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허파동맥: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새 문서: {{해부학 정보 |종류 = 동맥 |이름 = 허파동맥 |영어 = pulmonary artery |라틴어 = arteria pulmonalis |그림 = Diagram of the human heart (cropped).svg |설명 = 심장을 열어 앞에서 본 그림. 하얀 화살표 방향이 정상적인 혈류 방향을 나타낸다. 허파동맥은 우측 상단에 표시되어 있다. |기원 = 우심실 |가지 = |기관 = 심혈관계, 호흡계 |발생기 구조 = 동맥줄기 |혈액 공급 = }} '''허...
(차이 없음)

2022년 6월 5일 (일) 17:02 판

허파동맥
심장을 열어 앞에서 본 그림. 하얀 화살표 방향이 정상적인 혈류 방향을 나타낸다. 허파동맥은 우측 상단에 표시되어 있다.
정보
발생기 구조동맥줄기
기관계심혈관계, 호흡계
기원우심실
식별자
라틴어arteria pulmonalis
영어pulmonary artery
MeSHD011651
TA98A12.2.01.101
A12.2.01.201
TA24077, 4091
FMA66326

허파동맥 또는 폐동맥(pulmonary artery)은 심장 오른쪽의 산소 농도가 낮은 혈액허파로 운반하는 허파순환동맥이다. 가장 큰 허파동맥은 허파동맥줄기, 폐동맥간(pulmonary trunk) 또는 주폐동맥(main pulmonary artery)이라고 불린다. 가장 작은 허파동맥은 세동맥으로, 폐포를 둘러싸고 있는 모세혈관으로 이어진다.

구조

허파동맥은 심장의 오른쪽으로 돌아온 온몸순환의 혈액을 허파의 모세혈관으로 보내는 혈관이다. 다른 기관으로 가는 동맥들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지만, 허파동맥을 통해서는 심장으로 돌아온 산소가 부족한 정맥혈이 운반된다. 허파동맥줄기는 심장의 오른쪽에서 시작하여 여러 작은 동맥들로 나눠지고, 최종적으로는 세동맥까지 작아져 기체 교환이 일어나는 허파의 모세혈관이 된다.

허파동맥줄기

가슴고해상도 컴퓨터단층촬영(HRCT) 볼륨 렌더링 사진. 앞쪽 가슴벽, 기도, 허파뿌리 앞쪽의 허파혈관들은 허파순환을 더 잘 보여주기 위해 사진에서 제거되었다.

허파동맥은 허파동맥줄기로서 섬유심장막(우심실심실유출로, 또는 동맥원뿔심장막)에서 시작된다.[1] 심실유출로는 허파동맥판 뒤쪽에서 왼쪽과 위쪽으로 주행한다.[1] 허파동맥은 이후 대동맥활 아래, 왼쪽 주기관지 앞에서 오른쪽과 왼쪽 허파동맥으로 갈라진다.[1] 허파동맥줄기는 짧고 넓은데 그 길이는 대략 5cm,[2] 직경은 약 2-3cm이다.[3][4]

허파동맥줄기는 오른쪽과 왼쪽 허파동맥으로 갈라진다.[5] 왼쪽이 오른쪽보다 길이가 짧으며,[1] 왼허파동맥은 내림대동맥 뒤쪽, 왼쪽 주기관지에서 아래로 주행하여 왼쪽 허파뿌리로 들어간다. 몸의 위쪽에서 왼허파동맥은 몸쪽 내림대동맥과 동맥관인대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2] 오른허파동맥은 기관갈림 아래에서 몸의 정중선을 가로질러 주행하여 오른쪽 주기관지 앞에 이른다.[1]

가지

먼쪽 끝에서 허파동맥(아래에 표시)은 폐포에 이르면 모세혈관이 된다.

왼허파동맥은 두 개의 엽동맥으로 나누어져 왼쪽 허파의 두 엽에 하나씩 분포한다.[6]

오른쪽 허파뿌리에서는 오른허파동맥이 오른위엽기관지 앞에 위치하는 위엽가지와, 중간기관지와 함께 주행하며 오른중간엽과 오른아래엽에 혈액을 공급하는 엽사이동맥으로 갈라진다.[1]

양쪽 허파동맥은 각각에 대응하는 허파의 엽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지를 낸다. 이 가지들은 엽동맥(lobar arteries)이라고 한다.[7] 엽동맥은 분절동맥(segmental arteries, 대략 각 구역당 1개가 존재)으로 다시 갈라진다. 분절동맥은 기관지의 뒤가쪽 표면에서 분절기관지와 함께 주행한다.[7] 분절동맥은 세분절동맥(subsegmental pulmonary arteries)으로 갈라진다.[7] 최종적으로는 소엽속동맥(intralobular arteries)이 형성되며 끝난다.[8] 허파동맥은 폐포에 혈액을 공급한다. 대조적으로 기관지동맥은 시작 지점이 다르며 허파의 기관지에 혈액을 공급한다.[1]

외부 링크

  1. Ryan, Stephanie (2011). 〈2〉. 《Anatomy for diagnostic imaging》 Thi판. Elsevier Ltd. 126, 133쪽. ISBN 9780702029714. 
  2. Cheitlin MD, Ursell PC (2011). 〈Cardiac Anatomy〉. Chatterjee K. 《Cardiology: An Illustrated Textbook》. JP Medical Ltd. 6쪽. ISBN 9789350252758. 
  3. Edwards, P D; Bull, R K; Coulden, R (1998년 10월 1일). “CT measurement of main pulmonary artery diameter.”. 《The British Journal of Radiology》 71 (850): 1018–1020. doi:10.1259/bjr.71.850.10211060. ISSN 0007-1285. 
  4. Truong, Quynh A.; Massaro, Joseph M.; Rogers, Ian S.; Mahabadi, Amir A.; Kriegel, Matthias F.; Fox, Caroline S.; O'Donnell, Christopher J.; Hoffmann, Udo (2012년 1월 1일). “Reference Values for Normal Pulmonary Artery Dimensions by Noncontrast Cardiac Computed Tomography”. 《Circulation: Cardiovascular Imaging》 5 (1): 147–154. doi:10.1161/CIRCIMAGING.111.968610. PMC 3275437. PMID 22178898. 
  5. “Pulmonary Vasculature”. 《University of Virginia School of Medicine》. 2013. 2017년 6월 24일에 확인함. 
  6. Kandathil, Asha; Chamarthy, Murthy (2018년 6월). “Pulmonary vascular anatomy & anatomical variants”. 《Cardiovascular Diagnosis and Therapy》 8 (3): 201–207. doi:10.21037/cdt.2018.01.04. ISSN 2223-3652. PMC 6039811. PMID 30057869. 
  7. “Pulmonary Artery Anatomy”. 《University of Virginia School of Medicine》. 2013. 2017년 6월 24일에 확인함. 
  8. Takahashi M, Fukuoka J, Nitta N, Takazakura R, Nagatani Y, Murakami Y, 외. (2008). “Imaging of pulmonary emphysema: a pictorial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3 (2): 193–204. doi:10.2147/COPD.S2639. PMC 2629965. PMID 18686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