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정신화: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Redirect|Mentalize|the album|Mentalize (album)}} '''정신화(mentalization)'''는 심리학에서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을 기반으로 자신이나 타인의 정신 상태(mental state)를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ref>{{cite book |url=http://www.ucl.ac.uk/psychoanalysis/unit-staff/mentalization_bpd.htm |via=UCL Psychoanalysis Unit |title=Mentalization-Based Treatment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Practical Guide |author1=Anthony Bateman |author2=...
(차이 없음)

2022년 8월 14일 (일) 23:14 판

정신화(mentalization)는 심리학에서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을 기반으로 자신이나 타인의 정신 상태(mental state)를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1] 정신화는 상상적 정신 활동의 한 형태로, 욕구, 바람, 감정, 신념, 목적, 목표, 이유 등 의도적 정신 상태라는 측면에서 인간의 행동을 인지하고 해석하게 한다.[2][3] "오해의 이해(understanding misunderstanding)"라고도 지칭된다. 데이비드 왈린(David Wallin)은 "사고에 관한 사고(Thinking about thinking)"라고 하였다.[4] 정신화는 자동적으로 혹은 의식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정신화 능력(mentalization ability) 혹은 정신화하기(mentalizing)는 강렬한 정서에 의해 약화된다.

배경

광의의 마음이론(theory of mind)이 최소한 데카르트(Descartes) 이래로 계속해서 탐색되어 왔다. 반면, 정신화라는 것은 1960년대 정신분석학 문헌에서 출발했으며, 1983년 하인츠 위머(Heinz Wimmer)와 요제프 퍼너(Josef Perner)[5]가 아동이 언제부터 잘못된 믿음(false belief)을 이해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는 실험을 처음으로 수행하였을 때, 실험적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실험은 펀치와 주디(Punch and Judy) 장면에 대한 대니얼 데넷(Daniel Dennett)의 해석에 의해 영감을 받았다.

1990년대 초, 사이먼 배런-코헨(Simon Baron-Cohen)과 유타 프리트(Uta Frith)가 위머와 퍼너 연구에 근거하고, 다른 연구자들이 자폐증과 조현병에 기반한 심리학적 생물학적 기제 연구와 결합하면서, 이 분야는 다양화되었다. 이에 동반하여 피터 포나기(Peter Fonagy)와 동료들은 애착(attachment) 관계의 맥락에서 발달 정신병리학에 적용하였지만 실패하였다.[6] More recently, several child mental health researchers such as Arietta Slade,[7] 존 그리에넨베르거(John Grienenberger),[8] 알리샤 리버만(Alicia Lieberman),[9] 다니엘 쉐슈터(Daniel Schechter),[10] 수잔 코아테스(Susan Coates)[11]는 정신화를 부모 양육 연구와 부모, 영아, 아동의 임상적 개입에 모두 적용시켰다.


같이보기

References

  1. Anthony Bateman; Peter Fonagy (2006). 《Mentalization-Based Treatment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Practical Guid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년 12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UCL Psychoanalysis Unit 경유. 
  2. Anthony Bateman; Peter Fonagy (2007). “Psychotherapy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Workshop on Mentalisation Based Treatment” (PDF) (Presentation). 2007년 8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3. Fonagy, P., Gergely, G., Jurist, E.L., Target, M. (2002). Affect regulation, ment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New York; Other Press
  4. Wallin, David (2009년 7월 13일). 《An Interview with David Wallin, Ph.D. on the Implications of Attachment Theory for Psychotherapy》. 《mentalhelp.net》. 인터뷰어: David Van Nuys. 2011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22일에 확인함. 
  5. Wimmer, H.; Perner, J. (1983). “Beliefs about beliefs: Representation and constraining function of wrong beliefs in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ception”. 《Cognition》 13 (1): 103–128. doi:10.1016/0010-0277(83)90004-5. PMID 6681741. S2CID 17014009. 
  6. Allen, J. P., Fonagy, P. (Eds.), Handbook of Mentalization-Based Treatment. Chichester, UK: John Wiley & Sons
  7. Slade, A (2005). “Parental reflective functioning: An introduction”.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7 (3): 269–283. doi:10.1080/14616730500245906. PMID 16210239. S2CID 36370231. 
  8. Grienenberger, JF; Kelly, K; Slade, A (2005).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mother-infant affective communication, and infant attachment: Exploring the link between mental states and observed caregiving behavior in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ttachment”.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7 (3): 299–311. doi:10.1080/14616730500245963. PMID 16210241. S2CID 33111945. 
  9. Lieberman, A.F.; Van Horn, P.; Ippen, C.G. (2005). “Towards evidence-based treatment: Child-parent psychotherapy with preschoolers exposed to marital violenc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4 (12): 1241–1248. doi:10.1097/01.chi.0000181047.59702.58. PMID 16292115. 
  10. Schechter, DS; Myers, MM; Brunelli, SA; Coates, SW; Zeanah, CH; Davies, M; Grienenberger, JF; Marshall, RD; McCaw, JE; Trabka, KA; Liebowitz, MR (2006). “Traumatized mothers can change their minds about their toddlers: Understanding how a novel use of videofeedback supports positive change of maternal attributions”. 《Infant Mental Health Journal27 (5): 429–448. doi:10.1002/imhj.20101. PMC 2078524. PMID 18007960. 
  11. Coates, S.W. (1998). “Having a Mind of One's Own and Holding the Other In Mind”. 《Psychoanalytic Dialogues》 8: 115–148. doi:10.1080/10481889809539236. 

Further reading

  • Apperly, I. (2010). Mindreaders: The Cognitive Basis of "Theory of Mind". Hove, UK: Psychology Press.
  • Doherty, M.J. (2009). Theory of Mind: How Children Understand Others' Thoughts and Feelings. Hove, UK: Psychology Press.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