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LR072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23번째 줄: 23번째 줄:


SBP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복막천자]]를 통해 [[복강]] 안에 들어 있는 [[복막액]]을 얻어야 한다.<ref name="pmid10673079">{{cite journal |vauthors=Rimola A, García-Tsao G, Navasa M, etal | title = Diagnosis,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a consensus document. International Ascites Club | journal = J. Hepatol. | volume = 32 | issue = 1 | pages = 142–53 |date=January 2000 | pmid = 10673079 | doi = 10.1016/S0168-8278(00)80201-9}}</ref> 복막액 내에 [[호중구]]가 250/µL보다 많이 존재한다면 감염이 있는 것으로 진단하여 [[미생물 배양|배양]] 검사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항생제]]를 투여한다.<ref name="Dever2015">{{cite journal|last1=Dever|first1=JB|last2=Sheikh|first2=MY|title=Review article: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bacteriology, diagnosis, treatment, risk factors and prevention|journal=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date=June 2015|volume=41|issue=11|pages=1116–31|doi=10.1111/apt.13172|pmid=25819304|s2cid=25620132|type=Review|doi-access=free}}</ref> 항생제에 더해 [[혈청 알부민|알부민]]도 함께 투여되는 경우가 많다.<ref name="Dever2015"/>
SBP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복막천자]]를 통해 [[복강]] 안에 들어 있는 [[복막액]]을 얻어야 한다.<ref name="pmid10673079">{{cite journal |vauthors=Rimola A, García-Tsao G, Navasa M, etal | title = Diagnosis,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a consensus document. International Ascites Club | journal = J. Hepatol. | volume = 32 | issue = 1 | pages = 142–53 |date=January 2000 | pmid = 10673079 | doi = 10.1016/S0168-8278(00)80201-9}}</ref> 복막액 내에 [[호중구]]가 250/µL보다 많이 존재한다면 감염이 있는 것으로 진단하여 [[미생물 배양|배양]] 검사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항생제]]를 투여한다.<ref name="Dever2015">{{cite journal|last1=Dever|first1=JB|last2=Sheikh|first2=MY|title=Review article: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bacteriology, diagnosis, treatment, risk factors and prevention|journal=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date=June 2015|volume=41|issue=11|pages=1116–31|doi=10.1111/apt.13172|pmid=25819304|s2cid=25620132|type=Review|doi-access=free}}</ref> 항생제에 더해 [[혈청 알부민|알부민]]도 함께 투여되는 경우가 많다.<ref name="Dever2015"/>

[[콩팥]]의 기능 이상과 간의 기능 부전이 나타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간신증후군]] 등이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에 의해 촉발될 수 있다.<ref name="Fernandez">{{cite journal |last1=Fernández |first1=J |last2=Bauer |first2=TM |last3=Navasa |first3=M |last4=Rodés |first4=J |title=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journal=Baillière's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Gastroenterology |date=December 2000 |volume=14 |issue=6 |pages=975–990 |doi=10.1053/bega.2000.0142 |pmid=11139350}}</ref><ref name="Fukui">{{cite journal |last1=Fukui |first1=H |last2=Kawaratani |first2=H |last3=Kaji |first3=K |last4=Takaya |first4=H |last5=Yoshiji |first5=H |title=Management of refractory cirrhotic ascites: challenges and solutions. |journal=Hepatic Medicine: Evidence and Research |date=2018 |volume=10 |pages=55–71 |doi=10.2147/HMER.S136578 |pmid=30013405|pmc=6039068 }}</ref> SBP 환자의 약 30%에서 콩팥의 기능 장애가 발생하며, 이는 SBP 환자의 사망률을 예측하는 강력한 지표 중 하나이다. 콩팥의 기능 장애가 발생하는 소견이 관찰될 경우 알부민을 함께 투여한다.<ref name=AithalMoore/>

[[진균]]의 감염에 의해 '''자발성 진균성 복막염'''(spontaneous fungal peritonitis, '''SFP''')이 발생하기도 하며, 세균 감염과 간혹 동반되기도 한다.<ref name="Shizuma">{{cite journal |last1=Shizuma |first1=T |title=Spontaneous bacterial and fungal peritonitis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 literature review. |journal=World Journal of Hepatology |date=27 February 2018 |volume=10 |issue=2 |pages=254–266 |doi=10.4254/wjh.v10.i2.254 |pmid=29527261|pmc=5838444 }}</ref>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2023년 7월 2일 (일) 16:51 판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진료과위장병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증상발열, 오한, 구역질, 구토, 복통, 의식저하, 복수의 악화
병인세균 감염, 가장 흔한 원인균은 대장균
진단 방식복막천자로 복수를 바늘흡인하여 호중구 수를 계측
치료항생제 투여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SBP)은 뚜렷한 감염원이 확인되지 않는데 복막세균감염되는 질환을 말한다.[1] 복막액의 부피가 증가하여 복수가 차 있을 때, 복수가 감염되어 염증이 생기는 경우를 특별히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이라고 한다.[2] 복수가 생기는 가장 흔한 원인은 간경변증의 합병증이다.[1] 신증후군 환자에서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이 생기기도 한다.[3][4]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다.[5]

SBP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복막천자를 통해 복강 안에 들어 있는 복막액을 얻어야 한다.[6] 복막액 내에 호중구가 250/µL보다 많이 존재한다면 감염이 있는 것으로 진단하여 배양 검사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항생제를 투여한다.[7] 항생제에 더해 알부민도 함께 투여되는 경우가 많다.[7]

콩팥의 기능 이상과 간의 기능 부전이 나타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간신증후군 등이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에 의해 촉발될 수 있다.[8][9] SBP 환자의 약 30%에서 콩팥의 기능 장애가 발생하며, 이는 SBP 환자의 사망률을 예측하는 강력한 지표 중 하나이다. 콩팥의 기능 장애가 발생하는 소견이 관찰될 경우 알부민을 함께 투여한다.[10]

진균의 감염에 의해 자발성 진균성 복막염(spontaneous fungal peritonitis, SFP)이 발생하기도 하며, 세균 감염과 간혹 동반되기도 한다.[11]

참고 문헌

  1. Lata J, Stiburek O, Kopacova M (November 2009).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a severe complication of liver cirrhosis”. 《World J. Gastroenterol.》 15 (44): 5505–10. doi:10.3748/wjg.15.5505. PMC 2785051. PMID 19938187. 
  2. Alaniz, C; Regal, RE (April 2009).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a review of treatment options.”. 《Pharmacy and Therapeutics》 34 (4): 204–10. PMC 2697093. PMID 19561863. 
  3. Hingorani SR, Weiss NS, Watkins SL (August 2002). “Predictors of peritonitis in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Pediatr. Nephrol.》 17 (8): 678–82. doi:10.1007/s00467-002-0890-6. PMID 12185481. S2CID 8399366. 
  4. Teo, S; Walker, A; Steer, A (December 2013).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as a presenting feature of nephrotic syndrome”. 《Journal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Review) 49 (12): 1069–71. doi:10.1111/jpc.12389. PMID 24118585. S2CID 13181267. 
  5. MacIntosh, T (2018년 3월 1일). “Emergency Management of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 A Clinical Review.”. 《Cureus》 10 (3): e2253. doi:10.7759/cureus.2253. PMC 5929973. PMID 29721399. 
  6. Rimola A, García-Tsao G, Navasa M, 외. (January 2000). “Diagnosis,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a consensus document. International Ascites Club”. 《J. Hepatol.》 32 (1): 142–53. doi:10.1016/S0168-8278(00)80201-9. PMID 10673079. 
  7. Dever, JB; Sheikh, MY (June 2015). “Review article: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bacteriology, diagnosis, treatment, risk factors and prevention”.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Review) 41 (11): 1116–31. doi:10.1111/apt.13172. PMID 25819304. S2CID 25620132. 
  8. Fernández, J; Bauer, TM; Navasa, M; Rodés, J (December 2000).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Baillière's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Gastroenterology》 14 (6): 975–990. doi:10.1053/bega.2000.0142. PMID 11139350. 
  9. Fukui, H; Kawaratani, H; Kaji, K; Takaya, H; Yoshiji, H (2018). “Management of refractory cirrhotic ascites: challenges and solutions.”. 《Hepatic Medicine: Evidence and Research》 10: 55–71. doi:10.2147/HMER.S136578. PMC 6039068. PMID 30013405. 
  10.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AithalMoore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1. Shizuma, T (2018년 2월 27일). “Spontaneous bacterial and fungal peritonitis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 literature review.”. 《World Journal of Hepatology》 10 (2): 254–266. doi:10.4254/wjh.v10.i2.254. PMC 5838444. PMID 2952726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