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 배양 검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LR072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혈액은 정상적인 경우 무균 상태이다.<ref>Carroll, KC ''et al''. (2015). p. 755.</ref> [[세균]]이 혈액에 존재하면 [[균혈증]], [[진균]]이 혈액에 존재하면 [[진균혈증]]이라고 한다.<ref name="turgeon-510">Turgeon, ML (2016). p. 510.</ref> [[양치질]]이나 [[배변]]<ref name="procop-188">Procop, GW & Koneman, EW (2017). p. 188.</ref><ref>Pitt, SJ (2018). p. 26.</ref> 중에 [[피부]]<ref name="mahon-866"/>나 [[점막]]에 생길 수 있는 가벼운 손상은 혈류로 세균을 유입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균혈증은 보통 일시적이며 [[면역계]]와 [[단핵식세포계]]에 의해 빠르게 격리되고 제거되기 때문에 혈액 배양에서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다.<ref name="mahon-866">Mahon, CR ''et al.'' (2018). p. 866.</ref><ref>Carroll, KC ''et al''. (2015) pp. 755–6.</ref> 세균은 [[연조직염]], [[요로감염증]](UTI), [[세균성 폐렴|폐렴]]과 같은 감염 시 혈액 내로 들어올 수 있다.<ref>Mahon, CR ''et al''. (2018). p. 867.</ref> [[세균성 심내막염]]이나 [[정맥 주사]]와 관련된 감염과 같이 [[순환계]]에 생긴 감염도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균혈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ref name="procop-188"/> 진균혈증은 [[면역억제|면역계의 기능이 정상적이지 못한]] 사람들에서 가장 흔하게 발병한다.<ref name="turgeon-510"/> 세균이나 진균이 혈류에서 제거되지 않는다면 다른 기관이나 조직으로 퍼져 나가거나<ref name="mahon-866"/> [[면역 반응]]을 일으켜 [[패혈증]]이라는 생명에 위험한 전신성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ref name="MartinezWolk2016">{{저널 인용|last1=Martinez|first1=RM|last2=Wolk|first2=DM|title=Bloodstream Infections|journal=Microbiology Spectrum|volume=4|issue=4|year=2016|issn=2165-0497|doi=10.1128/microbiolspec.DMIH2-0031-2016|pmid=27726765|doi-access=free}}</ref><ref>Bennett, JE ''et al''. (2019). p. 990.</ref>
혈액은 정상적인 경우 무균 상태이다.<ref>Carroll, KC ''et al''. (2015). p. 755.</ref> [[세균]]이 혈액에 존재하면 [[균혈증]], [[진균]]이 혈액에 존재하면 [[진균혈증]]이라고 한다.<ref name="turgeon-510">Turgeon, ML (2016). p. 510.</ref> [[양치질]]이나 [[배변]]<ref name="procop-188">Procop, GW & Koneman, EW (2017). p. 188.</ref><ref>Pitt, SJ (2018). p. 26.</ref> 중에 [[피부]]<ref name="mahon-866"/>나 [[점막]]에 생길 수 있는 가벼운 손상은 혈류로 세균을 유입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균혈증은 보통 일시적이며 [[면역계]]와 [[단핵식세포계]]에 의해 빠르게 격리되고 제거되기 때문에 혈액 배양에서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다.<ref name="mahon-866">Mahon, CR ''et al.'' (2018). p. 866.</ref><ref>Carroll, KC ''et al''. (2015) pp. 755–6.</ref> 세균은 [[연조직염]], [[요로감염증]](UTI), [[세균성 폐렴|폐렴]]과 같은 감염 시 혈액 내로 들어올 수 있다.<ref>Mahon, CR ''et al''. (2018). p. 867.</ref> [[세균성 심내막염]]이나 [[정맥 주사]]와 관련된 감염과 같이 [[순환계]]에 생긴 감염도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균혈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ref name="procop-188"/> 진균혈증은 [[면역억제|면역계의 기능이 정상적이지 못한]] 사람들에서 가장 흔하게 발병한다.<ref name="turgeon-510"/> 세균이나 진균이 혈류에서 제거되지 않는다면 다른 기관이나 조직으로 퍼져 나가거나<ref name="mahon-866"/> [[면역 반응]]을 일으켜 [[패혈증]]이라는 생명에 위험한 전신성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ref name="MartinezWolk2016">{{저널 인용|last1=Martinez|first1=RM|last2=Wolk|first2=DM|title=Bloodstream Infections|journal=Microbiology Spectrum|volume=4|issue=4|year=2016|issn=2165-0497|doi=10.1128/microbiolspec.DMIH2-0031-2016|pmid=27726765|doi-access=free}}</ref><ref>Bennett, JE ''et al''. (2019). p. 990.</ref>


패혈증이 의심된다면 원인 병원체와 해당 병원체를 표적으로 하는 [[항균제]] 치료를 위해 혈액 배양 검사가 필수적이다.<ref name="RhodesEvans2017"/> 입원한 환자가 [[발열]], [[저체온증]], [[백혈구증가증]], 또는 [[과립구]](백혈구의 일종) 숫자의 감소를 보이는 경우 혈류 감염을 확인하기 위해 혈액 배양을 흔히 실시한다.<ref name="Garcia2015"/><ref name="WillemsSmismans2012">{{저널 인용|last1=Willems|first1=E|last2=Smismans|first2=A|last3=Cartuyvels|first3=R|last4=Coppens|first4=G|last5=Van Vaerenbergh|first5=K|last6=Van den Abeele|first6=AM|last7=Frans|first7=J|title=The preanalytical optimization of blood cultures: a review and the clinical importance of benchmarking in 5 Belgian hospitals|journal=Diagnostic Microbiology and Infectious Disease|volume=73|issue=1|year=2012|pages=1–8|issn=07328893|doi=10.1016/j.diagmicrobio.2012.01.009|pmid=22578933}}</ref> 혈액 배양 검사는 [[화학요법]]의 흔한 합병증으로서, [[발열]]과 심각한 [[호중구]](세균과 진균에 맞서 싸우는 [[백혈구]]의 일종) 숫자의 감소를 보이는 [[열성호중구감소증]]에서 혈류 감염을 발견하기 위해 시행된다.<ref name="Naurois2016">{{저널 인용|last1=Klastersky|first1=J|last2=de Naurois|last3=Rolston|first3=K|last4=Rapoport|first4=B|last5=Maschmeyer|first5=G|last6=Aapro|first6=M|last7=Herrstedt|first7=J.|title=Management of febrile neutropaenia: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journal=Annals of Oncology|volume=27|year=2016|issue=suppl 5|pages=v111–v118|issn=09237534|doi=10.1093/annonc/mdw325|pmid=27664247|doi-access=free}}</ref><ref>Walls, R ''et al''. (2017). p. 1497.</ref><ref name="Territo2018">{{웹 인용|title=Neutropenia – Hematology and Oncology |last1=Territo|first1=M|work=Merck Manuals Professional Edition |date=July 2018 |access-date=30 Sep 2020 |url= https://www.merckmanuals.com/professional/hematology-and-oncology/leukopenias/neutropenia|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722080346/https://www.merckmanuals.com/professional/hematology-and-oncology/leukopenias/neutropenia|archive-date=22 July 2019}}</ref> 균혈증은 [[수막염]], [[패혈성 관절염]], [[경막외 농양]]과 같은 일부 감염에서 흔하며, 따라서 이런 상태에서는 혈액 배양 검사가 권장된다. 균혈증과 덜 연관된 감염의 경우에도 환자가 혈액 내 감염이 일어났을 위험성이 높거나 감염이 일어난 주된 장소에서 배양을 즉시 시행할 수 없는 경우(예를 들어 [[신우신염]]에서 [[소변 배양 검사]]나 심각한 [[지역사회 획득 폐렴]]에서 [[객담 배양 검사]] 등)에는 여전히 혈액 배양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ref name="FabreSharara2020">{{저널 인용|last1=Fabre|first1=V|last2=Sharara|first2=SL|last3=Salinas|first3=AB|last4=Carroll|first4=KC|last5=Desai|first5=S|last6=Cosgrove|first6=SE|title=Does This Patient Need Blood Cultures? A Scoping Review of Indications for Blood Cultures in Adult Nonneutropenic Inpatients|journal=Clinical Infectious Diseases|volume=71|issue=5|year=2020|pages=1339–1347|issn=1058-4838|doi=10.1093/cid/ciaa039|pmid=31942949}}</ref><ref name="uptodate"/> 혈액 배양 검사는 [[심내막염]]<ref name="CahillPrendergast2016">{{저널 인용|last1=Cahill|first1=TJ|last2=Prendergast|first2=BD|title=Infective endocarditis|journal=The Lancet|volume=387|issue=10021|year=2016|pages=882–893|issn=01406736|doi=10.1016/S0140-6736(15)00067-7|pmid=26341945|s2cid=205975776|url=http://russjcardiol.elpub.ru/jour/article/view/639}}</ref>과 [[원인불명열]]에서 기저의 원인 미생물을 확인할 수 있다.<ref name="Garcia2015"/><ref name="CunhaLortholary2015">{{저널 인용|last1=Cunha|first1=BA|last2=Lortholary|first2=O|last3=Cunha|first3=CB|title=Fever of Unknown Origin: A Clinical Approach|journal=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volume=128|issue=10|year=2015|pages=1138.e1–1138.e15|issn=00029343|doi=10.1016/j.amjmed.2015.06.001|pmid=26093175|doi-access=free}}</ref>
패혈증이 의심된다면 원인 병원체와 해당 병원체를 표적으로 하는 [[항균제]] 치료를 위해 혈액 배양 검사가 필수적이다.<ref name="RhodesEvans2017">{{cite journal|last1=Rhodes|first1=A|last2=Evans|first2=E|last3=Alhazzani|first3=W|last4=Levy|first4=MM|last5=Antonelli|first5=M|last6=Ferrer|first6=R|last7=Kumar|first7=Anand|last8=Sevransky|first8=Jonathan E.|last9=Sprung|first9=Charles L.|last10=Nunnally|first10=Mark E|display-authors=6|title=Surviving Sepsis Campaign: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Sepsis and Septic Shock: 2016|journal=Intensive Care Medicine|volume=43|issue=3|year=2017|pages=304–377|issn=0342-4642|doi=10.1007/s00134-017-4683-6|pmid=28101605|s2cid=206884481|doi-access=free}}</ref> 입원한 환자가 [[발열]], [[저체온증]], [[백혈구증가증]], 또는 [[과립구]](백혈구의 일종) 숫자의 감소를 보이는 경우 혈류 감염을 확인하기 위해 혈액 배양을 흔히 실시한다.<ref name="Garcia2015">{{cite journal|last1=Garcia|first1=RA|last2=Spitzer|first2=ED|last3=Beaudry|first3=J|last4=Beck|first4=C|last5=Diblasi|first5=R|last6=Gilleeny-Blabac|first6=M|last7=Haugaard|first7=C|last8=Heuschneider|first8=S|last9=Kranz|first9=BP|last10=McLean|first10=K|last11=Morales|first11=KL|last12=Owens|first12=S|last13=Paciella|first13=ME|last14=Torregrosa|first14=E|display-authors=6|title=Multidisciplinary team review of best practices for collection and handling of blood cultures to determin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increasing the yield of true-positive bacteremias, reducing contamination, and eliminating false-positive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s|journal=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volume=43|issue=11|year=2015|pages=1222–1237|issn=01966553|doi=10.1016/j.ajic.2015.06.030|pmid=26298636}}</ref><ref name="WillemsSmismans2012">{{저널 인용|last1=Willems|first1=E|last2=Smismans|first2=A|last3=Cartuyvels|first3=R|last4=Coppens|first4=G|last5=Van Vaerenbergh|first5=K|last6=Van den Abeele|first6=AM|last7=Frans|first7=J|title=The preanalytical optimization of blood cultures: a review and the clinical importance of benchmarking in 5 Belgian hospitals|journal=Diagnostic Microbiology and Infectious Disease|volume=73|issue=1|year=2012|pages=1–8|issn=07328893|doi=10.1016/j.diagmicrobio.2012.01.009|pmid=22578933}}</ref> 혈액 배양 검사는 [[화학요법]]의 흔한 합병증으로서, [[발열]]과 심각한 [[호중구]](세균과 진균에 맞서 싸우는 [[백혈구]]의 일종) 숫자의 감소를 보이는 [[열성호중구감소증]]에서 혈류 감염을 발견하기 위해 시행된다.<ref name="Naurois2016">{{저널 인용|last1=Klastersky|first1=J|last2=de Naurois|last3=Rolston|first3=K|last4=Rapoport|first4=B|last5=Maschmeyer|first5=G|last6=Aapro|first6=M|last7=Herrstedt|first7=J.|title=Management of febrile neutropaenia: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journal=Annals of Oncology|volume=27|year=2016|issue=suppl 5|pages=v111–v118|issn=09237534|doi=10.1093/annonc/mdw325|pmid=27664247|doi-access=free}}</ref><ref>Walls, R ''et al''. (2017). p. 1497.</ref><ref name="Territo2018">{{웹 인용|title=Neutropenia – Hematology and Oncology |last1=Territo|first1=M|work=Merck Manuals Professional Edition |date=July 2018 |access-date=30 Sep 2020 |url= https://www.merckmanuals.com/professional/hematology-and-oncology/leukopenias/neutropenia|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722080346/https://www.merckmanuals.com/professional/hematology-and-oncology/leukopenias/neutropenia|archive-date=22 July 2019}}</ref> 균혈증은 [[수막염]], [[패혈성 관절염]], [[경막외 농양]]과 같은 일부 감염에서 흔하며, 따라서 이런 상태에서는 혈액 배양 검사가 권장된다. 균혈증과 덜 연관된 감염의 경우에도 환자가 혈액 내 감염이 일어났을 위험성이 높거나 감염이 일어난 주된 장소에서 배양을 즉시 시행할 수 없는 경우(예를 들어 [[신우신염]]에서 [[소변 배양 검사]]나 심각한 [[지역사회 획득 폐렴]]에서 [[객담 배양 검사]] 등)에는 여전히 혈액 배양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ref name="FabreSharara2020">{{저널 인용|last1=Fabre|first1=V|last2=Sharara|first2=SL|last3=Salinas|first3=AB|last4=Carroll|first4=KC|last5=Desai|first5=S|last6=Cosgrove|first6=SE|title=Does This Patient Need Blood Cultures? A Scoping Review of Indications for Blood Cultures in Adult Nonneutropenic Inpatients|journal=Clinical Infectious Diseases|volume=71|issue=5|year=2020|pages=1339–1347|issn=1058-4838|doi=10.1093/cid/ciaa039|pmid=31942949}}</ref><ref name="uptodate">{{cite web|last=Doern|first=GV|title=Detection of bacteremia: Blood cultures and other diagnostic tests|date=3 June 2020|work=[[UpToDate]]|url=https://www.uptodate.com/contents/detection-of-bacteremia-blood-cultures-and-other-diagnostic-tests|access-date=30 Sep 2020}}</ref> 혈액 배양 검사는 [[심내막염]]<ref name="CahillPrendergast2016">{{저널 인용|last1=Cahill|first1=TJ|last2=Prendergast|first2=BD|title=Infective endocarditis|journal=The Lancet|volume=387|issue=10021|year=2016|pages=882–893|issn=01406736|doi=10.1016/S0140-6736(15)00067-7|pmid=26341945|s2cid=205975776|url=http://russjcardiol.elpub.ru/jour/article/view/639}}</ref>과 [[원인불명열]]에서 기저의 원인 미생물을 확인할 수 있다.<ref name="Garcia2015"/><ref name="CunhaLortholary2015">{{저널 인용|last1=Cunha|first1=BA|last2=Lortholary|first2=O|last3=Cunha|first3=CB|title=Fever of Unknown Origin: A Clinical Approach|journal=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volume=128|issue=10|year=2015|pages=1138.e1–1138.e15|issn=00029343|doi=10.1016/j.amjmed.2015.06.001|pmid=26093175|doi-access=free}}</ref>


== 배양 용기 ==
== 배양 용기 ==

2022년 5월 18일 (수) 21:41 판

혈액 배양 검사란 혈액 내의 미생물을 배양하여 혈액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를 말한다. 보통 패혈증이나 균혈증이 의심되는 환자에 대해서 주로 실시하며, 뇌수막염이 의심될 때 세균성인지 바이러스성인지 판단하기 위해 이 검사를 사용하고 있다.

의학적 사용

혈액은 정상적인 경우 무균 상태이다.[1] 세균이 혈액에 존재하면 균혈증, 진균이 혈액에 존재하면 진균혈증이라고 한다.[2] 양치질이나 배변[3][4] 중에 피부[5]점막에 생길 수 있는 가벼운 손상은 혈류로 세균을 유입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균혈증은 보통 일시적이며 면역계단핵식세포계에 의해 빠르게 격리되고 제거되기 때문에 혈액 배양에서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다.[5][6] 세균은 연조직염, 요로감염증(UTI), 폐렴과 같은 감염 시 혈액 내로 들어올 수 있다.[7] 세균성 심내막염이나 정맥 주사와 관련된 감염과 같이 순환계에 생긴 감염도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균혈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3] 진균혈증은 면역계의 기능이 정상적이지 못한 사람들에서 가장 흔하게 발병한다.[2] 세균이나 진균이 혈류에서 제거되지 않는다면 다른 기관이나 조직으로 퍼져 나가거나[5] 면역 반응을 일으켜 패혈증이라는 생명에 위험한 전신성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8][9]

패혈증이 의심된다면 원인 병원체와 해당 병원체를 표적으로 하는 항균제 치료를 위해 혈액 배양 검사가 필수적이다.[10] 입원한 환자가 발열, 저체온증, 백혈구증가증, 또는 과립구(백혈구의 일종) 숫자의 감소를 보이는 경우 혈류 감염을 확인하기 위해 혈액 배양을 흔히 실시한다.[11][12] 혈액 배양 검사는 화학요법의 흔한 합병증으로서, 발열과 심각한 호중구(세균과 진균에 맞서 싸우는 백혈구의 일종) 숫자의 감소를 보이는 열성호중구감소증에서 혈류 감염을 발견하기 위해 시행된다.[13][14][15] 균혈증은 수막염, 패혈성 관절염, 경막외 농양과 같은 일부 감염에서 흔하며, 따라서 이런 상태에서는 혈액 배양 검사가 권장된다. 균혈증과 덜 연관된 감염의 경우에도 환자가 혈액 내 감염이 일어났을 위험성이 높거나 감염이 일어난 주된 장소에서 배양을 즉시 시행할 수 없는 경우(예를 들어 신우신염에서 소변 배양 검사나 심각한 지역사회 획득 폐렴에서 객담 배양 검사 등)에는 여전히 혈액 배양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16][17] 혈액 배양 검사는 심내막염[18]원인불명열에서 기저의 원인 미생물을 확인할 수 있다.[11][19]

배양 용기

  • 산소성 배양용 액체배양병(Standard aerobic bottle, SA) : 용기 내부에 들어있는 배지는 Tryptic soy broth(TSB)이다.
  • 무산소성 배양용 액체배양병(Standard anaerobic bottle, SN) : 용기 내부에 들어있는 배지는 Thioglycollate broth이다.
  • 소아용 배양용 액체배양병(Pediatric fastidious bottle, PF) : 용기 내부에 들어있는 배지는 TSB이다.
  • Fan 액체배지(Fasitidious antibiotic neutraliaingv bottle) : Ecosorb라는 항생제 중화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배지이며 산소성과 무산소성 두가지가 있다.

성인은 이 검사를 받을 때 SA 및 SN 두 개의 배양 용기에 모두 접종하며, 소아는 PF 한 개의 배양 용기에만 접종하여 배양한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임상미생물학 실습, 전국임상병리학과 교수 협의회, 고려의학 (2011)

외부 링크

  1. Carroll, KC et al. (2015). p. 755.
  2. Turgeon, ML (2016). p. 510.
  3. Procop, GW & Koneman, EW (2017). p. 188.
  4. Pitt, SJ (2018). p. 26.
  5. Mahon, CR et al. (2018). p. 866.
  6. Carroll, KC et al. (2015) pp. 755–6.
  7. Mahon, CR et al. (2018). p. 867.
  8. Martinez, RM; Wolk, DM (2016). “Bloodstream Infections”. 《Microbiology Spectrum》 4 (4). doi:10.1128/microbiolspec.DMIH2-0031-2016. ISSN 2165-0497. PMID 27726765. 
  9. Bennett, JE et al. (2019). p. 990.
  10. Rhodes, A; Evans, E; Alhazzani, W; Levy, MM; Antonelli, M; Ferrer, R; 외. (2017). “Surviving Sepsis Campaign: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Sepsis and Septic Shock: 2016”. 《Intensive Care Medicine》 43 (3): 304–377. doi:10.1007/s00134-017-4683-6. ISSN 0342-4642. PMID 28101605. S2CID 206884481. 
  11. Garcia, RA; Spitzer, ED; Beaudry, J; Beck, C; Diblasi, R; Gilleeny-Blabac, M; 외. (2015). “Multidisciplinary team review of best practices for collection and handling of blood cultures to determin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increasing the yield of true-positive bacteremias, reducing contamination, and eliminating false-positive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3 (11): 1222–1237. doi:10.1016/j.ajic.2015.06.030. ISSN 0196-6553. PMID 26298636. 
  12. Willems, E; Smismans, A; Cartuyvels, R; Coppens, G; Van Vaerenbergh, K; Van den Abeele, AM; Frans, J (2012). “The preanalytical optimization of blood cultures: a review and the clinical importance of benchmarking in 5 Belgian hospitals”. 《Diagnostic Microbiology and Infectious Disease》 73 (1): 1–8. doi:10.1016/j.diagmicrobio.2012.01.009. ISSN 0732-8893. PMID 22578933. 
  13. Klastersky, J; de Naurois; Rolston, K; Rapoport, B; Maschmeyer, G; Aapro, M; Herrstedt, J. (2016). “Management of febrile neutropaenia: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nals of Oncology》 27 (suppl 5): v111–v118. doi:10.1093/annonc/mdw325. ISSN 0923-7534. PMID 27664247. 
  14. Walls, R et al. (2017). p. 1497.
  15. Territo, M (July 2018). “Neutropenia – Hematology and Oncology”. 《Merck Manuals Professional Edition》. 2019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30일에 확인함. 
  16. Fabre, V; Sharara, SL; Salinas, AB; Carroll, KC; Desai, S; Cosgrove, SE (2020). “Does This Patient Need Blood Cultures? A Scoping Review of Indications for Blood Cultures in Adult Nonneutropenic Inpatient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71 (5): 1339–1347. doi:10.1093/cid/ciaa039. ISSN 1058-4838. PMID 31942949. 
  17. Doern, GV (2020년 6월 3일). “Detection of bacteremia: Blood cultures and other diagnostic tests”. 《UpToDate. 2020년 9월 30일에 확인함. 
  18. Cahill, TJ; Prendergast, BD (2016). “Infective endocarditis”. 《The Lancet》 387 (10021): 882–893. doi:10.1016/S0140-6736(15)00067-7. ISSN 0140-6736. PMID 26341945. S2CID 205975776. 
  19. Cunha, BA; Lortholary, O; Cunha, CB (2015). “Fever of Unknown Origin: A Clinical Approach”.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28 (10): 1138.e1–1138.e15. doi:10.1016/j.amjmed.2015.06.001. ISSN 0002-9343. PMID 26093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