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환계 항우울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LR0725 (토론 | 기여)
29번째 줄: 29번째 줄:
== 삼환계 약물 ==
== 삼환계 약물 ==
삼환계 약물(Tricyclics)로 불리는 이들 약물은 기본적으로 이미 작동에 들어간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등의 여러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 메커니즘에서 이들 수용체의 기능을 억제 및 차단하는 등 보다 광범위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환계 약물(Tricyclics)로 불리는 이들 약물은 기본적으로 이미 작동에 들어간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등의 여러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 메커니즘에서 이들 수용체의 기능을 억제 및 차단하는 등 보다 광범위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화학 ==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삼환계 항우울제는 [[화학 구조]]의 관점에서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ref name="Ghose2013">{{cite book|author=K. Ghose|title=Antidepressants for Elderly People|url=https://books.google.com/books?id=JVn0BwAAQBAJ&pg=PA182|date=11 November 2013|publisher=Springer|isbn=978-1-4899-3436-9|pages=182–}}</ref><ref name="Aronson2009">{{cite book|author=J. K. Aronson|title=Meyler's Side Effects of Psychiatric Drugs|url=https://books.google.com/books?id=AmYFTSO8jCkC&pg=PA7|year=2009|publisher=Elsevier|isbn=978-0-444-53266-4|pages=7–}}</ref><ref name="Anthony2002">{{cite book|author=Patricia K. Anthony|title=Pharmacology Secrets|url=https://books.google.com/books?id=_QQsj3PAUrEC&pg=PA39|year=2002|publisher=Elsevier Health Sciences|isbn=978-1-56053-470-9|pages=39–}}</ref> 두 그룹을 나누는 기준은 삼환식 화합물의 고리이다.<ref name="Ghose2013" /><ref name="Aronson2009" /><ref name="Anthony2002" /> 이 두 그룹은 [[다이벤즈아제핀]]([[이미프라민]], [[데시프라민]], [[클로미프라민]], [[로페프라민]] 등)과 [[다이벤조사이클로헵텐]]([[아미트립틸린]], [[노르트립틸린]], [[프로트립틸린]], [[뷰트립틸린]] 등)이다.<ref name="Ghose2013" /><ref name="Aronson2009" /> 그 외에 삼환계 항우울제의 작은 그룹에는 [[다이벤즈옥세핀]]([[독세핀]]), [[다이벤조티에핀]]([[도술레핀]]), [[다이벤즈옥사제핀]]([[아목사핀]]) 등이 있다.<ref name="Ghose2013" /><ref name="Aronson2009" />


== 약물 목록 ==
== 약물 목록 ==

2022년 11월 23일 (수) 23:47 판

삼환계 항우울제
약물 종류
최초로 시판된 삼환계 항우울제인 이미프라민.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세 개의 고리 구조를 가지고 있다.
클래스 식별자
화학적 분류삼환식 화합물
외부 링크
MeSHD000929
위키데이터

삼환계 항우울제(TCA, Tricyclic antidepressant)는 주로 항우울제로 사용되는 일종의 약물이다. TCA는 1950년대 초에 개발되어 50년대 후반에 본격적으로 판매되었다.[1] 세 개의 원자 고리를 포함하는 화학 구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개의 고리를 함유하는 사환계 항우울제(TeCA, Tetracyclic antidepressant)는 밀접하게 관련된 항우울제 화합물 그룹이다.

삼환계 항우울제를 우울증 치료제로 처방하는 경우도 간혹 있으나 대부분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s),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s),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NRIs) 등 새로운 종류의 항우울제로 대체되었다. TCA와 SSRI 간의 부작용 정도는 비슷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항우울제인 사환계 항우울제 역시 쓰이며 삼환계 항우울제와는 다양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2]

삼환계 약물

삼환계 약물(Tricyclics)로 불리는 이들 약물은 기본적으로 이미 작동에 들어간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등의 여러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 메커니즘에서 이들 수용체의 기능을 억제 및 차단하는 등 보다 광범위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삼환계 항우울제는 화학 구조의 관점에서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3][4][5] 두 그룹을 나누는 기준은 삼환식 화합물의 고리이다.[3][4][5] 이 두 그룹은 다이벤즈아제핀(이미프라민, 데시프라민, 클로미프라민, 로페프라민 등)과 다이벤조사이클로헵텐(아미트립틸린, 노르트립틸린, 프로트립틸린, 뷰트립틸린 등)이다.[3][4] 그 외에 삼환계 항우울제의 작은 그룹에는 다이벤즈옥세핀(독세핀), 다이벤조티에핀(도술레핀), 다이벤즈옥사제핀(아목사핀) 등이 있다.[3][4]

약물 목록

  • † = 전세계 시장에서 철수한 약물

노르에피네프린의 최소 10배 이상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약물에는 다음과 같은 약물이 있다.

세로토닌의 최소 10배 이상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약물에는 다음과 같은 약물이 있다.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모두 비슷하게 억제하는 약물에는 다음과 같은 약물이 있다.

다음은 세로토닌이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가 주된 작용 기전이 아닌 삼환계 항우울제이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1. Carson VB (2000). Mental health nursing: the nurse-patient journey W.B. Saunders. ISBN 978-0-7216-8053-8. pp. 423
  2. Trindade, E.; Menon, D.; Topfer, L. A.; Coloma, C. (November 1998). “Adverse effects associated with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d tricyclic antidepressants: a meta-analysis”.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159 (10): 1245–1252. PMC 1229819. PMID 9861221. 
  3. K. Ghose (2013년 11월 11일). 《Antidepressants for Elderly People》. Springer. 182–쪽. ISBN 978-1-4899-3436-9. 
  4. J. K. Aronson (2009). 《Meyler's Side Effects of Psychiatric Drugs》. Elsevier. 7–쪽. ISBN 978-0-444-53266-4. 
  5. Patricia K. Anthony (2002). 《Pharmacology Secrets》. Elsevier Health Sciences. 39–쪽. ISBN 978-1-56053-4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