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태즈메이니아 야생 지대 세계 유산 지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Jys0405 (토론 | 기여)
"Tasmanian Wilderness World Heritage Area" 문서를 번역하여 만듦
(차이 없음)

2022년 5월 30일 (월) 14:23 판

태즈메이니아 야생 지대
유네스코 세계유산
파일:남서 국립공원 엘리자산의 저드 호수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보호지역
파일:태즈메이니아 야생 지대세계 유산 지역의 위치
영어명*Tasmanian Wilderness World Heritage Area
등록 구분문화유산: iii, iv, vi, vii; 자연유산: viii, ix, x
지정번호181
지역**호주 태즈메이니아 주
지정 역사
1982  (6차 정부간위원회)
면적1,584,233 ha (15,842.33 km2)
확장1989
* 세계유산목록에 따른 정식명칭.
** 유네스코에 의해 구분된 지역.

태즈메이니아 야생 지대 세계 유산 지역 (약칭 TWWHA )은 호주 태즈매니아 주에 위치한 세계 유산 지역이다.[1][2] 호주에서 가장 큰 보존 지역 중 하나로, 태즈메이니아의 25%에 달하는15,800 제곱킬로미터 (6,100 mi2)에 이른다. 세계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광활한 온대 야생지 중 하나이기도 하며 태즈메이니아의 사우스웨스트 야생 지대(South West Wilderness)를 포함한다.

TWWHA의 주요 산업은 관광임에도 불구하고 개발이 부족한데, 이는 개발과 자연 보존의 개념이 공존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곳에는 주변부의 작은 구역들을 제외하고 영구 거주지가 없다. TWWHA는 하이킹, 급류 래프팅, 등산 등의 활동으로 유명하다.

태즈메이니아 야생 지대는 세계 문화 유산에 대한 10가지 분류 기준 중 7가지를 충족한다. 이는 중국태산과 더불어 지구상에서 가장 높은 세계 문화 유산 등급에 해당한다.[3]

TWWHA는 1982년 프랭클린 댐(Franklin Dam) 논쟁 중 호주 연방 정부와 태즈메이니아 정부 간의 공동 협정에 따라 세계 문화 유산에 처음 등재되었고, 1989년 유칼립투스 숲을 벌목으로부터 보호한다는 헬샴 조사(Helsham Inquiry) 이후 확장되었다. 1990년대에는 TWWHA에 대한 계획 및 관리 수준이 미비했기 때문에 1992년에 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공포하였고, 이는 1999년에 새로운 관리 계획으로 대체되었다. 2014년, 애보트 정부는 보호 구역 내의 나무 벌목을 허용하기 위해 태즈메이니아 야생 지대를 세계 문화 유산에서 해제할 것을 제안했지만 이 요청은 같은 해에 세계유산위원회에 의해 거부되었다. 유네스코 보고서에서 이에 대해 반대 의사를 표하자 태즈메이니아 정부는2016년 태즈메이니아 야생 지대 내 벌목을 허용시키려는 시도를 철회했다.

배경

태즈메이니아는 호주의 주 중 하나로, 호주 본토 바로 남쪽에 있는 남양에 위치한 섬이다. 호주 본토 대부분의 지역 기후와는 상당히 다른 온대성 해양 기후를 가지고 있다.[4]:7 호주에는 13개의 세계 유산 지역이 있으며, 그 중 첫 번째 지역이 1981년에 등재되었다.[5]:192 가장 잘 알려진 세계 유산 지역에는 카카두(Kakadu), 울루루(Uluru; 이전 명칭 에어즈록(Ayers Rock))과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이다. 태즈메니이니아 야생 지역은 아마도 나머지 호주 세계 유산 지역 중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6]

태즈메이니아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약 296 킬로미터 (200 마일), 동쪽에서 서쪽으로 약 315킬로미터에 달하며[7]:6, 호주 본토에서 남쪽으로 약 300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태즈메이니아 주의 약 30%가 보존 토지 소유권 범주에 따라 보존되고 있으며, 태즈메이니아 야생 지대는 태즈메이니아 주의 약 20%를 차지한다. 태즈메이니아 야생 지대는 태즈메이니아에서 가장 큰 네 개의 국립공원 중 하나이며, 다양한 보호 구역 내의 작은 지역들을 포괄한다. 680만 헥타르인 태즈메이니아의 토지 중 340만 헥타르는 숲이며, 그 중 70%는 공유지, 40%는 경제림, 30%는 보호 공유지이다.[8]:38 태즈메이니아의 인구는 50만 명이 채 안 된다. 호주의 주 중에서 경제가 가장 취약하며, 관광업은 몇 안 되는 경제 성장 분야 중 하나로 여겨진다. 태즈메이니아의 관광 마케팅은 태즈메이니아 주의 자연적 가치, 특히 태즈메이니아 야생 지대의 가치를 기반으로 한 생태 관광을 홍보한다. 대부분의 관광 시설이 태즈메이니아 야생 지대 밖에 있고 이 지역 주변부에 잘 발달된 몇몇 장소에서만 관광이 이루어지지만, 이러한 관광 마케팅은 태즈메이니아 야생 지대에 상당한 환경적 압박을 가한다.[6]

  1. World Heritage Centre. “World Heritage List”. UNESCO. 2018년 1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일에 확인함. 
  2. Parks and Wildlife Service Tasmania. “Tasmanian Wilderness World Heritage Area”. Tasmania Online. 2016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일에 확인함. 
  3. “Tasmanian Wilderness World Heritage Area (TWWHA)”. 《Tasmana Parks & Wildlife Service》. 2021년 5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5일에 확인함. 
  4. Williams, W.D. (2012년 12월 6일). 《Biogeography and Ecology in Tasmania》.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94-010-2337-5. 202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2일에 확인함. 
  5. Newsome, David (2017년 1월 1일). 《Natural Area Tourism: Ecology, Impacts, and Management》. Channel View Publications. ISBN 978-1-84541-276-0. 202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2일에 확인함. 
  6. 〈The Development of the 1999 Management Plan for the Tasmanian Wilderness World Heritage Area (Australia)〉. 《Wilderness Science in a Time of Change Conference: Wilderness ecosystems, threats, and management》 (영어).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Research Station. 2000. 2021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4일에 확인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0"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7. 《The Pocket Year Book of Tasmania》. Government Printer, South Africa. 1987. 202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2일에 확인함. 
  8. Evans, Julian (2008년 4월 15일). 《The Forests Handbook, Volume 2: Applying Forest Science for Sustainable Management》. John Wiley & Sons. ISBN 978-0-470-75683-6. 202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