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기관지확장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깨진 각주 수정
7번째 줄: 7번째 줄:
| pronounce = {{IPAc-en|ˌ|b|r|ɒ|ŋ|k|ɪ|ˈ|ɛ|k|t|ə|s|ɪ|s}}<ref>{{웹 인용|url=https://www.lexico.com/en/definition/bronchiectasis|title=Bronchiectasis &#124; Definition of Bronchiectasis by Lexico|website=Lexico Dictionaries &#124; English}}</ref>
| pronounce = {{IPAc-en|ˌ|b|r|ɒ|ŋ|k|ɪ|ˈ|ɛ|k|t|ə|s|ɪ|s}}<ref>{{웹 인용|url=https://www.lexico.com/en/definition/bronchiectasis|title=Bronchiectasis &#124; Definition of Bronchiectasis by Lexico|website=Lexico Dictionaries &#124; English}}</ref>
| field = [[기도학]]
| field = [[기도학]]
| symptoms = 습성해소, [[호흡곤란]], 흉통<ref name="NIH2014Sign">{{웹 인용|title=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Bronchiectasis?|url=https://www.nhlbi.nih.gov/health/health-topics/topics/brn/signs|website=NHLBI|accessdate=10 August 2016|date=June 2, 2014|url-status=liv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823030732/https://www.nhlbi.nih.gov/health/health-topics/topics/brn/signs|archivedate=23 August 2016}}</ref><ref name="Mc2013">{{저널 인용|last1=McShane|first1=PJ|last2=Naureckas|first2=ET|last3=Tino|first3=G|last4=Strek|first4=ME|title=Non-cystic fibrosis bronchiectasis.|journal=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date=Sep 15, 2013|volume=188|issue=6|pages=647–56|pmid=23898922|doi=10.1164/rccm.201303-0411CI}}</ref>
| symptoms = 습성해소, [[호흡곤란]], 흉통<ref name=NIH2014Sign/><ref name=Mc2013/>
| onset = 점진적<ref>{{저널 인용|last1=Maguire|first1=G|title=Bronchiectasis – a guide for primary care.|journal=Australian Family Physician|date=November 2012|volume=41|issue=11|pages=842–50|pmid=23145413}}</ref>
| onset = 점진적<ref>{{저널 인용|last1=Maguire|first1=G|title=Bronchiectasis – a guide for primary care.|journal=Australian Family Physician|date=November 2012|volume=41|issue=11|pages=842–50|pmid=23145413}}</ref>
| duration = 장기간<ref name="NIH2014What">{{웹 인용|title=What Is Bronchiectasis?|url=https://www.nhlbi.nih.gov/health/health-topics/topics/brn|website=NHLBI|accessdate=10 August 2016|date=June 2, 2014|url-status=liv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810235340/http://www.nhlbi.nih.gov/health/health-topics/topics/brn/|archivedate=10 August 2016}}</ref>
| duration = 장기간<ref name=NIH2014What/>
| causes = 감염, [[낭포성 섬유증]], 기타 유전 질환, 미상<ref name=Mc2013/><ref name=Stat2019>{{저널 인용|last1=Bird |first1=K |last2=Memon |first2=J |title=Bronchiectasis |date=January 2019 |pmid=28613561}}</ref>
| causes = 감염, [[낭포성 섬유증]], 기타 유전 질환, 미상<ref name=Mc2013/><ref name=Stat2019>{{저널 인용|last1=Bird |first1=K |last2=Memon |first2=J |title=Bronchiectasis |date=January 2019 |pmid=28613561}}</ref>
| risks =
| risks =
| diagnosis = 증상에 의거, [[엑스선 전산화 단층 촬영]]<ref name="BTS2012">{{웹 인용|title=Quality Standards for Clinically Significant Bronchiectasis in Adults|url=https://www.brit-thoracic.org.uk/standards-of-care/quality-standards/bts-bronchiectasis-quality-standards/|publisher=British Thoracic Society|accessdate=29 April 2017|date=July 2012|url-status=liv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707001137/https://www.brit-thoracic.org.uk/standards-of-care/quality-standards/bts-bronchiectasis-quality-standards/|archivedate=7 July 2017}}</ref>
| diagnosis = 증상에 의거, [[엑스선 전산화 단층 촬영]]<ref name=BTS2012/>
| differential =
| differential =
| treatment = [[항생물질]], [[기관지 확장제]], [[폐이식]]<ref name=Mc2013/><ref name="NIH2014Tx">{{웹 인용|title=How Is Bronchiectasis Treated?|url=https://www.nhlbi.nih.gov/health/health-topics/topics/brn/treatment|website=NHLBI|accessdate=10 August 2016|date=June 2, 2014|url-status=liv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728042454/http://www.nhlbi.nih.gov/health/health-topics/topics/brn/treatment|archivedate=28 July 2016}}</ref><ref name="Cor2013">{{저널 인용|last1=Corris|first1=PA|title=Lung transplantation for cystic fibrosis and bronchiectasis.|journal=Seminars in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date=Jun 2013|volume=34|issue=3|pages=297–304|pmid=23821505|doi=10.1055/s-0033-1348469}}</ref>
| treatment = [[항생물질]], [[기관지 확장제]], [[폐이식]]<ref name=Mc2013/><ref name=NIH2014Tx/><ref name=Cor2013/>
| medication =
| medication =
| frequency = 성인 250,000명 중 1–250명 꼴<ref name="Cot2015">{{서적 인용|last1=Cottin|first1=Vincent|last2=Cordier|first2=Jean-Francois|last3=Richeldi|first3=Luca|title=Orphan Lung Diseases: A Clinical Guide to Rare Lung Disease|date=2015|publisher=Springer|isbn=9781447124016|page=30|url=https://books.google.ca/books?id=U-InBgAAQBAJ&pg=PA30|url-status=liv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821104334/https://books.google.ca/books?id=U-InBgAAQBAJ&pg=PA30|archivedate=2016-08-21}}</ref>
| frequency = 성인 250,000명 중 1–250명 꼴<ref name=Cot2015/>
| deaths =
| deaths =
}}
}}
29번째 줄: 29번째 줄: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Commons category|Bronchiectasis}}
{{위키공용분류|Bronchiectasis}}
{{Medical condition classification and resources|
{{Medical condition classification and resources|
ICD9 = {{ICD9|494}}, {{ICD9|748.61}} |
ICD9 = {{ICD9|494}}, {{ICD9|748.61}} |

2020년 1월 27일 (월) 15:29 판

기관지확장증
다른 이름Bronchiectasis
그림 A: 정상 기도와 확장된 기도의 허파의 단면을 나타낸 그림. 그림 B: 정상 기도의 단면을 나타낸 그림. 그림 C: 기관지확장증의 기도의 단면을 나타낸 그림.
발음
진료과기도학
증상습성해소, 호흡곤란, 흉통[2][3]
통상적 발병 시기점진적[4]
기간장기간[5]
병인감염, 낭포성 섬유증, 기타 유전 질환, 미상[3][6]
진단 방식증상에 의거, 엑스선 전산화 단층 촬영[7]
치료항생물질, 기관지 확장제, 폐이식[3][8][9]
빈도성인 250,000명 중 1–250명 꼴[10]

기관지확장증(氣管支擴張症, bronchiectasis)은 기관지의 일부분이 비가역적으로 확장되는 질병이다. 가래나 출혈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킨다. 완치는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11]

원인

기관지확장증의 원인은 만성적인 하부기도의 감염이다. 반복적인 감염과 감염으로 인한 염증, 염증세포의 소화효소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서, 기관지의 연골 부분과 콜라겐등으로 형성된 탄성 섬유가 파괴되면서 기관지는 자신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넓어지게 된다. 또, 기관지의 섬모가 파괴되면서 객담 배출에 이상이 생기면서 하부 기관지에는 찌꺼기가 쌓이면서 추가적인 염증을 유발한다. 그리고,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으로 인해 기관지와 동행하는 기관지동맥이 확장되고 넓어진 기관지로 노출되면서 기관지 내부 출혈, 결과적으로 객혈의 원인이 된다.

참고 자료

  1. “Bronchiectasis | Definition of Bronchiectasis by Lexico”. 《Lexico Dictionaries | English》. 
  2.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Bronchiectasis?”. 《NHLBI》. 2014년 6월 2일. 2016년 8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0일에 확인함. 
  3. McShane, PJ; Naureckas, ET; Tino, G; Strek, ME (2013년 9월 15일). “Non-cystic fibrosis bronchiectasi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8 (6): 647–56. doi:10.1164/rccm.201303-0411CI. PMID 23898922. 
  4. Maguire, G (November 2012). “Bronchiectasis – a guide for primary care.”. 《Australian Family Physician》 41 (11): 842–50. PMID 23145413. 
  5. “What Is Bronchiectasis?”. 《NHLBI》. 2014년 6월 2일. 2016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0일에 확인함. 
  6. Bird, K; Memon, J (January 2019). “Bronchiectasis”. PMID 28613561. 
  7. “Quality Standards for Clinically Significant Bronchiectasis in Adults”. British Thoracic Society. July 2012. 2017년 7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9일에 확인함. 
  8. “How Is Bronchiectasis Treated?”. 《NHLBI》. 2014년 6월 2일. 2016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0일에 확인함. 
  9. Corris, PA (Jun 2013). “Lung transplantation for cystic fibrosis and bronchiectasis.”. 《Seminars in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34 (3): 297–304. doi:10.1055/s-0033-1348469. PMID 23821505. 
  10. Cottin, Vincent; Cordier, Jean-Francois; Richeldi, Luca (2015). 《Orphan Lung Diseases: A Clinical Guide to Rare Lung Disease》. Springer. 30쪽. ISBN 9781447124016. 2016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1. “medcity, 기관지확장증”. 2007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8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