. 8 April 2011
  9. Schutze, M.; Boeing, H.; Pischon, T.; Rehm, J.; Kehoe, T.; Gmel, G.; Olsen, A.; Tjonneland, A. M.; Dahm, C. C.; Overvad, K.; Clavel-Chapelon, F.; Boutron-Ruault, M.-C.; Trichopoulou, A.; Benetou, V.; Zylis, D.; Kaaks, R.; Rohrmann, S.; Palli, D.; Berrino, F.; Tumino, R.; Vineis, P.; Rodriguez, L.; Agudo, A.; Sanchez, M.-J.; Dorronsoro, M.; Chirlaque, M.-D.; Barricarte, A.; Peeters, P. H.; Van Gils, C. H.; 외. (2011). “Alcohol attributable burden of incidence of cancer in eight European countries based on results from prospective cohort study”. 《BMJ》 342: d1584. doi:10.1136/bmj.d1584. PMC 3072472. PMID 21474525. 
  10. Study bolsters alcohol-cancer link ABC News 24 August 2009
  11. 《Alcohol drinking》. Lyon: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1988. 258–259쪽. ISBN 978-92-832-1244-7. 
  12. Brooks, Philip J. (2011), Zakhari, Samir; Vasiliou, Vasilis; Guo, Q. Max, 편집., “Alcohol as a Human Carcinogen”, 《Alcohol and Cancer》 (영어) (New York, NY: Springer New York), 1–4쪽, doi:10.1007/978-1-4614-0040-0_1, ISBN 978-1-4614-0039-4, 2022년 9월 12일에 확인함 
  13. 15th Report on Carcinogens. 《National Toxicology Program (NTP)》 (보고서). doi:10.22427/ntp-other-1003. S2CID 245412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