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LR0725 (토론 | 기여)
37번째 줄: 37번째 줄:
=== 이차예방 ===
=== 이차예방 ===
스타틴은 이미 심혈관계 질환에 걸린 환자의 사망률을 낮추는 이차예방에도 효과적이다.<ref name="Collins2016" /> 이미 존재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증상과 징후는 다양하다. 이전의 심장 발작, 뇌졸중, 안정 또는 불안정 [[협심증]], [[대동맥류]], 그 외의 허혈성 질환, [[죽상경화증]] 등이 모두 심혈관계 질환에 포함된다.<ref name="AHA 2018"/>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사람에서도 스타틴의 사용이 권장된다.<ref name=NICEquick>{{cite web |author=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author-link=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title=Lipid modification – Cardiovascular risk assessment and the modification of blood lipids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 Quick reference guide |url=http://www.nice.org.uk/nicemedia/live/11982/40675/40675.pdf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0408210750/http://www.nice.org.uk/nicemedia/live/11982/40675/40675.pdf |url-status=dead |archive-date=8 April 2011 |orig-year=May 2008 |date=March 2010 |access-date=2010-08-25 |df=dmy-all }}</ref> 평균적으로 스타틴은 장기간 치료 시 LDL 콜레스테롤을 1.8mmol/L (70mg/dL) 낮출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심장 발작이나 돌연 심장사를 60% 감소시키고 뇌졸중 발생 위험도 17% 줄일 수 있다.<ref>{{cite journal | vauthors = Law MR, Wald NJ, Rudnicka AR | title = Quantifying effect of statins on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schaemic heart disease, and strok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journal = BMJ | volume = 326 | issue = 7404 | pages = 1423–1430 | date = June 2003 | pmid = 12829554 | pmc = 162260 | doi = 10.1136/bmj.326.7404.1423 }}</ref> 고강도 스타틴 치료 시에 더 큰 치료상의 이득이 관찰된다.<ref>{{cite journal | vauthors = Pisaniello AD, Scherer DJ, Kataoka Y, Nicholls SJ | s2cid = 539314 | title = Ongoing challenges for pharmacotherapy for dyslipidemia | journal = Expert Opinion on Pharmacotherapy | volume = 16 | issue = 3 | pages = 347–356 | date = February 2015 | pmid = 25476544 | doi = 10.1517/14656566.2014.986094 }}</ref> [[트라이글리세리드]]를 줄이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밀도 지질단백질|HDL]]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데에는 [[피브레이트]]나 [[나이아신]]보다 효과가 적다.<ref name="Kushner2016">{{cite journal | vauthors = Kushner PA, Cobble ME | s2cid = 45663315 | title = Hypertriglyceridemia: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patients at risk | journal = Postgraduate Medicine | volume = 128 | issue = 8 | pages = 848–858 | date = November 2016 | pmid = 27710158 | doi = 10.1080/00325481.2016.1243005 | type = Review }}</ref><ref name="Khera2013">{{cite journal | vauthors = Khera AV, Plutzky J | title = Management of low levels of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 journal = Circulation | volume = 128 | issue = 1 | pages = 72–78 | date = July 2013 | pmid = 23817482 | pmc = 4231714 | doi = 10.1161/CIRCULATIONAHA.112.000443 | type = Review }}</ref>
스타틴은 이미 심혈관계 질환에 걸린 환자의 사망률을 낮추는 이차예방에도 효과적이다.<ref name="Collins2016" /> 이미 존재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증상과 징후는 다양하다. 이전의 심장 발작, 뇌졸중, 안정 또는 불안정 [[협심증]], [[대동맥류]], 그 외의 허혈성 질환, [[죽상경화증]] 등이 모두 심혈관계 질환에 포함된다.<ref name="AHA 2018"/>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사람에서도 스타틴의 사용이 권장된다.<ref name=NICEquick>{{cite web |author=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author-link=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title=Lipid modification – Cardiovascular risk assessment and the modification of blood lipids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 Quick reference guide |url=http://www.nice.org.uk/nicemedia/live/11982/40675/40675.pdf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0408210750/http://www.nice.org.uk/nicemedia/live/11982/40675/40675.pdf |url-status=dead |archive-date=8 April 2011 |orig-year=May 2008 |date=March 2010 |access-date=2010-08-25 |df=dmy-all }}</ref> 평균적으로 스타틴은 장기간 치료 시 LDL 콜레스테롤을 1.8mmol/L (70mg/dL) 낮출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심장 발작이나 돌연 심장사를 60% 감소시키고 뇌졸중 발생 위험도 17% 줄일 수 있다.<ref>{{cite journal | vauthors = Law MR, Wald NJ, Rudnicka AR | title = Quantifying effect of statins on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schaemic heart disease, and strok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journal = BMJ | volume = 326 | issue = 7404 | pages = 1423–1430 | date = June 2003 | pmid = 12829554 | pmc = 162260 | doi = 10.1136/bmj.326.7404.1423 }}</ref> 고강도 스타틴 치료 시에 더 큰 치료상의 이득이 관찰된다.<ref>{{cite journal | vauthors = Pisaniello AD, Scherer DJ, Kataoka Y, Nicholls SJ | s2cid = 539314 | title = Ongoing challenges for pharmacotherapy for dyslipidemia | journal = Expert Opinion on Pharmacotherapy | volume = 16 | issue = 3 | pages = 347–356 | date = February 2015 | pmid = 25476544 | doi = 10.1517/14656566.2014.986094 }}</ref> [[트라이글리세리드]]를 줄이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밀도 지질단백질|HDL]]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데에는 [[피브레이트]]나 [[나이아신]]보다 효과가 적다.<ref name="Kushner2016">{{cite journal | vauthors = Kushner PA, Cobble ME | s2cid = 45663315 | title = Hypertriglyceridemia: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patients at risk | journal = Postgraduate Medicine | volume = 128 | issue = 8 | pages = 848–858 | date = November 2016 | pmid = 27710158 | doi = 10.1080/00325481.2016.1243005 | type = Review }}</ref><ref name="Khera2013">{{cite journal | vauthors = Khera AV, Plutzky J | title = Management of low levels of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 journal = Circulation | volume = 128 | issue = 1 | pages = 72–78 | date = July 2013 | pmid = 23817482 | pmc = 4231714 | doi = 10.1161/CIRCULATIONAHA.112.000443 | type = Review }}</ref>

이전에 뇌졸중 병력이 있던 환자의 인지 기능에 스타틴이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연구는 없었다. 그러나 혈관 질환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한 두 건의 대규모 연구에서는 심바스타틴과 프라바스타틴이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ref>{{Cite journal|vauthors=Mijajlović MD, Pavlović A, Brainin M, Heiss WD, Quinn TJ, Ihle-Hansen HB, Hermann DM, Assayag EB, Richard E, Thiel A, Kliper E, Shin YI, Kim YH, Choi S, Jung S, Lee YB, Sinanović O, Levine DA, Schlesinger I, Mead G, Milošević V, Leys D, Hagberg G, Ursin MH, Teuschl Y, Prokopenko S, Mozheyko E, Bezdenezhnykh A, Matz K, Aleksić V, Muresanu D, Korczyn AD, Bornstein NM|display-authors=6|date=December 2017|title=Post-stroke dementia – a comprehensive review|journal=BMC Medicine|volume=15|issue=1|pages=11|doi=10.1186/s12916-017-0779-7|pmc=5241961|pmid=28095900}}</ref>

스타틴이 심혈관계 수술에서 수술의 예후를 개선하는지 연구가 진행되기도 했다.<ref>{{cite journal | vauthors = de Waal BA, Buise MP, van Zundert AA | title = Perioperative statin therapy in patients at high risk for cardiovascular morbidity undergoing surgery: a review | journal =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 volume = 114 | issue = 1 | pages = 44–52 | date = January 2015 | pmid = 25186819 | doi = 10.1093/bja/aeu295 | doi-access = free }}</ref> 사망률과 심혈관 사건이 스타틴을 사용한 환자군에서 감소하였다.<ref>{{cite journal | vauthors = Antoniou GA, Hajibandeh S, Hajibandeh S, Vallabhaneni SR, Brennan JA, Torella F | title =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statins on perioperative outcomes in vascular and endovascular surgery | journal = Journal of Vascular Surgery | volume = 61 | issue = 2 | pages = 519–532.e1 | date = February 2015 | pmid = 25498191 | doi = 10.1016/j.jvs.2014.10.021 | doi-access = free }}</ref>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3년 4월 13일 (목) 20:35 판

스타틴
약물 종류
Lovastatin
클래스 식별자
이용고콜레스테롤혈증
ATC 코드C10AA
생물학적 표적HMG-CoA reductase
임상 데이터
Drugs.comDrug Classes
외부 링크
MeSHD019161
위키데이터

스타틴(영어: Statin)는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로도 알려져 있으며, 약물의 이름이 스타틴(-statin)으로 끝나는 항고지질혈증제의 한 군을 가리킨다. 스타틴은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약물로서, 이들 질환에 의한 심혈관계 이상 증상과 사망률을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이러한 효과는 심혈관계 질환 환자 및, 심혈관계 질환이 없는 위험군 환자에서의 예방적 치료에서도 입증되었다.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제 중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2]

콜레스테롤의 운반체 중 하나인 저밀도 지질단백질(LPL)은 지질 가설이라 불리는 기전을 통해 죽상경화증관상동맥질환의 발생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스타틴은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데에 효과적인데, 따라서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은 환자의 일차예방이나 이미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한 환자의 이차예방에 널리 사용된다.[3][4][5]

스타틴의 부작용에는 근육통, 당뇨병 위험 증가, 비정상적으로 올라가는 간기능검사 수치 등이 있다.[6] 또한 근육의 손상 같이 드물지만 심한 부작용도 보고된 바 있다.[7] 스타틴은 콜레스테롤의 생산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HMG-CoA 환원효소를 억제하여 작용한다. 높은 콜레스테롤 농도는 심혈관계 질환 발생과 관련이 있다.[8]

현재 약제로 이용 가능한 스타틴에는 아토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로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등이 있다.[9] 스타틴과 다른 약물을 혼합한 약제들, 가령 에제티미브/심바스타틴도 쓰이고 있다. 스타틴에 속하는 심바스타틴은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도 포함되어 있다.[10] 2005년 기준의 미국 판매량은 187억 달러에 이르렀다.[11] 2003년에는 아토바스타틴이 역사상 가장 잘 팔린 약제로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12] 제조사인 화이자는 2008년 판매량이 124억 달러라고 기록했다.[13]

의학적 사용

스타틴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고, 죽상경화증과 관련된 질환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죽상경화증 관련 질환의 발생 위험은 심혈관계 질환의 기저 위험 인자(프래밍험 위험 점수)와 과거력에 따라 달라진다. 임상진료지침은 일반적으로 약물 사용 이전에 먼저 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는 식단과 운동 요법을 통해 생활 방식을 개선하도록 권고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목표한 수치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스타틴이 유용할 수 있다.[14][15] 스타틴은 성별에 관계없이 똑같은 작용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데,[16] 문헌에 따라 치료 반응에서 약간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기술되기도 했다.[17]

이미 심혈관계 질환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스타틴의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로 인해 약제를 사용할 때 크게 '일차예방'과 '이차예방'으로 나누어 사용한다.[18]

일차예방

심혈관계 질환의 일차예방을 위해 미국 질병예방 특별위원회(USPSTF)의 2016년 가이드라인에서는 관상동맥질환위험 인자가 적어도 하나 있는 사람, 40세에서 75세 사이인 사람, 2013 ACC/AHA 풀드 코호드 알고리즘에서 향후 10년간 심장 질환 발생 위험이 10% 이상인 사람에서 스타틴을 사용하도록 권고한다.[18][19][20]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인자에는 비정상적인 혈중 지질 농도가 나타나는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고혈압, 흡연이 있다.[19] 또한 같은 조건의 성인에서 향후 10년간 심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이 7.5~10% 또는 그 이상인 경우 저용량에서 중간 정도의 용량으로 스타틴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권고한다.[19] 70세 이상 성인에서는 동맥이 콜레스테롤로 인해 막힌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만 스타틴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21]

대부분의 근거는 스타틴이 심장 질환의 과거력은 없으나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있는 사람에서 심장 질환을 예방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2013년의 코크란 리뷰에서는 그 어떤 유해하다는 근거 없이도 사망과 다른 나쁜 예후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5] 5년 동안 치료했을 때 138명당 1명이 덜 사망하며, 49명당 1명이 심장 질환에 걸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11] 2011년의 리뷰에서도 비슷한 결론을 냈고,[22] 2012년의 리뷰에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치료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23] 2010년의 리뷰에서는 스타틴 치료가 심혈관계 질환의 과거력이 없는 사람에서 남성의 경우에만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사망률에는 이득이 없다고 밝혔다.[24] 2010년에 출판된 두 건의 서로 다른 메타분석에서는 일차예방 시 사망률의 이득은 없다고 밝혔다.[25][26]

영국 국립보건임상연구원(NICE)에서는 향후 10년간 심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이 10% 이상으로 추정되는 경우에 스타틴 치료를 하도록 권고한다.[27] 미국심장학회(ACA)와 미국심장협회(AHA)의 가이드라인에서는 LDL 콜레스테롤이 190mg/dL 이상인 경우, LDL 콜레스테롤이 70~190mg/dL이면서 40~75세인 경우, 향후 10년간 심장 발작이나 뇌졸중 발생 위험이 7.5% 이상인 경우에심혈관계 질환의 일차예방을 위해 스타틴 치료를 시작하도록 권고한다. 마지막의 경우 조건을 만족하였다고 스타틴을 즉각 사용하기보다는, 임상의와 환자 간에 다른 위험 인자나 생활 방식을 따져 봤을 때 스타틴 사용이 부작용이나 약물 상호작용을 고려하여도 이득이 큰 경우에 환자의 명시적인 동의를 얻고 사용하도록 권장된다. 만일 위험 결정이 불확실하다면 가족력,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coronary calcium score), 발목위팔지수, 염증 소견(CRP ≥ 2.0mg/L)을 이용하여 위험 결정을 내리도록 한다. 그 외에 사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위험 인자로는 LDL-C ≥ 160나 아주 높은 전생애위험도(lifetime risk, 평생 한 번이라도 병에 걸릴 위험)가 있다.[28] 그러나 일각에서는 AHA/ACC 가이드라인이 최소 50% 정도 위험을 과대평가하여, 가이드라인에서 예측한 것보다 실제로 질환 발생 위험이 낮아 스타틴 치료가 이득이 되지 않는 환자에게도 스타틴 치료를 권장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29] 유럽심장학회와 유럽죽상경화증학회에서는 추정 심혈관계 점수와 LDL 값을 기준치로 정하여 스타틴을 이용한 일차예방을 권고하고 있다.[30]

이차예방

스타틴은 이미 심혈관계 질환에 걸린 환자의 사망률을 낮추는 이차예방에도 효과적이다.[31] 이미 존재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증상과 징후는 다양하다. 이전의 심장 발작, 뇌졸중, 안정 또는 불안정 협심증, 대동맥류, 그 외의 허혈성 질환, 죽상경화증 등이 모두 심혈관계 질환에 포함된다.[18]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사람에서도 스타틴의 사용이 권장된다.[32] 평균적으로 스타틴은 장기간 치료 시 LDL 콜레스테롤을 1.8mmol/L (70mg/dL) 낮출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심장 발작이나 돌연 심장사를 60% 감소시키고 뇌졸중 발생 위험도 17% 줄일 수 있다.[33] 고강도 스타틴 치료 시에 더 큰 치료상의 이득이 관찰된다.[34] 트라이글리세리드를 줄이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데에는 피브레이트나이아신보다 효과가 적다.[35][36]

이전에 뇌졸중 병력이 있던 환자의 인지 기능에 스타틴이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연구는 없었다. 그러나 혈관 질환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한 두 건의 대규모 연구에서는 심바스타틴과 프라바스타틴이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37]

스타틴이 심혈관계 수술에서 수술의 예후를 개선하는지 연구가 진행되기도 했다.[38] 사망률과 심혈관 사건이 스타틴을 사용한 환자군에서 감소하였다.[39]

같이 보기

스타틴 종류

각주

  1. Dyslipidemia, Committee for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2015년 6월 1일). “2015 Korean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Dyslipidemia”. 《Journal of Lipid and Atherosclerosis》 4 (1). doi:10.12997/jla.2015.4.1.61. ISSN 2287-2892. 
  2. “Cholesterol Drugs”.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9년 12월 24일에 확인함. 
  3. Alenghat FJ, Davis AM (2019년 2월 26일). “Management of Blood Cholesterol”. 《JAMA》 321 (8): 800–801. doi:10.1001/jama.2019.0015. PMC 6679800. PMID 30715135. 
  4. National Clinical Guideline Centre (UK) (July 2014). “Lipid Modification: Cardiovascular Risk Assessment and the Modification of Blood Lipids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Guidance. London: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UK). PMID 25340243. NICE Clinical Guidelines, No. 181. 
  5. Taylor F, Huffman MD, Macedo AF, Moore TH, Burke M, Davey Smith G, 외. (January 2013). “Statins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1): CD004816. doi:10.1002/14651858.CD004816.pub5. PMC 6481400. PMID 23440795. 
  6. Naci H, Brugts J, Ades T (July 2013). “Comparative tolerability and harms of individual statins: a study-level network meta-analysis of 246 955 participants from 135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DF). 《Circulation: Cardiovascular Quality and Outcomes》 6 (4): 390–399. doi:10.1161/CIRCOUTCOMES.111.000071. PMID 23838105. S2CID 18340552. 
  7. Abd TT, Jacobson TA (May 2011). “Statin-induced myopathy: a review and update”. 《Expert Opinion on Drug Safety》 10 (3): 373–387. doi:10.1517/14740338.2011.540568. PMID 21342078. S2CID 207487287. 
  8. Lewington S, Whitlock G, Clarke R, Sherliker P, Emberson J, Halsey J, 외. (December 2007). “Blood cholesterol and vascular mortality by age, sex, and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data from 61 prospective studies with 55,000 vascular deaths”. 《Lancet》 370 (9602): 1829–1839. doi:10.1016/S0140-6736(07)61778-4. PMID 18061058. S2CID 54293528. 
  9. Sweetman, Sean C., 편집. (2009). 〈Cardiovascular drugs〉. 《Martindale: the complete drug reference》 36판. London: Pharmaceutical Press. 1155–1434쪽. ISBN 978-0853698401. 
  1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11. Taylor FC, Huffman M, Ebrahim S (December 2013). “Statin therapy for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JAMA》 310 (22): 2451–2452. doi:10.1001/jama.2013.281348. PMID 24276813. 
  1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Simons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3. "Doing Things Differently" 보관됨 12 5월 2013 - 웨이백 머신, Pfizer 2008 Annual Review, 23 April 2009, p. 15.
  14.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2001).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Executive Summary》. Bethesda, M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40쪽. NIH Publication No. 01-3670. 
  15.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Primary Care (2010). 《NICE clinical guideline 67: Lipid modification》 (PDF). London: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38쪽. 10 October 2010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16. Fulcher J, O'Connell R, Voysey M, Emberson J, Blackwell L, Mihaylova B, 외. (April 2015). “Efficacy and safety of LDL-lowering therapy among men and women: meta-analysis of individual data from 174,000 participants in 27 randomised trials”. 《Lancet》 385 (9976): 1397–1405. doi:10.1016/s0140-6736(14)61368-4. hdl:2123/14127. PMID 25579834. S2CID 35330627. 
  17. Cangemi, Roberto; Romiti, Giulio Francesco; Campolongo, Giuseppe; Ruscio, Eleonora; Sciomer, Susanna; Gianfrilli, Daniele; Raparelli, Valeria (March 2017). “Gender related differences in treatment and response to statins in primary and secondary cardiovascular prevention: The never-ending debate”. 《Pharmacological Research》 117: 148–155. doi:10.1016/j.phrs.2016.12.027. PMID 28012963. S2CID 32861954. 
  18. Grundy SM, Stone NJ, Bailey AL, Beam C, Birtcher KK, Blumenthal RS, 외. (June 2019). “2018 AHA/ACC/AACVPR/AAPA/ABC/ACPM/ADA/AGS/APhA/ASPC/NLA/PCNA Guideline on the Management of Blood Cholesterol”.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73 (24): e285–e350. doi:10.1016/j.jacc.2018.11.003. PMID 30423393. 
  19. Bibbins-Domingo K, Grossman DC, Curry SJ, Davidson KW, Epling JW, García FA, 외. (November 2016). “Statin Use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Adult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JAMA》 316 (19): 1997–2007. doi:10.1001/jama.2016.15450. PMID 27838723. S2CID 205075217. 
  20. “ACC/AHA ASCVD Risk Calculator”. 《www.cvriskcalculator.com》. 2019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8일에 확인함. 
  21. Cholesterol Treatment Trialists' Collaboration (February 2019). “Efficacy and safety of statin therapy in older people: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participant data from 28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The Lancet》 393 (10170): 407–415. doi:10.1016/S0140-6736(18)31942-1. PMC 6429627. PMID 30712900. 
  2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CMAJ11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3. Kostis WJ, Cheng JQ, Dobrzynski JM, Cabrera J, Kostis JB (February 2012). “Meta-analysis of statin effects in women versus men”.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59 (6): 572–582. doi:10.1016/j.jacc.2011.09.067. PMID 22300691. 
  24. Petretta M, Costanzo P, Perrone-Filardi P, Chiariello M (January 2010). “Impact of gender in primary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with statin therapy: a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138 (1): 25–31. doi:10.1016/j.ijcard.2008.08.001. PMID 18793814. 
  25. Ray KK, Seshasai SR, Erqou S, Sever P, Jukema JW, Ford I, 외. (June 2010). “Statins and all-cause mortality in high-risk primary prevention: a meta-analysis of 11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volving 65,229 participant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70 (12): 1024–1031. doi:10.1001/archinternmed.2010.182. PMID 20585067. 
  26. Bukkapatnam RN, Gabler NB, Lewis WR (2010). “Statins for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mortality in wo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eventive Cardiology》 13 (2): 84–90. doi:10.1111/j.1751-7141.2009.00059.x. PMID 20377811. 
  27.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ssessment and reduction, including lipid modification at www.nice.org.uk”. 2017년 5월 1일에 확인함. 
  28. Stone NJ, Robinson JG, Lichtenstein AH, Bairey Merz CN, Blum CB, Eckel RH, 외. (June 2014). “2013 ACC/AHA guideline on the treatment of blood cholesterol to reduce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risk in adult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Circulation》 129 (25 Suppl 2): S1–45. doi:10.1161/01.cir.0000437738.63853.7a. PMID 24222016. 
  29. Nissen SE (December 2014). “Prevention guidelines: bad process, bad outcome”. 《JAMA Internal Medicine》 174 (12): 1972–1973. doi:10.1001/jamainternmed.2014.3278. PMID 25285604. 
  30. Reiner Ž, Catapano AL, De Backer G, Graham I, Taskinen MR, Wiklund O, 외. (December 2011). “[ESC/EA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aemias]”. 《Revista Espanola de Cardiologia》 64 (12): 1168.e1–1168.e60. doi:10.1016/j.rec.2011.09.015. hdl:2268/205760. PMID 22115524. 
  3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Collins2016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32.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March 2010) [May 2008]. “Lipid modification – Cardiovascular risk assessment and the modification of blood lipids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 Quick reference guide” (PDF). 8 April 2011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5 August 2010에 확인함. 
  33. Law MR, Wald NJ, Rudnicka AR (June 2003). “Quantifying effect of statins on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schaemic heart disease, and strok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326 (7404): 1423–1430. doi:10.1136/bmj.326.7404.1423. PMC 162260. PMID 12829554. 
  34. Pisaniello AD, Scherer DJ, Kataoka Y, Nicholls SJ (February 2015). “Ongoing challenges for pharmacotherapy for dyslipidemia”. 《Expert Opinion on Pharmacotherapy》 16 (3): 347–356. doi:10.1517/14656566.2014.986094. PMID 25476544. S2CID 539314. 
  35. Kushner PA, Cobble ME (November 2016). “Hypertriglyceridemia: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patients at risk”. 《Postgraduate Medicine》 (Review) 128 (8): 848–858. doi:10.1080/00325481.2016.1243005. PMID 27710158. S2CID 45663315. 
  36. Khera AV, Plutzky J (July 2013). “Management of low levels of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Circulation》 (Review) 128 (1): 72–78. doi:10.1161/CIRCULATIONAHA.112.000443. PMC 4231714. PMID 23817482. 
  37. Mijajlović MD, Pavlović A, Brainin M, Heiss WD, Quinn TJ, Ihle-Hansen HB, 외. (December 2017). “Post-stroke dementia – a comprehensive review”. 《BMC Medicine》 15 (1): 11. doi:10.1186/s12916-017-0779-7. PMC 5241961. PMID 28095900. 
  38. de Waal BA, Buise MP, van Zundert AA (January 2015). “Perioperative statin therapy in patients at high risk for cardiovascular morbidity undergoing surgery: a review”.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114 (1): 44–52. doi:10.1093/bja/aeu295. PMID 25186819. 
  39. Antoniou GA, Hajibandeh S, Hajibandeh S, Vallabhaneni SR, Brennan JA, Torella F (February 2015).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statins on perioperative outcomes in vascular and endovascular surgery”. 《Journal of Vascular Surgery》 61 (2): 519–532.e1. doi:10.1016/j.jvs.2014.10.021. PMID 25498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