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HIV/AIDS의 역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oomni (토론 | 기여)
Soomni (토론 | 기여)
뉴욕시 노숙자들과 정맥주사를 이용하는 사람들
125번째 줄: 125번째 줄:
캐나다 남자 승무원 [[Gaëtan Dugas]] 는 "케이스 057"이라고 불렸고, 이후 "환자 O"라고 불렸는데, 이는 질병 관리 센터(Centrers of Disease Control;CDC) 내 [[William Darrow]] 박사의 초기 AIDS 연구에서 알파벳 O는 캘리포니아 남부 밖(Outside)를 뜻한다.<ref name=long>{{cite news |author=Donald G. McNeil, Jr. |title=H.I.V. Arrived in the U.S. Long Before 'Patient Zero' |url=https://www.nytimes.com/2016/10/27/health/hiv-patient-zero-genetic-analysis.html |newspaper=The New York Times|date=October 26, 2016 |author-link=Donald G. McNeil, Jr }}</ref>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Dugas가 HIV를 북아메리카로 가져온 데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HIV는 뉴욕시에 1971년 들어왔고, Dugas는 1974년도 이후에야 [[Air Canada]]에서 근무하기 시작했다.<ref name=long/> [[Randy Shilts]]가 1987년도에 집필한 책 ''[[And the Band Played On]]'' (과 그것을 기반으로 한 1993년도 영화)에서는 Dugas가 "환자O"가 아니라 AIDS의 지표사례로 묘사된다. 하지만 책과 영화 모두 그가 북아메리카로 바이러스를 처음 가져왔다고 하지 않는다. 그를 "환자 0번"이라고 잘못 불렸는데, 그 이유는 1983년 HIV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진 248명 중 적어도 40명이 그와 성관계를 한 적이 있거나 그와 성관계를 한 사람과 관계를 한 것이기 때문이다.
캐나다 남자 승무원 [[Gaëtan Dugas]] 는 "케이스 057"이라고 불렸고, 이후 "환자 O"라고 불렸는데, 이는 질병 관리 센터(Centrers of Disease Control;CDC) 내 [[William Darrow]] 박사의 초기 AIDS 연구에서 알파벳 O는 캘리포니아 남부 밖(Outside)를 뜻한다.<ref name=long>{{cite news |author=Donald G. McNeil, Jr. |title=H.I.V. Arrived in the U.S. Long Before 'Patient Zero' |url=https://www.nytimes.com/2016/10/27/health/hiv-patient-zero-genetic-analysis.html |newspaper=The New York Times|date=October 26, 2016 |author-link=Donald G. McNeil, Jr }}</ref>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Dugas가 HIV를 북아메리카로 가져온 데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HIV는 뉴욕시에 1971년 들어왔고, Dugas는 1974년도 이후에야 [[Air Canada]]에서 근무하기 시작했다.<ref name=long/> [[Randy Shilts]]가 1987년도에 집필한 책 ''[[And the Band Played On]]'' (과 그것을 기반으로 한 1993년도 영화)에서는 Dugas가 "환자O"가 아니라 AIDS의 지표사례로 묘사된다. 하지만 책과 영화 모두 그가 북아메리카로 바이러스를 처음 가져왔다고 하지 않는다. 그를 "환자 0번"이라고 잘못 불렸는데, 그 이유는 1983년 HIV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진 248명 중 적어도 40명이 그와 성관계를 한 적이 있거나 그와 성관계를 한 사람과 관계를 한 것이기 때문이다.


===뉴욕시 노숙자들과 정맥주사를 이요하는 사람들===
===뉴욕시 노숙자들과 정맥주사를 이용하는 사람들===
{{Further| HIV/AIDS in New York City}}


Betty Williams라고 불리는 사회복지사는 퀘이커 신자로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에 onwards에서 온 뉴욕내 노숙자들과 일한다. Betty는 “마약쟁이 플루(junkie flu)” 혹은 "야윔(dwindles)"라고 불리는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접했다. <ref name=Williams_1>{{cite web| title=ACT UP Oral History Project Interview of Betty Williams | author=Sarah Schulman| url=http://www.actuporalhistory.org/interviews/images/bwilliams.pdf| publisher=2010 The New York Lesbian & Gay Experimental Film Festival, Inc.| date=23 August 2008| page=19| access-date=11 August 2018}}</ref><ref name=Kerr_1>{{cite web| title=A History of Erasing Black Artists and Bodies from the AIDS Conversation| author=Ted Kerr| url=https://hyperallergic.com/264934/a-history-of-erasing-black-artists-and-bodies-from-the-aids-conversation| publisher=Hyperallergic Media Inc.| date=31 December 2015| access-date=11 August 2018}}</ref><ref name=Kerr_2>{{cite web| title=AIDS 1969: HIV, History, and Race| author=Ted Kerr| url=http://drainmag.com/aids-1969-hiv-history-and-race| publisher=Drain Magazine| date=2018| access-date=4 September 2018}}</ref> 2008년 Act Up Oral History Project 인터뷰에서, 그녀는 “당연히 약물을 주입하는 여성이나 PCP 폐암을 앓는 사람들에 대한 괴담은 있다.. 그리고 그들은 그저 기관지염이 있었다” 그녀가 이어서 “실제로 AIDS와 같은 것들이 노숙자 집단에서 처음에 존재했을 것이라고 믿는다. 왜냐하면 지금 돌이켜보면, "약쟁이(junkie) 폐암”이라는 것이 있었고, 중독자들이 “dwindle”이라고 불리는 야위는 증상을 앓았다. 그리고 이것은 또 다른 초기 AIDS 집단이었다고 생각되지만, 당시 그들은 자신을 위해 어떠한 것도 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 <ref name=Williams_1/><ref name=Thrasher_1/>

Julia Epstein는 그녀의 책에 ''변형된 상태: 질병, 약물과 이야기(Altered Conditions: Disease, Medicine and Storytelling)''에 기술하길: "HIV 감염의 초기 역사에 대해 점점 알아갈수록, 적어도 1970년대에는 바이러스가 이미 미국 내 많은 다양한 집단의 면역 시스템에 중대한 침투를 하고 있는 것이 명확해진다.(예를 들어,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 ‘junkie 폐암’의 발병 진단을 후향적으로 봤을 때 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침투는 아프리카 내 여러 국가들에서 대규모 파괴를 일으켜왔다."<ref name=Epstein_1>{{cite book| title=Altered Conditions: Disease, Medicine and Storytelling| author=Julia Epstein| publisher=Routledge| date=1995| page=18| isbn=978-0415907170}}</ref>

일화적 증거에 따르면, 소위 junkie pneumonia이라고 불리는 것은 1977년 뉴욕에서 아편 중독자들에 피해를 입히기 시작했다.<ref name=Meruane_1>{{cite book| title=Viral Voyages: Tracing AIDS in Latin America| author=L. Meruane| date=2014| publisher=Palgrave Macmillan| page=8| isbn=978-1-349-48409-6| doi=10.1057/9781137394996}}</ref> Tamsin Wilton는 그녀의 저서 ''AIDS를 발생시키는 것: 성교, 문서, 그리고 발병에 대한 해체''에서 말하길: "1970년대 초부터 사람들이 이유를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아프고 죽어갔고, 그러한 상태들이 우리가 후향적으로 진단했을 때에 ADIS와 연관되었을 것으로 보인다.<ref name=Wilton_1>{{cite book| title=EnGendering AIDS : deconstructing sex, text, and epidemic| author=Tamsin Wilton| publisher=Sage| date=1997| page=125| isbn=978-0761953821}}</ref> 예를 들어, ‘약물복용으로 인한 폐암’이라고 불리는 폐암이 있었는데, 이 병은 1970년대 길거리에서 약물을 주입하는 집단에서 확산되었고, 현재는 HIV 주입으로 인해 일어난 것이라고 여겨진다."<ref name=Wilton_1/>


== 각주 ==
== 각주 ==

2021년 7월 13일 (화) 15:18 판

후천면역결핍증후군/에이즈(AIDS)는 중부와 서부 아프리카 영장류(인간제외)로부터 기인한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에 의해 생긴다. 바이러스의 다양한 소집단들은 각기 인간에 대한 감염성을 다른 시기에 얻었지만, 국제적 대유행은 한가지로부터 기인했다. 구체적으로, 1920년대에 벨기안 콩고의 레오폴드빌 (현재는 콩고 민주 공화국킨샤사)에서 시작된 HIV-1 - 소집단 M이라는 구체적인 계통으로부터 유래하였다.[1]


두 가지의 HIV가 있다: HIV-1과 HIV-2가 있다. HIV-1은 보다 유독하며, 쉽게 전파되기 떄문에 세계적으로 수많은 HIV 감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세계적인 유행병을 일으킨 HIV-1의 종류는 Pan troglodytes troglodytes 라고 하는 침팬지의 아종에서 찾아볼 수 있는 구체적인 바이러스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해당 아종은 중부 아프리카 국가들의 숲에 살고 있으며, 국가의 예시로는 카메룬(Cameroon,) 적도기니(Equatorial Guinea), 가본(Gabon), 콩고공화국(the Republic of the Congo) 혹은 (콩고-브라자빌 : Congo-Brazzaville) 그리고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Central African Republic)이 있다. HIV-2는 보다 덜 전파적이고 대부분 그것의 친척 바이러스와 함께 서부 아프리카의 검댕맹거베이(Sooty mangabey - Cercocebus atys atys)라고 하는 긴꼬리원숭이(Old World monkey)에 묶여있다. 대표적인 국가 예시로는 남쪽 세네갈(Senegal,) 기니-비사우(Guinea-Bissau), 기니(Guinea), 시에라리온(Sierra Leone), 리베리아(Liberia) 그리고 서부 상아해안(코트디부아르의 해안)에 해당 원숭이가 서식한다.[2][3]

비-인간에서 인간으로 전파

대부분의 HIV 연구자들은 HIV가 어느 시점에서 진화했다고 동의한다. 이 시점은 원숭이 면역결핍증 바이러스(SIV)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SIV 혹은 HIV(돌연변이 후)가 비-인간 영장류로부터 인간으로 전파된것이 비교적 최근이라고 주장한다. ( 즉, 인수공통감염병의 한 종류인 것이다.) 이 분야의 연구는 분자적 계통학을 이용하여 연구되고 있으며, 바이러스들의 게놈 시퀀스를 서로 비교하여 연관성을 찾아내고자 한다.

침팬지와 고릴라에서 인간으로 HIV의 전파

과학자들은 일반적으로 HIV-1 그룹이 중앙 아프리카 숲(West Central African forests)에 서식하는 야생 침팬지 고유의 Simian 면역 결핍 바이러스(simian immunodeficiency viruses, SIVs)로 받아들여져 왔다.[4][5] 일부 잘 알려진 HIV-1 그룹은 침팬지 아종인 Pan troglodytes troglodytes 를 감염시키는 SIV(SIVcpz) 또는 서부저지고릴라를 감염시키는 SIVgor와 많다.[6][7][8][9][10][11] 유행성 HIV-1 변종(group M or Main)과 오직 일부의 카메룬의 사람(그룹 N)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변종은 카메룬에 사는 Pan troglodytes troglodytes 침팬지의 SIVcpz 균주 풍토명으로부터 발생되었다.[12] 매우 드문 다른 HIV-1 변종(그룹 P)은 카메룬의 SlVgor 변종으로부터 유래되었다.[13] 최종적으로, 대부분 카메룬 출신이지만 인근 국가 출신도 10만명을 감염시킨 HIV-1 그룹 O의 영장류 조상은 2006년 SIVgor로 확인되었다.[14] 유행병 HIV-1 그룹 M은 Sangha River 근처에 있는 카메룬(현대동 주)의 남동부의 우림에서 수집된 SIVcpz와 가장 관련이 많다.[15] 따라서, 이 지역은 침팬지에서 인간으로 바이러스가 처음으로 옮겨진 곳으로 유추된다. 그러나 저장된 혈액 샘플의 HIV-1 초기 감염의 역학 증거와 중앙 아프리카의 오래된 에이즈 사례의 리뷰는 많은 과학자들이 HIV-1 그룹 M 초기 인간 센터가 아마도 카메룬에 있지 않고 더 남쪽에 있는 콩고 민주 공화국(당시 벨기에 콩고), 수도 킨샤사(이전의 레오폴트빌)에 있을 것이라고 믿게 만들었다.[15][16][17]

과학자들은 바이러스 돌연변이 비율 추정치와 인간 생물 표본에 보존된 HIV-1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침팬지에서 인간으로의 이동은 아마도 적도 아프리카의 빠른 도시화와 식민지화의 시기인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에 일어났을 것이라고 계산한다. 인수공통감염이 정확히 언제 일어났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일부 분자 연대 측정 연구는 HIV-1 그룹 M이 아마도 1915년에서 1941년 사이인 20세기 초에 가장 최근의 공통 조상(most recent common ancestor, MRCA)을 가졌다고 제안합니다.[18][19][20] Kinshasa에서 1960년에 만들어진 조직검사에서 발견된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분석하면서 2008년에 발표된 연구는 이전에 알려진 염기서열과 함께 1873년과 1933년 사이에 공통된 조상을 제시했습니다(중앙 추정치는 1902년과 1921년 사이에 변화).[21] 이전에 유전자 재조합은 계통유전학적 분석을 "심각하게 혼동"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나중에 재조합이 "분산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되지만" 재조합이 체계적으로 편향[결과]되지 않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제시되었다.[22] 2008년 계통유전학 연구 결과는 이후의 연구를 뒷받침하며 HIV가 "제법 신뢰성 있게" 진화한다는 것을 보여준다.[22][23] 영장류들이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연구가 방해를 받았다. 표본 분석은 실험 물질의 희귀성 때문에 데이터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연구원들은 수집된 데이터에서 계통발생에 대한 가설을 세울 수 있었다. 그들은 또한 HIV의 특정 변종의 분자 시계를 이용하여 최초 전염 날짜를 결정할 수 있었고, 이것은 1915–1931년으로 추정된다.[24]

검댕맹거베이(sooty mangabeys)에서 인간으로 HIV-2의 전파

계통발생학적 분석에 따르면 인간에게 상당히 퍼진 HIV-2 변종(HIV-2 그룹 A와 B)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바이러스는 코트디부아르 서부 타이 숲의 검댕맹거베이에서 발견된 SIVsmm이다.[25]

분자 연대 연구는 전염병 집단 (A와 B)이 1905년과 1961년 사이에 인간들 사이에서 퍼지기 시작했다고 시사한다(중앙 추정치는 1932년과 1945년 사이에 변화).[26][27]

야생동물고기 관행

자연 전이 이론('hunter theory' 또는 'bushmeat theory' 라고 불리기도 한다)에 따르면, SIV나 HIV의 "종간 전염에 대한 가장 간단하고 그럴듯한 설명"[28]에서, 사냥꾼이나 야생 동물 판매상들이 사냥이나 정육점에서 사냥이나 도살하는 동안 물리거나 절단되었을 때 바이러스가 유인원이나 원숭이로부터 인간으로 옮겨졌다. 그 결과 동물의 혈액이나 다른 체액에 노출되면서 SIV에 감염될 수 있다.[29] 시골 아프리카인들은 밀림에서 농사짓는 것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은 그들의 주요 육류 공급원으로서 야생 동물로 눈을 돌렸다. 야생 동물 고기에 대한 과다 노출과 도살은 혈액과 혈액의 접촉을 증가시켜 전염의 가능성을 증가시켰다.[30] 최근 혈청학적 조사에 따르면 중앙 아프리카에서 SIV에 의한 인체 감염이 드물지 않다: 현재 또는 과거의 SIV 감염 증거인 항원에 대한 심각한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의 비율은 카메룬의 일반 인구에서 2.3%, 야생 동물 고기를 사냥하거나 사용하는 마을에서 7.8%, 그리고 이 마을에서 가장 노출된 사람들에서 17.1%였다.[31] 비록 자연 선택이 인간 숙주의 T 세포에서 감염되고 번식할 수 있도록 적응할 수 있는 모든 바이러스를 선호하지만, 어떻게 SIV 바이러스가 유인원/원숭이로부터 사냥꾼이나 야생 동물 취급자에게 감염 후 HIV로 변형되었는지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HIV의 하위 유형인 HIV-1C는 남미에 그 기원이 존재한다.[32] 야생 동물 고기의 소비는 남미에서 HIV-1C가 출현한 가장 유력한 원인이기도 하다. 그러나 남미에서는 SIV 바이러스를 옮기는 유인원의 종류가 다르다. 연구원들에 따르면, 주요 시작 지점은 브라질 정글 어딘가에 있다고 한다.[32] HIV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SIV 변종은 영장류의 특정 분류 내에 섞여 있었다. 이것은 그 바이러스의 인수공통감염이 이 지역에서 일어났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32] 국가 간의 지속적인 이민은 바이러스의 전염을 증가시켰다. 일부 과학자들은 HIV-1C 변종이 아프리카에 유입된 시기와 거의 동시에 HIV-1C 변종이 남아메리카에 퍼졌다고 믿고 있다.[32] 이 이론은 꽤 최근에 나왔고 살인 변종이 아니기 때문에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발생

HIV 발생 및 출현에 대한 해결되지 않은 의문

주요 HIV/SIV 계통발생 연관성의 발견은 HIV의 광범위한 생물지리학을 설명할 수 있게 한다: HIV-1 그룹의 초기 중심지는 중앙아프리카였다. 중앙아프리카에는 SIVcpz와 SIVgor 바이러스(침팬지와 고릴라)와 관련된 영장류가 존재했다. 몇몇 HIV-1과 HIV-2 변종이 SIVcpz, SIVgor, SIVsmm 바이러스로부터 유래하고,[33][34][35][36][37][38] 야생 동물 고기 관행이 인간에게 이종 간 전염의 가장 그럴듯한 원인을 제공한다는 것은 분명하다.[36][37][39]

야생 동물 고기 관행이 중앙 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에 널리 퍼져 있고,[40] 그로 인한 인간 SIV 감염이 흔함에도 불구하고[39] 4개의 HIV 그룹 (HIV-1 그룹 M과 O, 그리고 HIV-2 그룹 A와 B)만이 인간 개체군에 상당히 확산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인간은 SIV에 예전부터 노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전염병 HIV 집단이 20세기에만 거의 동시에 나타난 이유도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의 계통 연구는 SIV가 적어도 수만 년 이상 되었다고 보여주었다.)[41]

기원 및 유행병의 발생

2008년에 이 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자 연구는 HIV-1M 그룹의 가장 최근의 공통 조상이 1910년경 벨기에의 콩고 도시인 레오폴트빌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암시했습니다.[42]

2014년, 옥스포드 대학과 벨기에 루벤 대학의 과학자들이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매년 약 백만 명의 사람들이 1920년대에 최초로 알려진 HIV 감염자의 발원지였던 유명한 도시 킨샤사를 통해 유입되기 때문에, 벨기에 철도에 탑승한 승객들은 넓은 지역에 바이러스를 퍼트릴 수 있었다.[43] 이 연구는 또한 아프리카 HIV 확산의 원인이 된 다른 요인들로써 급증하는 성 매매, 급속한 인구 증가, 그리고 보건소에서 사용되는 살균되지 않은 주사바늘이 있다고 밝혔다.[43]

사회의 변화와 도시화

Beatrice Hahn, Paul M. Sharp와 그들의 동료들은 "HIV의 확산은 20세기 아프리카에서의 인구 구조와 행동의 변화와 아마도 인간 대 인간 바이러스 확산의 기회를 제공한 의학적 개입에 의한 것 같다"고 제안했다.[44]1880년대에 아프리카를 위한 쟁탈전이 시작된 후, 유럽의 식민지 강국들은 도시, 마을, 그리고 다른 식민지를 세웠다. 대체로 남성적인 노동력을 서둘러 고용하여 부두와 항구, 철도, 기타 인프라, 그리고 농장에서 일하게 했다.이것은 전통적인 부족의 가치를 붕괴시켰고 많은 파트너를 통한 가벼운 성 활동을 선호했다. 초기 도시에서 여성들은 시골 부족의 규칙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해방감을 느꼈고[45] 많은 여성들이 오랜 기간 동안 결혼하지 않거나 이혼했는데,[46][47] 이것은 아프리카 전통 사회에서는 드문 일이다.[48]

Michael Worobey와 동료들은 도시의 성장이 아마도 HIV의 전염병 출현에 한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두 개의 오래된 HIV 변종의 계통연대가 중앙아프리카의 주요 식민지 도시가 설립된 직후 이 바이러스가 퍼지기 시작했음을 시사하고 있기 때문이다.[49]

식민주의-아프리카

Amit Chitnis, Diana Rawls, 그리고 Jim Moore는 HIV가 특히 프랑스 적도 아프리카에서 식민주의와 관련된 혹독한 환경, 강제 노동, 추방, 안전하지 않은 주사 및 백신 접종 관행의 결과로 전염병이 되었을 수도 있다고 제안했습다.[50] 농장, 건설 프로젝트 및 기타 식민지 기업의 근로자들에게 야생 동물 고기를 공급했으며, 이는 사냥의 증가에 기여하고 SIV에 대한 인간 피폭의 증가에도 기여했을 것입니다. 몇몇 역사 자료들은 노동자들에게 공급할 필요성과 총기류가 더욱 널리 보급되었기 때문에 야생 동물 고기 사냥이 실제로 증가했다는 견해를 뒷받침합니다.[50][51][52]

식민지 당국은 또한 천연두 예방접종과 예방주사를 많이 접종하였는데, 그 중 다수는 사용 사이에 장비를 살균하지 않았습니다. Chitnis 외 연구진들은 이러한 비경구적인 위험과 강제 노동 수용소와 관련된 매춘 모두 인간 간에 SIV의 연쇄 전염(또는 직렬 통로)을 일으킬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53]게다가, 그들은 강제 노동과 관련된 극심한 스트레스의 조건들이 근로자들의 면역체계를 약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SIV에 새로 감염된 누군가의 1차 급성 감염 기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바이러스의 인간 적응과 추가 전염 가능성을 모두 높일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54]

저자들은 HIV-1이 20세기 초 프랑스 적도 아프리카 지역에서 발생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후의 연구는 이러한 이론들이 대부분 옳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HIV-1 그룹 M과 O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사람에게 퍼지기 시작했습니다.[55][56][57][58]

비무균 주사

2001년 이후 발표된 몇몇 기사에서 Preston Marx, Philip Alcabes과 Ernest Drucker는 불안전하거나 무균상태가 아닌 주사를 통하여 (야생동물사냥꾼과 관련 사람들이 SIV에 감염된 후) 인간 대 인간으로 빠르게 전염되기 때문에 HIV가 출현했다고 제안했습니다.[59][60][61] Chitnis외 연구진과 Sharp 외 연구진 모두 이것이 HIV 출현의 주요 위험 요소 중 하나였을 수 있다고 제안했지만, Marx 외 연구진은 기초 메커니즘을 보다 상세하게 밝히고 식민지 아프리카에서 만들어진 주사 캠페인의 첫 번째 리뷰를 썼습니다.[59][60]

Marx 외 연구진 주장의 중심에는 직렬 경로(또는 직렬 전염)에 의한 적응의 개념이 있다: 각 숙주가 급성 감염 기간에 있는 동안 숙주 간에 빠르게 전염되면 외래성 바이러스(또는 다른 병원체)가 새로운 숙주 종에 대한 생물학적 적응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적응형 돌연변이의 더 빠른 축적을 선호하기 때문에 면역체계가 바이러스를 억제하기 전에 더 잘 적응된 바이러스 변종이 숙주에 나타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59] 그렇게 더 잘 적응된 변종들은 전염병 확산의 가능성을 더 많이 줄 수 있는 짧은 급성 감염 기간보다 더 오랫동안 인간 숙주에서 생존할 수 있습니다.

Marx 외 연구진은 포획된 원숭이(그 중 일부는 스스로 만들어짐)에서 이종 간 SIV 이동 실험을 보고했는데, 이 실험에서는 직렬 통로의 사용이 서너 마리 통과 후 새로운 원숭이 종에 SIV를 적응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59]

이 모델에 동의하는 것은 HIV-1과 HIV-2 모두 인간 유기체에서 상당한 바이러스를 얻는 반면, 인간을 감염시키는 우발적 SIV는 거의 그렇게 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SIV 항체를 가진 사람들은 종종 SIV 바이러스 부하를 매우 낮거나 심지어 감지할 수 없습니다.[62]

막스 외 연구진은 식민지 시대와 그 이후 아프리카에서 매우 보편적으로 행해졌던 비무균 주사(즉, 주사 바늘이나 주사기가 사용 사이에 살균이나 세척 없이 재사용되는 주사)가 HIV가 인간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직렬 통로의 메커니즘을 제공했다고 제안했고, HIV가 20세기에만 유행적으로 나타난 이유를 설명했습니다.[59][60]

대량의 항생제 주입

마르크스 외 연구진은 항생제가 도입된 이후 아프리카에서 투여된 주사 건수가 HIV의 발원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강조합니다. 그들은 인간들 사이에 3, 4번 전염되는 연속적인 통과 사슬은 일어날 가능성이 적은 사건이라고 했습니다. 주사 바늘을 다시 사용하여 감염될 확률은 0.3%과 2%사이이기 떄문에 HIV 출현은 항생제가 매우 높은 빈도로 주입되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63]

분자 연대 측정 연구는 유행성 HIV 그룹의 초기 확산을 그 이전으로 봅니다.[64][65][66][67][68][69] Marx 외 연구진에 따르면, 이러한 연구는 HIV 집단의 나이를 과대평가했을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분자 시계 가정에 의존하기 때문이고, 바이러스에서 자연 선택의 영향을 설명하지 않았을 수 있으며, 직렬 통과 과정만이 자연 선택과 관련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70][71]

수면병 예방 주사 캠페인

David Giselquist는 중앙 아프리카의 트리파노소마증(수면병)을 치료하기 위한 대량 주사 캠페인이 HIV-1의 출현에 책임이 있다고 제안습니다.[72] 막스 외 연구진과는 달리, Giselquist는 이러한 캠페인 동안 투여된 수백만 개의 안전하지 않은 주사들이 HIV 감염을 전염병으로 확산시키기에 충분하다고 주장했습니다.[73] 그리고 연속 경로를 통한 HIV의 진화는 20세기 HIV 전염병의 출현에 필수적인 것이 아니었다고 했습니다.[72]

이 이론은 1910-40년, 즉 HIV-1 그룹이 확산되기 시작한 시기에 절정에 달했던 주사 캠페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74][75][76][77]또한, 이러한 캠페인의 많은 주사들이 정맥주사(피하주사 또는 근육주사보다 SIV/HIV를 전염시킬 가능성이 더 높음)였고, 많은 환자들이 매년 많은 (종종 10개 이상의) 주사를 맞았기 때문에 SIV 연속 통과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72]

여성 생식기 절단

율리 링크는 음핵 절제술을 받은 여성과의 성관계가 혈액 교환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여성 생식기 절단술의 실행이 아프리카에서 높은 에이즈 발병률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78]

여러 이론들

비무균주사, 수혈 또는 천연두 예방접종과 같은 이론들은 이 분야의 대부분의 과학자들에 의해 그럴듯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79][80][81][82]

불신받는 HIV/AIDS 기원설에는 초기 구강 소아마비 백신이 침팬지 바이러스에 오염되어 중앙 아프리카 발병으로 이어진다는 소아마비 백신 가설과 같은 몇 가지 이온성 이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83]

인간이 아닌 영장류에서 SIV의 병원성

대부분의 인간이 아닌 영장류 종에서 자연적으로 감염된 SIV는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HIV와 SIV의 유전자 서열을 비교하면 무엇이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요인인지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요인들은 최근에서야 규명되는 중이다. 비인간 SIV에는 CD3, CD4 및 MHC 클래스 I 발현을 하향 조절하는 nef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비인간 SIV는 면역결핍을 일으키지 않는반면, HIV-1 nef 유전자는 CD3를 하향조절 능력을 상실하여 만성 HIV의 특징인 면역 활성화 및 세포 사멸을 초래한다.[84]

또한 탄자니아 곰베(Gombe) 지역에서 자연적으로 SIVcpz에 감염된 침팬지에 대한 장기 조사에 따르면, 이전 패러다임과 달리 SIVcpz에 감염된 침팬지의 사망률이 증가하고 인간 AIDS와 유사한 질병을 앓고 있다.[85] 야생 동물의 SIV 병원성은 다른 침팬지 아종과 다른 영장류종에도 존재할 수 있지만 관련된 장기 연구가 부족하여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전염의 역사

1959: 데이비드 칼

데이비드 칼은 영국 맨체스터에서 1955년부터 1957년 사이에 해군에서 복무한 견습 인쇄공으로, 1959년 8월 31일에 사망하였다. 그는 AIDS 기회 감염 (ADOIs)에 의한 죽음이라고 종종 잘못 알려져왔다. 면역 체계가 무너지면서 그는 폐렴에 의해 사망하였다. 그의 죽음에 의사들은 당황하였고, 검사를 위해 그의 조직 샘플 50개를 보존하였다. 1990년, 조직이 HIV양성인 것으로 밝혀졌지만 1992년 AIDS 연구원 David Ho가 시행한 두번째 검사에서 조직에 존재하는 HIV의 변종은 이전에 발견된 변종보다는 1990년에 발견된 변종과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DNA 샘플이 실제로 1990년대 AIDS 환자에게서 나온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데이비드 칼의 조직을 재검사한 결과, 그는 바이러스의 징후를 찾지 못했다.[86][87][88]

1959: 콩고 남자

가장 처음 문서화된 HIV-1 감염 중 하나는 1959년 벨기에 콩고의 레오폴드빌 출신의 한 남성에게서 채취한 혈액 샘플에서 발견되었다.[89] 하지만 이 익명의 남성이 AIDS에 걸린 후 합병증으로 사망을 하였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89]

1960: 콩고 여자

두번째로 문서화된 HIV-1 감염은 벨기에 콩고의 레오폴드빌 출신의 한 여성에게서 채취한 보존된 림프절 생검 샘플에서 발견되었다 .[21]

1966: 콩고 남자

다량의 유전 물질이 존재하는 변종 1966년에 38세 남성에게서 채취한 샘플에서 발견되었다 .[90]

1969: 로버트 레이포드

1969년 5월, 16세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로버트 레이포드는 세인트루이스 시립 병원에서 카포시 육종으로 인해 사망했다. 1987년 Tulane 대학의 의과대학 연구원들은 그의 보존된 혈액과 조직에서 "HIV-1과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동일한"[91] 바이러스를 발견했다. 당시 그의 케이스 연구를 담당하던 의사들은 그의 성생활에 대하여 자세하게 의논한 적은 없었지만, 그가 성매매를 했거나 성폭행 피해자였을거라고 의심했다. .[91][92][93][94][95]

1973: 우간다 어린이

1972년부터 1973년까지 연구원들은 부르키트 림프종 연구의 대조군으로 삼기위해 75명의 우간다 어린이로부터 혈액을 채취했다. 1985년, 냉동 혈청을 소급 검사한 결과, 50명의 아이들에게 HIV와 관련된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존재했다.[96]

1976: 아르비드 노

1975년과 1976년, 노르웨이 선원인 아르비드 노(가명)와 그의 아내, 그리고 그의 7살 딸은 AIDS로 인해 사망하였다. 그는 서아프리카 해안의 항구에서 처음으로 시간을 보낸 지 8년 후인 1969년에 처음으로 증상을 나타냈다. 그의 첫 아프리카 항해 중 임질감염은 그가 이 시기에 성적으로 활동적이었음을 알려준다. 그와 아내의 조직샘플은 1988년 검사되었고 HIV-1 (Group O)를 포함하고 있었다.[97][98]

1976: 그레이터 라스크

그레이터 라스크: 덴마크 외과의사로, 1964년 Zaire (콩고 민주 공화국의 옛이름)로 여행을 갔다가 1972년에 아픈 사람을 돕기 위해 다시 여행을 갔다. 그녀는 많은 콩고 환자들의 혈액에 직접 노출되었고, 그들 중 한명이 그녀를 감염시켰다. 그녀는 1974년부터 건강이 쇠약해졌고, 1977년에 덴마크에 돌아왔는데, 그녀의 동료들은 그녀의 증상에 당황했다. 그녀는 1977년 12월에 폐렴으로 사망했다. 그녀의 조직은 그녀의 동료들에 의해 검사되었고 1987년 양성으로 판명되었다.[99][100]

서반구(Western hemisphere)로의 전파

HIV-1에 대한 압박은 1971년 즈음 아이티(Haiti)에서 뉴욕(New York City)으로 옮겨진 것으로 여겨진다.[101][102][103] 1976년에는 뉴욕에서 샌프란시스코로 확산되었다.[101]

HIV-1은 1967년 경 중앙 아프리카에서 콩고민주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를 통해 아이티로 간 것으로 보인다.[101][104] 현재로서는 1966년 경에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근무하던 개인 혹인 다수를 통해 HIV가 아이티 국가로 유입된 것이라고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103] 1969년 경 소규모 전염병이 따랐고, 아이티에서 불특정한 개인을 통해 HIV가 미국으로 옮겨왔다. 바로 이 환자 개인이 아프리카 사하라 지역 하부 이외의 지역에서 AIDS에 걸린 사례 대부분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102] 이후, 1980년대 초기에는 아이티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이주민들 사이에서 서로 관련성이 없어 보이는 AIDS 발생 사건들이 기록되었다. 또한, Robert Rayfords의 사건에서 본 바와 같이, 감염이 아무런 관련성 없이 단독으로 발생하는 상황은 1966년 때부터 이미 나타나고 있었다. 바이러스는 결국 일상적이고, 매해 평균 11번 이상의 보호 장치 없이 여러 상대와 성관계를 하는 미국 대도시 내 동성애 사회에 들어왔으며,[105]) 항문 성교가 동반되면서 상대적으로 빠른 전파 속도를 보인.[106] 결과, 폭발적으로 확산되었고 이는 사회적인 이목을 끌게 되었다.[102]

AIDS의 증상이 나타나기 이전 HIV는 잠복기는 10년 이상으로 길기 때문에, 그리고 초기에는 증상이 잘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HIV는 처음에 눈에 띄지 안핬다. 미국 대도시에서 AIDS 첫 감염 사례들이 보고되자, 몇몇 공동체 내의 HIV의 만연함이 5%를 넘어섰다.[107] 전세계적으로, HIV 감염은 도시에서 지방으로 확산되어왔고, 중국과 인도 영역에서도 나타났다.

캐나다의 승무원 이론

캐나다 남자 승무원 Gaëtan Dugas 는 "케이스 057"이라고 불렸고, 이후 "환자 O"라고 불렸는데, 이는 질병 관리 센터(Centrers of Disease Control;CDC) 내 William Darrow 박사의 초기 AIDS 연구에서 알파벳 O는 캘리포니아 남부 밖(Outside)를 뜻한다.[101]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Dugas가 HIV를 북아메리카로 가져온 데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HIV는 뉴욕시에 1971년 들어왔고, Dugas는 1974년도 이후에야 Air Canada에서 근무하기 시작했다.[101] Randy Shilts가 1987년도에 집필한 책 And the Band Played On (과 그것을 기반으로 한 1993년도 영화)에서는 Dugas가 "환자O"가 아니라 AIDS의 지표사례로 묘사된다. 하지만 책과 영화 모두 그가 북아메리카로 바이러스를 처음 가져왔다고 하지 않는다. 그를 "환자 0번"이라고 잘못 불렸는데, 그 이유는 1983년 HIV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진 248명 중 적어도 40명이 그와 성관계를 한 적이 있거나 그와 성관계를 한 사람과 관계를 한 것이기 때문이다.

뉴욕시 노숙자들과 정맥주사를 이용하는 사람들

Betty Williams라고 불리는 사회복지사는 퀘이커 신자로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에 onwards에서 온 뉴욕내 노숙자들과 일한다. Betty는 “마약쟁이 플루(junkie flu)” 혹은 "야윔(dwindles)"라고 불리는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접했다. [108][109][110] 2008년 Act Up Oral History Project 인터뷰에서, 그녀는 “당연히 약물을 주입하는 여성이나 PCP 폐암을 앓는 사람들에 대한 괴담은 있다.. 그리고 그들은 그저 기관지염이 있었다” 그녀가 이어서 “실제로 AIDS와 같은 것들이 노숙자 집단에서 처음에 존재했을 것이라고 믿는다. 왜냐하면 지금 돌이켜보면, "약쟁이(junkie) 폐암”이라는 것이 있었고, 중독자들이 “dwindle”이라고 불리는 야위는 증상을 앓았다. 그리고 이것은 또 다른 초기 AIDS 집단이었다고 생각되지만, 당시 그들은 자신을 위해 어떠한 것도 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 [108][111]

Julia Epstein는 그녀의 책에 변형된 상태: 질병, 약물과 이야기(Altered Conditions: Disease, Medicine and Storytelling)에 기술하길: "HIV 감염의 초기 역사에 대해 점점 알아갈수록, 적어도 1970년대에는 바이러스가 이미 미국 내 많은 다양한 집단의 면역 시스템에 중대한 침투를 하고 있는 것이 명확해진다.(예를 들어,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 ‘junkie 폐암’의 발병 진단을 후향적으로 봤을 때 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침투는 아프리카 내 여러 국가들에서 대규모 파괴를 일으켜왔다."[112]

일화적 증거에 따르면, 소위 junkie pneumonia이라고 불리는 것은 1977년 뉴욕에서 아편 중독자들에 피해를 입히기 시작했다.[113] Tamsin Wilton는 그녀의 저서 AIDS를 발생시키는 것: 성교, 문서, 그리고 발병에 대한 해체에서 말하길: "1970년대 초부터 사람들이 이유를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아프고 죽어갔고, 그러한 상태들이 우리가 후향적으로 진단했을 때에 ADIS와 연관되었을 것으로 보인다.[114] 예를 들어, ‘약물복용으로 인한 폐암’이라고 불리는 폐암이 있었는데, 이 병은 1970년대 길거리에서 약물을 주입하는 집단에서 확산되었고, 현재는 HIV 주입으로 인해 일어난 것이라고 여겨진다."[114]

각주

  1. Gallagher, James (2014년 10월 2일). “Aids: Origin of pandemic 'was 1920s Kinshasa'. BBC. 
  2. Reeves JD, Doms RW (2002).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2". The Journal of General Virology. 83 (Pt 6): 1253–65. doi:10.1099/0022-1317-83-6-1253. PMID 12029140.
  3. Santiago ML, Range F, Keele BF, Li Y, Bailes E, Bibollet-Ruche F, Fruteau C, Noë R, Peeters M, Brookfield JF, Shaw GM, Sharp PM, Hahn BH (2005).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in Free-Ranging Sooty Mangabeys (Cercocebus atys atys) from the Tai Forest, Cote d'Ivoire: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Epidemic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2".Journal of Virology. 79 (19): 12515–27. doi:10.1128/JVI.79.19.12515-12527.2005. PMC 1211554. PMID 16160179.
  4. Sharp, Paul M.; Hahn, Beatrice H. (2010년 8월 27일). “The evolution of HIV-1 and the origin of AID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The Royal Society) 365 (1552): 2487–2494. doi:10.1098/rstb.2010.0031. ISSN 0962-8436. PMC 2935100. PMID 20643738. 
  5. Takehisa, Jun; Kraus, Matthias H.; Ayouba, Ahidjo; Bailes, Elizabeth; Van Heuverswyn, Fran; Decker, Julie M.; Li, Yingying; Rudicell, Rebecca S.; Learn, Gerald H.; Neel, Cecile; Ngole, Eitel Mpoudi; Shaw, George M.; Peeters, Martine; Sharp, Paul M.; Hahn, Beatrice H. (2008년 12월 10일). “Origin and Biology of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in Wild-Living Western Gorillas”. 《Journal of Virology》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83 (4): 1635–1648. doi:10.1128/jvi.02311-08. ISSN 0022-538X. PMC 2643789. PMID 19073717. 
  6. Keele BF, Van Heuverswyn F, Li Y, Bailes E, Takehisa J, Santiago ML, Bibollet-Ruche F, Chen Y, Wain LV, Liegeois F, Loul S, Ngole EM, Bienvenue Y, Delaporte E, Brookfield JF, Sharp PM, Shaw GM, Peeters M, Hahn BH (2006). “Chimpanzee Reservoirs of Pandemic and Nonpandemic HIV-1”. 《Science》 313 (5786): 523–26. Bibcode:2006Sci...313..523K. doi:10.1126/science.1126531. PMC 2442710. PMID 16728595. 
  7. “HIV's ancestry traced to wild chimps in Cameroon”. 《USA Today》. 2006년 5월 25일. 2010년 5월 20일에 확인함. 
  8. Van Heuverswyn F, Li Y, Neel C, Bailes E, Keele BF, Liu W, Loul S, Butel C, Liegeois F, Bienvenue Y, Ngolle EM, Sharp PM, Shaw GM, Delaporte E, Hahn BH, Peeters M (2006). “Human immunodeficiency viruses: SIV infection in wild gorillas”. 《Nature》 444 (7116): 164. Bibcode:2006Natur.444..164V. doi:10.1038/444164a. PMID 17093443. S2CID 27475571. 
  9. Plantier JC, Leoz M, Dickerson JE, De Oliveira F, Cordonnier F, Lemée V, Damond F, Robertson DL, Simon F (2009). “A new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derived from gorillas”. 《Nature Medicine》 15 (8): 871–72. doi:10.1038/nm.2016. PMID 19648927. S2CID 76837833. 
  10. Sharp PM, Bailes E, Chaudhuri RR, Rodenburg CM, Santiago MO, Hahn BH (2001). “The origins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viruses: where and whe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56 (1410): 867–76. doi:10.1098/rstb.2001.0863. PMC 1088480. PMID 11405934. 
  11. Takebe, Y; Uenishi, R; Li, X (2008). 〈Global Molecular Epidemiology of HIV: Understanding the Genesis of AIDS Pandemic〉. Jeang, Kuan-Teh. 《HIV-1: Molecular Biology and Pathogenesis》. Advances in Pharmacology 56. 1–25쪽. doi:10.1016/S1054-3589(07)56001-1. ISBN 978-0123736017. PMID 18086407. 
  12. Keele BF, Van Heuverswyn F, Li Y, Bailes E, Takehisa J, Santiago ML, Bibollet-Ruche F, Chen Y, Wain LV, Liegeois F, Loul S, Ngole EM, Bienvenue Y, Delaporte E, Brookfield JF, Sharp PM, Shaw GM, Peeters M, Hahn BH (2006). “Chimpanzee Reservoirs of Pandemic and Nonpandemic HIV-1”. 《Science》 313 (5786): 523–26. Bibcode:2006Sci...313..523K. doi:10.1126/science.1126531. PMC 2442710. PMID 16728595. 
  13. Plantier JC, Leoz M, Dickerson JE, De Oliveira F, Cordonnier F, Lemée V, Damond F, Robertson DL, Simon F (2009). “A new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derived from gorillas”. 《Nature Medicine》 15 (8): 871–72. doi:10.1038/nm.2016. PMID 19648927. S2CID 76837833. 
  14. Van Heuverswyn F, Li Y, Neel C, Bailes E, Keele BF, Liu W, Loul S, Butel C, Liegeois F, Bienvenue Y, Ngolle EM, Sharp PM, Shaw GM, Delaporte E, Hahn BH, Peeters M (2006). “Human immunodeficiency viruses: SIV infection in wild gorillas”. 《Nature》 444 (7116): 164. Bibcode:2006Natur.444..164V. doi:10.1038/444164a. PMID 17093443. S2CID 27475571. 
  15. Keele BF, Van Heuverswyn F, Li Y, Bailes E, Takehisa J, Santiago ML, Bibollet-Ruche F, Chen Y, Wain LV, Liegeois F, Loul S, Ngole EM, Bienvenue Y, Delaporte E, Brookfield JF, Sharp PM, Shaw GM, Peeters M, Hahn BH (2006). “Chimpanzee Reservoirs of Pandemic and Nonpandemic HIV-1”. 《Science》 313 (5786): 523–26. Bibcode:2006Sci...313..523K. doi:10.1126/science.1126531. PMC 2442710. PMID 16728595. 
  16. Gao F, Bailes E, Robertson DL, Chen Y, Rodenburg CM, Michael SF, Cummins LB, Arthur LO, Peeters M, Shaw GM, Sharp PM, Hahn BH (1999). “Origin of HIV-1 in the chimpanzee Pan troglodytes troglodytes”. 《Nature》 397 (6718): 436–41. Bibcode:1999Natur.397..436G. doi:10.1038/17130. PMID 9989410. S2CID 4432185. 
  17. de Sousa JD, Müller V, Lemey P, Vandamme AM (2010). “High GUD Incidence in the Early 20th century Created a Particularly Permissive Time Window for the Origin and Initial Spread of Epidemic HIV Strains”. 《PLOS ONE》 5 (4): e9936. Bibcode:2010PLoSO...5.9936S. doi:10.1371/journal.pone.0009936. PMC 2848574. PMID 20376191. 
  18. Salemi M, Strimmer K, Hall WW, Duffy M, Delaporte E, Mboup S, Peeters M, Vandamme AM (2000). “Dating the common ancestor of SIVcpz and HIV-1 group M and the origin of HIV-1 subtypes by using a new method to uncover clock-like molecular evolution”. 《The FASEB Journal》 15 (2): 276–78. doi:10.1096/fj.00-0449fje. PMID 11156935. S2CID 35457733. 
  19. Korber B, Muldoon M, Theiler J, Gao F, Gupta R, Lapedes A, Hahn BH, Wolinsky S, Bhattacharya T (2000). “Timing the Ancestor of the HIV-1 Pandemic Strains”. 《Science》 288 (5472): 1789–96. Bibcode:2000Sci...288.1789K. doi:10.1126/science.288.5472.1789. PMID 10846155. 
  20. Lemey P, Pybus OG, Rambaut A, Drummond AJ, Robertson DL, Roques P, Worobey M, Vandamme AM (2004). “The Molecular Population Genetics of HIV-1 Group O”. 《Genetics》 167 (3): 1059–68. doi:10.1534/genetics.104.026666. PMC 1470933. PMID 15280223. 
  21. Worobey M, Gemmel M, Teuwen DE, Haselkorn T, Kunstman K, Bunce M, Muyembe JJ, Kabongo JM, Kalengayi RM, Van Marck E, Gilbert MT, Wolinsky SM (2008). “Direct evidence of extensive diversity of HIV-1 in Kinshasa by 1960”. 《Nature》 455 (7213): 661–64. Bibcode:2008Natur.455..661W. doi:10.1038/nature07390. PMC 3682493. PMID 18833279. 
  22. Worobey M, Gemmel M, Teuwen DE, Haselkorn T, Kunstman K, Bunce M, Muyembe JJ, Kabongo JM, Kalengayi RM, Van Marck E, Gilbert MT, Wolinsky SM (2008). “Direct evidence of extensive diversity of HIV-1 in Kinshasa by 1960”. 《Nature》 455 (7213): 661–64. Bibcode:2008Natur.455..661W. doi:10.1038/nature07390. PMC 3682493. PMID 18833279. 
  23. Colonial clue to the rise of HIV. BBC News. Retrieved 20-1-2009.
  24. Sharp, Paul, Elizabeth Bailes, Roy Chaudhuri, et al. "The Origins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Viruses: Where and When?" The Royal Society (2001): 867–76. Print.
  25. Santiago ML, Range F, Keele BF, Li Y, Bailes E, Bibollet-Ruche F, Fruteau C, Noë R, Peeters M, Brookfield JF, Shaw GM, Sharp PM, Hahn BH (2005).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in Free-Ranging Sooty Mangabeys (Cercocebus atys atys) from the Tai Forest, Cote d'Ivoire: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Epidemic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2”. 《Journal of Virology》 79 (19): 12515–27. doi:10.1128/JVI.79.19.12515-12527.2005. PMC 1211554. PMID 16160179. 
  26. Lemey P, Pybus OG, Wang B, Saksena NK, Salemi M, Vandamme AM (2003). “Tracing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HIV-2 epidemic”.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0 (11): 6588–92. Bibcode:2003PNAS..100.6588L. doi:10.1073/pnas.0936469100. PMC 164491. PMID 12743376. 
  27. Wertheim JO, Worobey M (2009). Drummond AJ, 편집. “Dating the Age of the SIV Lineages That Gave Rise to HIV-1 and HIV-2”. 《PLOS Computational Biology》 5 (5): e1000377. Bibcode:2009PLSCB...5E0377W. doi:10.1371/journal.pcbi.1000377. PMC 2669881. PMID 19412344. 
  28. Sharp PM, Bailes E, Chaudhuri RR, Rodenburg CM, Santiago MO, Hahn BH (2001). “The origins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viruses: where and whe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56 (1410): 867–76. doi:10.1098/rstb.2001.0863. PMC 1088480. PMID 11405934. 
  29. Annabel Kanabus & Sarah Allen. Updated by Bonita de Boer (2007). “The Origins of HIV & the First Cases of AIDS”. AVERT (an international HIV and AIDS charity based in the UK). 2007년 2월 28일에 확인함. 
  30. Chitnis A, Rawls D, Moore J (2000). “Origin Of HIV Type 1 In Colonial French Equatorial Africa?”. 《AIDS Research and Human Retroviruses》 16 (1): 5–8. doi:10.1089/088922200309548. PMID 10628811. S2CID 17783758. 
  31. Kalish ML, Wolfe ND, Ndongmo CB, McNicholl J, Robbins KE, Aidoo M, Fonjungo PN, Alemnji G, Zeh C, Djoko CF, Mpoudi-Ngole E, Burke DS, Folks TM (2005). “Central African hunters exposed to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Emerg Infect Dis》 11 (12): 1928–30. doi:10.3201/eid1112.050394. PMC 3367631. PMID 16485481. 
  32. Jones LR, Dilernia DA, Manrique JM, Moretti F, Salomón H, Gomez-Carrillo M (2009). “In-Depth Analysis of the Origins of HIV Type 1 Subtype C in South America”. 《AIDS Research and Human Retroviruses》 25 (10): 951–59. doi:10.1089/aid.2008.0293. PMID 19842791. 
  33. Santiago ML, Range F, Keele BF, Li Y, Bailes E, Bibollet-Ruche F, Fruteau C, Noë R, Peeters M, Brookfield JF, Shaw GM, Sharp PM, Hahn BH (2005).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in Free-Ranging Sooty Mangabeys (Cercocebus atys atys) from the Tai Forest, Cote d'Ivoire: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Epidemic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2”. 《Journal of Virology》 79 (19): 12515–27. doi:10.1128/JVI.79.19.12515-12527.2005. PMC 1211554. PMID 16160179. 
  34. Van Heuverswyn F, Li Y, Neel C, Bailes E, Keele BF, Liu W, Loul S, Butel C, Liegeois F, Bienvenue Y, Ngolle EM, Sharp PM, Shaw GM, Delaporte E, Hahn BH, Peeters M (2006). “Human immunodeficiency viruses: SIV infection in wild gorillas”. 《Nature》 444 (7116): 164. Bibcode:2006Natur.444..164V. doi:10.1038/444164a. PMID 17093443. S2CID 27475571. 
  35. Plantier JC, Leoz M, Dickerson JE, De Oliveira F, Cordonnier F, Lemée V, Damond F, Robertson DL, Simon F (2009). “A new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derived from gorillas”. 《Nature Medicine》 15 (8): 871–72. doi:10.1038/nm.2016. PMID 19648927. S2CID 76837833. 
  36. Sharp PM, Bailes E, Chaudhuri RR, Rodenburg CM, Santiago MO, Hahn BH (2001). “The origins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viruses: where and whe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56 (1410): 867–76. doi:10.1098/rstb.2001.0863. PMC 1088480. PMID 11405934. 
  37. Gao F, Bailes E, Robertson DL, Chen Y, Rodenburg CM, Michael SF, Cummins LB, Arthur LO, Peeters M, Shaw GM, Sharp PM, Hahn BH (1999). “Origin of HIV-1 in the chimpanzee Pan troglodytes troglodytes”. 《Nature》 397 (6718): 436–41. Bibcode:1999Natur.397..436G. doi:10.1038/17130. PMID 9989410. S2CID 4432185. 
  38. Marx PA, Alcabes PG, Drucker E (2001). “Serial human passage of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by unsterile injections and the emergence of epidemic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 Africa”.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56 (1410): 911–20. doi:10.1098/rstb.2001.0867. PMC 1088484. PMID 11405938. 
  39. Kalish ML, Wolfe ND, Ndongmo CB, McNicholl J, Robbins KE, Aidoo M, Fonjungo PN, Alemnji G, Zeh C, Djoko CF, Mpoudi-Ngole E, Burke DS, Folks TM (2005). “Central African hunters exposed to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Emerg Infect Dis》 11 (12): 1928–30. doi:10.3201/eid1112.050394. PMC 3367631. PMID 16485481. 
  40. de Sousa JD, Müller V, Lemey P, Vandamme AM (2010). “High GUD Incidence in the Early 20th century Created a Particularly Permissive Time Window for the Origin and Initial Spread of Epidemic HIV Strains”. 《PLOS ONE》 5 (4): e9936. Bibcode:2010PLoSO...5.9936S. doi:10.1371/journal.pone.0009936. PMC 2848574. PMID 20376191. 
  41. Worobey M, Telfer P, Souquière S, Hunter M, Coleman CA, Metzger MJ, Reed P, Makuwa M, Hearn G, Honarvar S, Roques P, Apetrei C, Kazanji M, Marx PA (2010). “Island Biogeography Reveals the Deep History of SIV”. 《Science》 329 (5998): 1487. Bibcode:2010Sci...329.1487W. doi:10.1126/science.1193550. PMID 20847261. S2CID 37803712. 
  42. Worobey M, Gemmel M, Teuwen DE, Haselkorn T, Kunstman K, Bunce M, Muyembe JJ, Kabongo JM, Kalengayi RM, Van Marck E, Gilbert MT, Wolinsky SM (2008). “Direct evidence of extensive diversity of HIV-1 in Kinshasa by 1960”. 《Nature》 455 (7213): 661–64. Bibcode:2008Natur.455..661W. doi:10.1038/nature07390. PMC 3682493. PMID 18833279. 
  43. Gallagher, James (2014년 10월 2일). “Aids: Origin of pandemic 'was 1920s Kinshasa'. BBC. 
  44. Sharp PM, Bailes E, Chaudhuri RR, Rodenburg CM, Santiago MO, Hahn BH (2001). “The origins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viruses: where and whe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56 (1410): 867–76. doi:10.1098/rstb.2001.0863. PMC 1088480. PMID 11405934. 
  45. Egerton FC (1938) African Majesty: A Record of Refuge at the Court of the King of Bangangté in the French Cameroons. London: George Routledge & Sons.
  46. de Sousa JD, Müller V, Lemey P, Vandamme AM (2010). “High GUD Incidence in the Early 20th century Created a Particularly Permissive Time Window for the Origin and Initial Spread of Epidemic HIV Strains”. 《PLOS ONE》 5 (4): e9936. Bibcode:2010PLoSO...5.9936S. doi:10.1371/journal.pone.0009936. PMC 2848574. PMID 20376191. 
  47. Gondola, Charles Didier (1996). 《Villes miroirs: migrations et identités urbaines à Kinshasa et Brazzaville, 1930–1970》 (프랑스어). Paris: L'Harmattan. ISBN 978-2-7384-4868-2. [쪽 번호 필요]
  48. Friedrichs A (Herzogs zu Mecklenbourg), editor (1924) Wissenschaftliche Ergebnisse der Deutschen Zentral-Afrika Expedition 1907–1908. Leipzig: Klinkhardt & Biermann.
  49. Worobey M, Gemmel M, Teuwen DE, Haselkorn T, Kunstman K, Bunce M, Muyembe JJ, Kabongo JM, Kalengayi RM, Van Marck E, Gilbert MT, Wolinsky SM (2008). “Direct evidence of extensive diversity of HIV-1 in Kinshasa by 1960”. 《Nature》 455 (7213): 661–64. Bibcode:2008Natur.455..661W. doi:10.1038/nature07390. PMC 3682493. PMID 18833279. 
  50. Chitnis A, Rawls D, Moore J (2000). “Origin of HIV Type 1 in Colonial French Equatorial Africa?”. 《AIDS Research and Human Retroviruses》 16 (1): 5–8. doi:10.1089/088922200309548. PMID 10628811. S2CID 17783758. 
  51. Merfield FG (1957) Gorillas were my Neighbours. London: The Company Book Club.
  52. Coquery-Vidrovitch C (1998). “The Upper-Sangha in the Time of the Concession Companies” (PDF). 《Yale F & ES Bulletin》 102: 72–84. 
  53. Chitnis A, Rawls D, Moore J (2000). “Origin of HIV Type 1 in Colonial French Equatorial Africa?”. 《AIDS Research and Human Retroviruses》 16 (1): 5–8. doi:10.1089/088922200309548. PMID 10628811. S2CID 17783758. 
  54. Moore J (2001). “About this paper and comments on 'The River'. 
  55. Salemi M, Strimmer K, Hall WW, Duffy M, Delaporte E, Mboup S, Peeters M, Vandamme AM (2000). “Dating the common ancestor of SIVcpz and HIV-1 group M and the origin of HIV-1 subtypes by using a new method to uncover clock-like molecular evolution”. 《The FASEB Journal》 15 (2): 276–78. doi:10.1096/fj.00-0449fje. PMID 11156935. S2CID 35457733. 
  56. Korber B, Muldoon M, Theiler J, Gao F, Gupta R, Lapedes A, Hahn BH, Wolinsky S, Bhattacharya T (2000). “Timing the Ancestor of the HIV-1 Pandemic Strains”. 《Science》 288 (5472): 1789–96. Bibcode:2000Sci...288.1789K. doi:10.1126/science.288.5472.1789. PMID 10846155. 
  57. Lemey P, Pybus OG, Rambaut A, Drummond AJ, Robertson DL, Roques P, Worobey M, Vandamme AM (2004). “The Molecular Population Genetics of HIV-1 Group O”. 《Genetics》 167 (3): 1059–68. doi:10.1534/genetics.104.026666. PMC 1470933. PMID 15280223. 
  58. Worobey M, Gemmel M, Teuwen DE, Haselkorn T, Kunstman K, Bunce M, Muyembe JJ, Kabongo JM, Kalengayi RM, Van Marck E, Gilbert MT, Wolinsky SM (2008). “Direct evidence of extensive diversity of HIV-1 in Kinshasa by 1960”. 《Nature》 455 (7213): 661–64. Bibcode:2008Natur.455..661W. doi:10.1038/nature07390. PMC 3682493. PMID 18833279. 
  59. Marx PA, Alcabes PG, Drucker E (2001). “Serial human passage of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by unsterile injections and the emergence of epidemic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 Africa”.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56 (1410): 911–20. doi:10.1098/rstb.2001.0867. PMC 1088484. PMID 11405938. 
  60. Drucker E, Alcabes PG, Marx PA (2001). “The injection century: massive unsterile injections and the emergence of human pathogens”. 《Lancet》 358 (9297): 1989–92. doi:10.1016/S0140-6736(01)06967-7. PMID 11747942. S2CID 33545603. 
  61. Donald G. McNeil, Jr. (2010년 9월 16일). “Precursor to H.I.V. Was in Monkeys for Millennia”. 《The New York Times. 2010년 9월 17일에 확인함. Dr. Marx believes that the crucial event was the introduction into Africa of millions of inexpensive, mass-produced syringes in the 1950s. ... suspect that the growth of colonial cities is to blame. Before 1910, no Central African town had more than 10,000 people. But urban migration rose, increasing sexual contacts and leading to red-light districts. 
  62. Kalish ML, Wolfe ND, Ndongmo CB, McNicholl J, Robbins KE, Aidoo M, Fonjungo PN, Alemnji G, Zeh C, Djoko CF, Mpoudi-Ngole E, Burke DS, Folks TM (2005). “Central African hunters exposed to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Emerg Infect Dis》 11 (12): 1928–30. doi:10.3201/eid1112.050394. PMC 3367631. PMID 16485481. 
  63. Marx PA, Alcabes PG, Drucker E (2001). “Serial human passage of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by unsterile injections and the emergence of epidemic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 Africa”.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56 (1410): 911–20. doi:10.1098/rstb.2001.0867. PMC 1088484. PMID 11405938. 
  64. Salemi M, Strimmer K, Hall WW, Duffy M, Delaporte E, Mboup S, Peeters M, Vandamme AM (2000). “Dating the common ancestor of SIVcpz and HIV-1 group M and the origin of HIV-1 subtypes by using a new method to uncover clock-like molecular evolution”. 《The FASEB Journal》 15 (2): 276–78. doi:10.1096/fj.00-0449fje. PMID 11156935. S2CID 35457733. 
  65. Korber B, Muldoon M, Theiler J, Gao F, Gupta R, Lapedes A, Hahn BH, Wolinsky S, Bhattacharya T (2000). “Timing the Ancestor of the HIV-1 Pandemic Strains”. 《Science》 288 (5472): 1789–96. Bibcode:2000Sci...288.1789K. doi:10.1126/science.288.5472.1789. PMID 10846155. 
  66. Lemey P, Pybus OG, Rambaut A, Drummond AJ, Robertson DL, Roques P, Worobey M, Vandamme AM (2004). “The Molecular Population Genetics of HIV-1 Group O”. 《Genetics》 167 (3): 1059–68. doi:10.1534/genetics.104.026666. PMC 1470933. PMID 15280223. 
  67. Worobey M, Gemmel M, Teuwen DE, Haselkorn T, Kunstman K, Bunce M, Muyembe JJ, Kabongo JM, Kalengayi RM, Van Marck E, Gilbert MT, Wolinsky SM (2008). “Direct evidence of extensive diversity of HIV-1 in Kinshasa by 1960”. 《Nature》 455 (7213): 661–64. Bibcode:2008Natur.455..661W. doi:10.1038/nature07390. PMC 3682493. PMID 18833279. 
  68. Lemey P, Pybus OG, Wang B, Saksena NK, Salemi M, Vandamme AM (2003). “Tracing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HIV-2 epidemic”.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0 (11): 6588–92. Bibcode:2003PNAS..100.6588L. doi:10.1073/pnas.0936469100. PMC 164491. PMID 12743376. 
  69. Wertheim JO, Worobey M (2009). Drummond AJ, 편집. “Dating the Age of the SIV Lineages That Gave Rise to HIV-1 and HIV-2”. 《PLOS Computational Biology》 5 (5): e1000377. Bibcode:2009PLSCB...5E0377W. doi:10.1371/journal.pcbi.1000377. PMC 2669881. PMID 19412344. 
  70. “പശ്ചിമഘട്ടത്തിൽ പുതിയ ഔഷധച്ചെടി; 'ഹിഡിയോട്ടിസ് ഇന്ദിരെ'. 《ManoramaOnline》 (말라얄람어). 2019년 8월 3일에 확인함. 
  71. Marx PA, Alcabes PG, Drucker E (2001). “Serial human passage of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by unsterile injections and the emergence of epidemic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 Africa”.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56 (1410): 911–20. doi:10.1098/rstb.2001.0867. PMC 1088484. PMID 11405938. 
  72. Gisselquist D (2003). “Emergence of the HIV type 1 epidemic in the twentieth century: comparing hypotheses to evidence”. 《AIDS Res Hum Retroviruses》 19 (12): 1071–78. doi:10.1089/088922203771881158. PMID 14709242. 
  73. Marx PA, Alcabes PG, Drucker E (2001). “Serial human passage of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by unsterile injections and the emergence of epidemic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 Africa”.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56 (1410): 911–20. doi:10.1098/rstb.2001.0867. PMC 1088484. PMID 11405938. 
  74. Salemi M, Strimmer K, Hall WW, Duffy M, Delaporte E, Mboup S, Peeters M, Vandamme AM (2000). “Dating the common ancestor of SIVcpz and HIV-1 group M and the origin of HIV-1 subtypes by using a new method to uncover clock-like molecular evolution”. 《The FASEB Journal》 15 (2): 276–78. doi:10.1096/fj.00-0449fje. PMID 11156935. S2CID 35457733. 
  75. Korber B, Muldoon M, Theiler J, Gao F, Gupta R, Lapedes A, Hahn BH, Wolinsky S, Bhattacharya T (2000). “Timing the Ancestor of the HIV-1 Pandemic Strains”. 《Science》 288 (5472): 1789–96. Bibcode:2000Sci...288.1789K. doi:10.1126/science.288.5472.1789. PMID 10846155. 
  76. Lemey P, Pybus OG, Rambaut A, Drummond AJ, Robertson DL, Roques P, Worobey M, Vandamme AM (2004). “The Molecular Population Genetics of HIV-1 Group O”. 《Genetics》 167 (3): 1059–68. doi:10.1534/genetics.104.026666. PMC 1470933. PMID 15280223. 
  77. Worobey M, Gemmel M, Teuwen DE, Haselkorn T, Kunstman K, Bunce M, Muyembe JJ, Kabongo JM, Kalengayi RM, Van Marck E, Gilbert MT, Wolinsky SM (2008). “Direct evidence of extensive diversity of HIV-1 in Kinshasa by 1960”. 《Nature》 455 (7213): 661–64. Bibcode:2008Natur.455..661W. doi:10.1038/nature07390. PMC 3682493. PMID 18833279. 
  78. Linke, Uli (January 1986). “AIDS in Africa”. 《Science》 231 (4735): 203. Bibcode:1986Sci...231..203L. doi:10.1126/science.231.4735.203-b. PMID 3941894. 
  79. Marx PA, Alcabes PG, Drucker E (2001). “Serial human passage of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by unsterile injections and the emergence of epidemic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 Africa”.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56 (1410): 911–20. doi:10.1098/rstb.2001.0867. PMC 1088484. PMID 11405938. 
  80. Chitnis A, Rawls D, Moore J (2000). “Origin of HIV Type 1 in Colonial French Equatorial Africa?”. 《AIDS Research and Human Retroviruses》 16 (1): 5–8. doi:10.1089/088922200309548. PMID 10628811. S2CID 17783758. 
  81. Gisselquist D (2003). “Emergence of the HIV type 1 epidemic in the twentieth century: comparing hypotheses to evidence”. 《AIDS Res Hum Retroviruses》 19 (12): 1071–78. doi:10.1089/088922203771881158. PMID 14709242. 
  82. Pépin J, Labbé AC (2008). “Noble goals, unforeseen consequences: control of tropical diseases in colonial Central Africa and the iatrogenic transmission of blood-borne viruses”. 《Trop Med Int Health》 13 (6): 744–53. doi:10.1111/j.1365-3156.2008.02060.x. PMID 18397182. S2CID 3062194. 
  83. Ramsay S (2001). “Cold water downstream from The River”. 《The Lancet》 357 (9265): 1343. doi:10.1016/S0140-6736(00)04536-0. S2CID 140208985. 
  84. Schindler M, Münch J, Kutsch O, Li H, Santiago ML, Bibollet-Ruche F, Müller-Trutwin MC, Novembre FJ, Peeters M, Courgnaud V, Bailes E, Roques P, Sodora DL, Silvestri G, Sharp PM, Hahn BH, Kirchhoff F (2006). “Nef-mediated suppression of T cell activation was lost in a lentiviral lineage that gave rise to HIV-1”. 《Cell》 125 (6): 1055–67. doi:10.1016/j.cell.2006.04.033. PMID 16777597. 
  85. Keele BF, Jones JH, Terio KA, Estes JD, Rudicell RS, Wilson ML, Li Y, Learn GH, Beasley TM, Schumacher-Stankey J, Wroblewski E, Mosser A, Raphael J, Kamenya S, Lonsdorf EV, Travis DA, Mlengeya T, Kinsel MJ, Else JG, Silvestri G, Goodall J, Sharp PM, Shaw GM, Pusey AE, Hahn BH (2009). “Increased mortality and AIDS-like immunopathology in wild chimpanzees infected with SIVcpz”. 《Nature》 460 (7254): 515–19. Bibcode:2009Natur.460..515K. doi:10.1038/nature08200. PMC 2872475. PMID 19626114. 
  86. Steve Connor (1995년 3월 24일). “How scientists discovered false evidence on the world's "first AIDS victim". 《The Independent》. 2012년 2월 13일에 확인함. 
  87. Lawrence K. Altman (1995년 4월 4일). “Earliest AIDS Case Is Called Into Doubt”. 《The New York Times》. 
  88. Edward Hooper and William D. Hamilton (1996). “1959 Manchester Case of Syndrome Resembling Aids”. 《The Lancet》 348 (9038): 1363–65. doi:10.1016/S0140-6736(96)07063-8. PMID 8918282. S2CID 40908265. (link: Lancet page). 
  89. Zhu T, Korber BT, Nahmias AJ, Hooper E, Sharp PM, Ho DD (1998). “An African HIV-1 Sequence from 1959 and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the Epidemic”. 《Nature》 391 (6667): 594–97. Bibcode:1998Natur.391..594Z. doi:10.1038/35400. PMID 9468138. S2CID 4416837. 
  90. Yong, Ed (2019년 8월 16일). “A Tissue Sample From 1966 Held Traces of Early HIV”. 《The Atlantic》. 2021년 6월 11일에 확인함. 
  91. Garry RF, Witte MH, Gottlieb AA, Elvin-Lewis M, Gottlieb MS, Witte CL, Alexander SS, Cole WR, Drake WL (October 1988). “Documentation of an AIDS virus infection in the United States in 1968”. 《JAMA》 260 (14): 2085–87. doi:10.1001/jama.1988.03410140097031. PMID 3418874. 
  92. Haislip AM, Witte MH, Sullivan KA, Wolfe M, Gottlieb AA, Gottlieb MS, Cole WR, Witte CL, Garry RF. 〈The Earliest Known AIDS Patient in the United States was Infected with an HIV-1 Strain Closely Related to IIIB/LAI〉. 《XIth International Congress of Virology, Sydney Convention Center, Australia, 9–13 August 1999》. 2007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93. “Epidemiology of HIV/AIDS in the United States”. 《ucsf.edu》. 2015년 2월 13일에 확인함. 
  94. “Case Shakes Theories of AIDS Origin”. 2008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5년 12월 27일에 확인함. 
  95. Kolata, Gina (1987년 10월 28일). “Boy's 1969 death suggests AIDS invaded U.S. Several times”. 《The New York Times》. 
  96. Saxinger WC, Levine PH, Dean AG, de Thé G, Lange-Wantzin G, Moghissi J, Laurent F, Hoh M, Sarngadharan MG, Gallo RC (March 1985). “Evidence for exposure to HTLV-III in Uganda before 1973” (PDF). 《Science227 (4690): 1036–38. Bibcode:1985Sci...227.1036S. doi:10.1126/science.2983417. PMID 2983417. 
  97. Frøland SS, Jenum P, Lindboe CF, Wefring KW, Linnestad PJ, Böhmer T (June 1988). “HIV-1 infection in Norwegian family before 1970”. 《Lancet》 1 (8598): 1344–45. doi:10.1016/S0140-6736(88)92164-2. PMID 2897596. S2CID 35124293. 
  98. Hooper E (1997). “Sailors and star-bursts, and the arrival of HIV”. 《BMJ》 315 (7123): 1689–91. doi:10.1136/bmj.315.7123.1689. PMC 2128008. PMID 9448543. 
  99. Maj, Helle (2020년 11월 10일). “After hard working days she rested by the beautiful Ebola River”. 《globalhealth.ku.dk》 (영어). 2021년 3월 15일에 확인함. 
  100. Maj, Helle (2020년 6월 9일). “Grethe Rask reddede liv på congolesisk missionshospital, indtil mødet med ukendt virus blev fatalt”. 《Kristeligt Dagblad》 (덴마크어). 2021년 3월 15일에 확인함. 
  101. Donald G. McNeil, Jr. (2016년 10월 26일). “H.I.V. Arrived in the U.S. Long Before 'Patient Zero'. 《The New York Times》. 
  102. Gilbert MT, Rambaut A, Wlasiuk G, Spira TJ, Pitchenik AE, Worobey M (2007). “The emergence of HIV/AIDS in the Americas and beyond”. 《Proc Natl Acad Sci USA》 104 (47): 18566–70. Bibcode:2007PNAS..10418566G. doi:10.1073/pnas.0705329104. PMC 2141817. PMID 17978186. 
  103. “Key HIV strain 'came from Haiti'. 《BBC News》. 2007년 10월 30일. 2010년 5월 20일에 확인함. 
  104. “Study Says AIDS in U.S. Earlier than Thought”. 《NPR.org》. 2007년 10월 30일. 2015년 2월 13일에 확인함. 
  105. Morris M, Dean L (1994). “Effect of sexual behavior change on long-term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prevalence among homosexual me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40 (3): 217–32. doi:10.1093/oxfordjournals.aje.a117241. PMID 8030625. 
  106. Jin F, Jansson J, Law M, Prestage GP, Zablotska I, Imrie JC, Kippax SC, Kaldor JM, Grulich AE, Wilson DP (March 2010). “Per-contact probability of HIV transmission in homosexual men in Sydney in the era of HAART” (PDF). 《AIDS》 24 (6): 907–13. doi:10.1097/QAD.0b013e3283372d90. PMC 2852627. PMID 20139750. 
  107. Jaffe HW, Darrow WW, Echenberg DF, O'Malley PM, Getchell JP, Kalyanaraman VS, Byers RH, Drennan DP, Braff EH, Curran JW (1985). “The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in a cohort of homosexual men. A six-year follow-up study”.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03 (2): 210–14. doi:10.7326/0003-4819-103-2-210. PMID 2990275. S2CID 6489735. 
  108. Sarah Schulman (2008년 8월 23일). “ACT UP Oral History Project Interview of Betty Williams” (PDF). 2010 The New York Lesbian & Gay Experimental Film Festival, Inc. 19쪽.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109. Ted Kerr (2015년 12월 31일). “A History of Erasing Black Artists and Bodies from the AIDS Conversation”. Hyperallergic Media Inc.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110. Ted Kerr (2018). “AIDS 1969: HIV, History, and Race”. Drain Magazine. 2018년 9월 4일에 확인함. 
  11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Thrasher_1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12. Julia Epstein (1995). 《Altered Conditions: Disease, Medicine and Storytelling》. Routledge. 18쪽. ISBN 978-0415907170. 
  113. L. Meruane (2014). 《Viral Voyages: Tracing AIDS in Latin America》. Palgrave Macmillan. 8쪽. doi:10.1057/9781137394996. ISBN 978-1-349-48409-6. 
  114. Tamsin Wilton (1997). 《EnGendering AIDS : deconstructing sex, text, and epidemic》. Sage. 125쪽. ISBN 978-0761953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