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형 당뇨병: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short description|고혈당과 인슐린 저항이 동반하는 진성당뇨병 유형}} {{Infobox medical condition (new) | image = Blue circle for diabetes.svg | image_s...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m 모바일 웹
(차이 없음)

2021년 4월 27일 (화) 14:27 판

제2형 당뇨병
다른 이름진성당뇨병 제2형(Diabetes mellitus type 2)
성인발병당뇨병(adult-onset diabetes)[1]
비인슐린의존성 당뇨(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Universal blue circle symbol for diabetes[2]
발음
진료과Endocrinology
증상갈증 증가(polydipsia, Increased thirst), 다뇨증(polyuria, frequent urination), 체중 저하(unexplained weight loss), 다식증(polyphagia, increased hunger)[3]
합병증고혈당성 고삼투성 비케톤성 혼수(Hyperosmolar hyperglycemic state), 당뇨병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 심장질환(heart disease), 뇌졸중(stroke),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신부전증(kidney failure), 신체절단(amputation)[1][4][5]
통상적 발병 시기중년 혹은 노년[6]
기간장기[6]
병인비만, 운동부족, 유전[1][6]
진단 방식혈액검사[3]
예방정상 채중 유지, 운동, 식단 조절[1]
치료식단 변화(Dietary changes), 메트포민(metformin), 인슐린(insulin), 비만수술(bariatric surgery)[1][7][8][9]
예후수명 10년 단축[10]
빈도392,000,000명 (2015)[11]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T2D)은 성인발병당뇨병(adult-onset diabetes)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고혈당(hyperglycemia, high blood sugar), 인슐린 저항(insulin resistance), 인슐린(insulin) 부족 등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diabetes)이다.[6] 주요 증상으로는 다갈증(polydipsia|increased thirst), 다뇨증(polyuria, frequent urination), 체중 감소(unexplained weight loss) 등이다.[3] 또한 다식증(polyphagia, increased hunger), 피로감, 치료되지 않는 통증도 있다.[3] 증상은 천천히 진행되기도 한다.[6] 고혈당으로 인한 장기 합병증으로는 심장질환(heart disease]], 뇌졸중stroke]]s,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이 있으며, 당뇨망막병증은 실명(blindness), 신부전(kidney failure), 사지절단(amputation)을 야기하는 혈류 악화(poor blood flow)를 일으킬 수 있다.[1] The sudden onset of 고혈당성 고삼투성 비케톤성 혼수(hyperosmolar hyperglycemic state)가 갑자기 발병하기도 하나, 당뇨병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 ketoacidosis)이 흔히 일어난다.[4][5]

제2형 당뇨병은 주로 비만과 운동 부족으로 인해 발병한다.[1] 일부는 유전으로 인한 발병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6]

제2형 당뇨병은 전체 당뇨병의 90%를 차지하며, 나머지 10%는 제1형 당뇨병(type 1 diabetes)과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이다.[1] 제1형 당뇨병은 췌장(pancreas) 내 인슐린 생산 베타 세포(beta cell)의 자가면역(autoimmune)성 손실로 인하여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수치의 저하가 수반된다.[12][13] 당뇨병 진단은 공복혈장검사(fasting plasma glucose), 구강 내당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 당화 헤모글로빈(glycated hemoglobin, A1C) 등의 혈액검사를 통해 이뤄진다.[3]

제2형 당뇨병은 정상 채중 윶, 규칙적인 운동, 과일과 채소 등의 섭취 증량 및 설탕과 포화지방 섭취의 감축 등을 통한 식단 조절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1] Treatment involves exercise and dietary changes.[1] 혈당이 떨어지지 않으면 치료약으로 메트포민(metformin)이 주로 사용된다.[7][14] Many people may eventually also require insulin injections.[9] 인슐린에 대하여 습관적으로 혈당 수치를 체크해야 하지만,약물 복용 환자에게는 필요하지 않다.[15] 비만수술(Bariatric surgery)은 비만 환자의 당뇨병을 완화시킨다.[8][16]

1960년대 이래로 비만 환자의 증가와 함께 제2형 당뇨병 환자 비율은 두드러지게 증가해 왔다.[17] 1985년에는 약3천만명이 진단을 받았지만, 2015년에는 3.92억명이 제2형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11][18] 보통 중년이나 노년에 발병하지만,[6] 청장년층에서도 발병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19][20] 제2형 당뇨병으로 인하여 수명이 10년 단축될 수 있다.[10] 당뇨병은 인류 역사 기록상 최초로 기록된 질병 중 하나로, 기원전 1500년경 작성된 이집트 문서에도 등장한다.[21] 1920년대에 당뇨병에 있어 인슐린 작용의 중요성이 밝혀졌다.[22]

  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WHO2015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 “Diabetes Blue Circle Symbol”.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06년 3월 17일. 2007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 “Diagnosis of Diabetes and Prediabetes”.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June 2014.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0일에 확인함. 
  4. Pasquel FJ, Umpierrez GE (November 2014). “Hyperosmolar hyperglycemic state: a historic review of the clinical present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Diabetes Care》 37 (11): 3124–31. doi:10.2337/dc14-0984. PMC 4207202. PMID 25342831. 
  5. Fasanmade OA, Odeniyi IA, Ogbera AO (June 2008). “Diabetic ketoacidosis: diagnosis and management”. 《African Journal of Medicine and Medical Sciences》 37 (2): 99–105. PMID 18939392. 
  6. “Causes of Diabetes”.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June 2014. 2016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0일에 확인함. 
  7. Maruthur NM, Tseng E, Hutfless S, Wilson LM, Suarez-Cuervo C, Berger Z, Chu Y, Iyoha E, Segal JB, Bolen S (June 2016). “Diabetes Medications as Monotherapy or Metformin-Based Combination Therapy for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64 (11): 740–51. doi:10.7326/M15-2650. PMID 27088241. S2CID 32016657. 
  8. Cetinkunar S, Erdem H, Aktimur R, Sozen S (June 2015). “Effect of bariatric surgery on humoral control of metabolic derangements in obes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How it works”. 《World Journal of Clinical Cases》 3 (6): 504–9. doi:10.12998/wjcc.v3.i6.504. PMC 4468896. PMID 26090370. 
  9. Krentz AJ, Bailey CJ (February 2005). “Oral antidiabetic agents: current rol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Drugs》 65 (3): 385–411. doi:10.2165/00003495-200565030-00005. PMID 15669880. S2CID 29670619. 
  10. Melmed, Shlomo; Polonsky, Kenneth S.; Larsen, P. Reed; Kronenberg, Henry M., 편집. (2011). 《Williams textbook of endocrinology.》 12판. Philadelphia: Elsevier/Saunders. 1371–1435쪽. ISBN 978-1-4377-0324-5. 
  11. Vos T, Allen C, Arora M, Barber RM, Bhutta ZA, Brown A, 외. (GBD 2015 Disease and Injury Incidence and Prevalence Collaborators)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545–1602.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C 5055577. PMID 27733282. 
  12. MacKay, Ian; Rose, Noel, 편집. (2014). 《The Autoimmune Diseases》. Academic Press. 575쪽. ISBN 978-0-123-84929-8. OCLC 965646175. 
  13. Gardner, David G.; Shoback, Dolores, 편집. (2011). 〈Chapter 17: Pancreatic hormones & diabetes mellitus〉. 《Greenspan's basic & clinical endocrinology》 9판. New York: McGraw-Hill Medical. ISBN 978-0-07-162243-1. OCLC 613429053. 
  14. Saenz A, Fernandez-Esteban I, Mataix A, Ausejo M, Roque M, Moher D (July 2005). Saenz A, 편집. “Metformin monotherapy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3): CD002966. doi:10.1002/14651858.CD002966.pub3. PMID 16034881. 틀:Retracted
  15. Malanda UL, Welschen LM, Riphagen II, Dekker JM, Nijpels G, Bot SD (January 2012).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ho are not using insuli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5060. doi:10.1002/14651858.CD005060.pub3. hdl:1871/48558. PMID 22258959. 
  16. Ganguly S, Tan HC, Lee PC, Tham KW (April 2015). “Metabolic bariatric surgery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an endocrinologist's perspective”. 《Journal of Biomedical Research》 29 (2): 105–11. doi:10.7555/JBR.29.20140127. PMC 4389109. PMID 25859264. 
  17. Moscou, Susan (2013). 〈Getting the word out: advocacy, social marketing, and policy development and enforcement〉. Truglio-Londrigan, Marie; Lewenson, Sandra B. 《Public health nursing: practicing population-based care》 2판. Burlington, MA: Jones & Bartlett Learning. 317쪽. ISBN 978-1-4496-4660-8. OCLC 758391750. 
  18. Smyth S, Heron A (January 2006). “Diabetes and obesity: the twin epidemics”. 《Nature Medicine》 12 (1): 75–80. doi:10.1038/nm0106-75. PMID 16397575. S2CID 1042625. 
  19. Tfayli H, Arslanian S (March 2009). “Pathophysiology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youth: the evolving chameleon”. 《Arquivos Brasileiros de Endocrinologia e Metabologia》 53 (2): 165–74. doi:10.1590/s0004-27302009000200008. PMC 2846552. PMID 19466209. 
  20. Imperatore G, Boyle JP, Thompson TJ, Case D, Dabelea D, Hamman RF, Lawrence JM, Liese AD, Liu LL, Mayer-Davis EJ, Rodriguez BL, Standiford D (December 2012). “Projections of type 1 and type 2 diabetes burden in the U.S. population aged <20 years through 2050: dynamic modeling of incidence, mortality, and population growth”. 《Diabetes Care》 35 (12): 2515–20. doi:10.2337/dc12-0669. PMC 3507562. PMID 23173134. 
  21. Leutholtz, Brian C.; Ripoll, Ignacio (2011). 〈Diabetes〉. 《Exercise and disease management》 2판. Boca Raton: CRC Press. 25쪽. ISBN 978-1-4398-2759-8. OCLC 725919496. 
  22. Zaccardi F, Webb DR, Yates T, Davies MJ (February 2016). “Pathophysiology of type 1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a 90-year perspective”.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92 (1084): 63–9. doi:10.1136/postgradmedj-2015-133281. PMID 26621825. S2CID 28169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