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목림프절: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새 문서: {{해부학 정보 |종류 = 림프 |이름 = 목림프절 |영어 = cervical lymph nodes |라틴어 = nodi lymphoidei cervicales |그림 = Lymph node regions.svg |설명 = 구역별 림프조직의 모습. 목 부위는 파란색으로 위쪽에 표시되어 있다. |그림2 = Cervical lymph nodes and levels.png |설명2 = 목림프절의 분류{{sfn|Buyten|2006}}{{sfn|Robbins et al|2002}}{{sfn|Brekel et al|1998}} | DrainsFrom = | DrainsTo = }} 파일:Illu lymph chain02....
(차이 없음)

2022년 9월 19일 (월) 18:36 판

목림프절
구역별 림프조직의 모습. 목 부위는 파란색으로 위쪽에 표시되어 있다.
목림프절의 분류[1][2][3]
정보
식별자
라틴어nodi lymphoidei cervicales
영어cervical lymph nodes
목림프절의 표시

목림프절(cervical lymph nodes) 또는 경부림프절에 위치하는 림프절들이다. 인체에는 800개 가량의 림프절이 존재하며 그중 300개가 목에 위치한다.[4] 종양, 감염, 염증 등 여러 가지 서로 다른 병적 상태가 목림프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5]

임상적 중요성

감염성 단핵구증으로 인해 목림프절이 부을 수 있다. 한편 CT 스캔, MRI, 초음파 영상 등으로 악성 림프절을 발견하는 것은 어려우며, 따라서 PET 스캔과 같은 다른 핵의학적 영상 기법으로 확인이 필요하다. 세침흡인을 통한 조직 진단 역시 정확도가 높아 쓰일 수 있다. 암의 전이가 목림프절에 일어나는 경우 두경부편평세포암종의 가장 중요한 단일 예후 인자가 되며 이때 생존률은 절반 정도로 줄어든다. 암이 림프절의 피막을 뚫고 나간 경우 (extracapsular extension), 생존률은 50% 넘게 떨어질 수 있다. 다른 중요한 예후 인자에는 전이된 림프절의 위치, 크기 숫자 등이 있으며 이들은 원격 전이 위험성과도 관련성이 있다. 유두갑상샘암종에서도 목림프절 전이가 흔하게 나타난다.[6][7]

추가 이미지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