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코로나바이러스 스파이크단백질: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스파이크(S) 당단백질(spike (S) glycoprotein,또는 스파이크 단백질(spike protein) 또는 이전에는 E2)은 코로나바이러스에서 보여지는 4가지 주요 구조 단백질 중 가장 크다.<ref name="deng_2021">{{cite journal |last1=Deng |first1=X. |last2=Baker |first2=S.C. |title=Coronaviruses: Molecular Biology (Coronaviridae) |journal=Encyclopedia of Virology |date=2021 |pages=198–207 |doi=10.1016/B978-0-12-814515-9.02550-9|doi-access=free }}</...
(차이 없음)

2021년 11월 28일 (일) 14:41 판

스파이크(S) 당단백질(spike (S) glycoprotein,또는 스파이크 단백질(spike protein) 또는 이전에는 E2)은 코로나바이러스에서 보여지는 4가지 주요 구조 단백질 중 가장 크다.[1] [2][3] 스파이크 단백질은 스파이크(spikes) 또는 페플로머(peplomers)라고 하는 큰 구조를 형성하는 삼량체(三量體,trimer)로 조립되며, 이는 비리온(virion)의 표면에서 돌출되어있다.[3][4] 음성 얼룩 투과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시각화했을 때 이러한 스파이크의 독특한 모양은 '태양 코로나를 회상'(recalling the solar corona)[6]하여 바이러스 패밀리에 이름을 부여했다고 알려져있다.[5] gives the virus family its name.[1]

함께보기

참고

  1. Deng, X.; Baker, S.C. (2021). “Coronaviruses: Molecular Biology (Coronaviridae)”. 《Encyclopedia of Virology》: 198–207. doi:10.1016/B978-0-12-814515-9.02550-9. 
  2. Masters, Paul S. (2006). “The Molecular Biology of Coronaviruses”. 《Advances in Virus Research》 66: 193–292. doi:10.1016/S0065-3527(06)66005-3. PMC 7112330. 
  3. Wang, Yuhang; Grunewald, Matthew; Perlman, Stanley (2020). “Coronaviruses: An Updated Overview of Their Replication and Pathogenesis”. 《Coronaviruses》 2203: 1–29. doi:10.1007/978-1-0716-0900-2_1. PMC 7682345. 
  4. Zhu, Chaogeng; He, Guiyun; Yin, Qinqin; Zeng, Lin; Ye, Xiangli; Shi, Yongzhong; Xu, Wei (2021년 6월 14일). “Molecular biology of the SARs‐CoV‐2 spike protein: A review of current knowledge”. 《Journal of Medical Virology》: jmv.27132. doi:10.1002/jmv.27132. 
  5. “Virology: Coronaviruses”. 《Nature》 220 (5168): 650–650. November 1968. doi:10.1038/220650b0. PMC 7086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