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성장인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Thddbfk님이 변환성장인자 문서를 전환성장인자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Abbas 저, 《세포분자면역학》 7판의 표준한글번역용어 사용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는 [[세포]]의 형질을 전환시키는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폴리펩티드]] [[성장인자]]를 일컫는다. 전환성장인자는 크게 [[전환성장인자 알파|TGF-α]]와 [[전환성장인자 베타|TGF-β]]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 두 종류의 전환성장인자는 기능적으로 유사할 뿐 큰 연관성이 없다. [[단백질]]의 구조도 다를뿐더러 서로 다른 유전자를 통해 생산되고, 다른 [[수용체]]와 기전을 가지고 있다.
'''변환성장인자, Transforming growth factor'''는 때때로 '''암성장인자, Tumor growth factor''', 또는 '''TGF'''로 불리며 두 종류의 [[폴리펩티드]] [[성장인자]]인 [[TGFα]]와 [[TGF beta|TGFβ]]를 말한다.

"변환성장인자"라는 이름은 두 종류의 TGF가 구조적으로나 유전적으로 닮지 않았고 다른 수용체와 기작을 가지고 있기에 어떻게 보면 근거가 없다. 더 나아가 TGF는 항상 세포변환을 일으키지 않으며 세포변환을 일으키는 성장인자도 아닌경우가 있다.


== 종류 ==
== 종류 ==
* '''[[TGFα]]'''는 인간 [[암]]에서 상향조절 되어있다. [[대식세포]], [[뇌]]세포, [[케라틴]]생성세포에서 생성되며, 상피조직 발달을 유도한다.
* '''[[전환성장인자 알파|TGF]]'''는 현재 [[표피생장인자]]의 한 종류로 분류된다. 인간의 몇몇 [[암]]에서 [[발현]] 정도가 증가되어있다. [[대식세포]], [[뇌|뇌세포]], [[각질형성세포]]에서 생성되며, [[상피조직]]의 발달을 유도한다.
* '''[[전환성장인자 베타|TGF-β]]'''는 [[전환성장인자 베타 초가계|TGF-β 초가계]]에 속하는 물질로, 사람에서 세 가지의 종류가 알려져있다. [[전환성장인자 베타1|TGF-β1]], [[전환성장인자 베타2|TGF-β2]], [[전환성장인자 베타3|TGF-β3]]이 이들이며, [[전환성장인자 베타 초가계|TGF-β 초가계]]에는 [[항뮬러관호르몬|뮬러관 억제인자]], [[골형성단백질]], [[성장분화인자]] 등의 다른 물질들이 포함된다.<ref>{{저널 인용 |성1=Chin |이름1=David |성2=et al. |이름2= |날짜=2004-04 |제목=What is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β)? |url= |저널=British Journal of Plastic Surgery |출판사= |권=57 |호=3 |쪽=215-221 |doi=10.1016/j.bjps.2003.12.012 |pmc= |pmid=15006522 |확인날짜=2019-10-29 |name-list-format=vanc |mode=cs2 }}</ref> 인간의 몇몇 [[암]]에서 그 [[발현]] 정도가 증가되어있다. [[마르판 증후군|말판 증후군]]에서도 [[발현]] 정도가 높아져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ref>{{저널 인용 |성1=Matt |이름1=Peter |성2=et al. |이름2= |날짜=2009-08-11 |제목=Circulating TGFβ in Marfan's Syndrome |url= |저널=Circulation |출판사= |권=120 |호=6 |쪽=526–532 |doi=10.1161/CIRCULATIONAHA.108.841981 |pmc=2779568 |pmid=19635970 |확인날짜=2019-10-29 |name-list-format=vanc |mode=cs2 }}</ref> [[조직 (생물학)|조직]]의 [[재생 (생물학)|재생과정]], [[세포 분화]], [[발생 (생물학)|배아 발생]], [[면역계|면역체계]]의 조절 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전환성장인자 베타1|TGF-β1]]의 단백질 동위체들은 [[전자간증]]의 발생에도 관여한다고 생각된다. [[전환성장인자 베타|TGF-β]]의 수용체는 세린/트레오닌 인산화효소 수용체들이다.


== 기능 ==
* '''[[TGF beta|TGFβ]]'''는 사람에서 세 가지의 종류가 알려졌다. TGF&beta;1, TGF&beta;2, and TGF&beta;3. 말판증후군(Marfan's syndrome), <!--
전환성장인자들은 원래 특정한 [[세포 배양]] 조건([[생쥐|마우스]] [[신장]]의 [[섬유아세포]])에서 [[세포]]들을 [[암|악성종양]]으로 유도하는 능력에 의해 특징지어졌다. [[생쥐|마우스]] [[신장]]의 [[섬유아세포]]에 전환성장인자들을 처리하면 [[세포]]의 분열과 과증식을 유도하고, 정상 세포 배열에서 일어나는 밀도 의존성 억제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게 된다.


== 역사 ==
--><ref name="dysregmarfan">Circulating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in Marfan syndrome. Matt P, Schoenhoff F, Habashi J, Holm T, Van Erp C, Loch D, Carlson OD, Griswold BF, Fu Q, De Backer J, Loeys B, Huso DL, McDonnell NB, Van Eyk JE, Dietz HC; GenTAC Consortium. Circulation. 2009 Aug 11;120(6):526-32. Epub 2009 Jul 27. PMID 19635970</ref><ref name="popmarfan">[http://sciencenow.sciencemag.org/cgi/content/full/2008/625/3?etoc Inhibiting TGF to help Marfan]</ref><!-- --> 몇몇의 인간 암에서 상향조절 되어있다. 그리고 피부재생, 세포분화, 배아발생, [[면역]]계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GF-β1의 이형체는 병의 발생에도 관여한다고 생각된다. [[TGF&beta; 수용체]]는 세린/트레오닌이 한 번 통과하는 수용체이다.
전환성장인자들은 1970년대에 [[종양유전자]] 연구를 하던 중 [[세포]]를 다른 형질로 전환시키는 물질이 발견되면서 그 정체가 알려지게 되었다.<ref name="moses hl">{{저널 인용 |성1=Moses |이름1=Harold L. |성2=Roberts |이름2=Anita B. |성3=Derynck |이름3=Rik |날짜=2016-07 |제목=The Discovery and Early Days of TGF-β: A Historical Perspective |url= |저널=Cold Spring Harbor Perspectives in Biology |출판사= |권=8 |호=7 |쪽=a021865 |doi=10.1101/cshperspect.a021865 |pmc=4930926 |pmid=27328871 |확인날짜=2019-10-29 |name-list-format=vanc |mode=cs2 }}</ref> [[로버트 W. 홀리|로버트 윌리엄 홀리]],<ref>{{저널 인용 |성1=Holley |이름1=Robert W. |날짜=1975-12-11|제목=Control of growth of mammalian cells in cell culture |url= |저널=Nature |출판사= |권=258 |호=5535 |쪽=487–490 |doi=10.1038/258487a0 |pmc= |pmid=1105198 |확인날짜=2019-10-29 |name-list-format=vanc |mode=cs2 }}</ref> [[조지 토다로]]<ref>{{저널 인용 |성1=de Larco |이름1=Joseph E. |성2=Todaro |이름2=George J. |날짜=1978-08 |제목=Growth factors from murine sarcoma virus-transformed cells |url= |저널=Proc. Natl. Acad. Sci. USA |출판사= |권=75 |호=8 |쪽=4001-4005 |doi=10.1073/pnas.75.8.4001 |pmc=392918 |pmid=211512 |확인날짜=2019-10-29 |name-list-format=vanc |mode=cs2 }}</ref> 등은 [[세포]]를 형질 전환시키지만 세포의 유전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인자를 발견하고 '''전환성장인자'''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또한 이 시기의 연구자들은 이러한 물질들이 암세포에서만 분비된다고 생각하여 '''암성장인자'''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ref name="moses hl"/> 후에 이러한 사실들은 전환성장인자들의 이러한 효과가 가역적일 뿐만 아니라 세포변환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도 있어 틀렸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 기능 ==
TGF단백질들은 원래 악성종양으로 유도하는 능력에 의해 특징지어졌다. 정상 [[생쥐]] [[신장]] [[섬유아세포]]에 적용은 배양되는 세포들을 활성화 하고 과하게 자라게 하여 세포간의 정상적인 억제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게 된다.


== 참고문헌 ==
== 각주 ==
{{각주|2}}
{{각주}}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서적 인용 |성=Baserga |이름=Renato |날짜=1981 |제목=Tissue Growth Factors |url= |위치= |출판사=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판= |isbn=978-3-642-67986-5 |doi=10.1007/978-3-642-67986-5 |확인날짜=2019-10-29 |name-list-format=vanc |mode=cs2 }}
* [http://www.cytok.com/showpopterms.php?search=TGF Tumor growth factor (TGF) citations]
* [http://www.cytok.com/showpopterms.php?search=TGF Tumor growth factor (TGF) citations]
*[https://web.archive.org/web/20160303212803/http://www.ihop-net.org/UniPub/iHOP/gs/125537.html "Hoffmann, R., Valencia, A. A gene network for navigating the literature. Nature Genetics 36, 664 (2004)]
*[https://web.archive.org/web/20160303212803/http://www.ihop-net.org/UniPub/iHOP/gs/125537.html "Hoffmann, R., Valencia, A. A gene network for navigating the literature. Nature Genetics 36, 664 (2004)]

2019년 10월 29일 (화) 18:06 판

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는 세포의 형질을 전환시키는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폴리펩티드 성장인자를 일컫는다. 전환성장인자는 크게 TGF-αTGF-β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 두 종류의 전환성장인자는 기능적으로 유사할 뿐 큰 연관성이 없다. 단백질의 구조도 다를뿐더러 서로 다른 유전자를 통해 생산되고, 다른 수용체와 기전을 가지고 있다.

종류

기능

전환성장인자들은 원래 특정한 세포 배양 조건(마우스 신장섬유아세포)에서 세포들을 악성종양으로 유도하는 능력에 의해 특징지어졌다. 마우스 신장섬유아세포에 전환성장인자들을 처리하면 세포의 분열과 과증식을 유도하고, 정상 세포 배열에서 일어나는 밀도 의존성 억제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게 된다.

역사

전환성장인자들은 1970년대에 종양유전자 연구를 하던 중 세포를 다른 형질로 전환시키는 물질이 발견되면서 그 정체가 알려지게 되었다.[3] 로버트 윌리엄 홀리,[4] 조지 토다로[5] 등은 세포를 형질 전환시키지만 세포의 유전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인자를 발견하고 전환성장인자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또한 이 시기의 연구자들은 이러한 물질들이 암세포에서만 분비된다고 생각하여 암성장인자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3] 후에 이러한 사실들은 전환성장인자들의 이러한 효과가 가역적일 뿐만 아니라 세포변환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도 있어 틀렸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각주

  1. Chin D, 외. (2004년 4월), “What is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β)?”, 《British Journal of Plastic Surgery》 57 (3): 215-221, doi:10.1016/j.bjps.2003.12.012, PMID 15006522 
  2. Matt P, 외. (2009년 8월 11일), “Circulating TGFβ in Marfan's Syndrome”, 《Circulation》 120 (6): 526–532, doi:10.1161/CIRCULATIONAHA.108.841981, PMC 2779568, PMID 19635970, 2019년 10월 29일에 확인함 
  3. Moses HL, Roberts AB, Derynck R (2016년 7월), “The Discovery and Early Days of TGF-β: A Historical Perspective”, 《Cold Spring Harbor Perspectives in Biology》 8 (7): a021865, doi:10.1101/cshperspect.a021865, PMC 4930926, PMID 27328871, 2019년 10월 29일에 확인함 
  4. Holley RW (1975년 12월 11일), “Control of growth of mammalian cells in cell culture”, 《Nature》 258 (5535): 487–490, doi:10.1038/258487a0, PMID 1105198 
  5. de Larco JE, Todaro GJ (1978년 8월), “Growth factors from murine sarcoma virus-transformed cells”, 《Proc. Natl. Acad. Sci. USA》 75 (8): 4001-4005, doi:10.1073/pnas.75.8.4001, PMC 392918, PMID 211512, 2019년 10월 2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