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코노돈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리듬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번역 확장 필요|en|Conodont}}
{{번역 확장 필요|en|Conodont}}
{{생물 분류
{{생물 분류
|이름 = 코노돈트
|이름=코노돈트
|색 = 동물
|색=동물
|그림 = ConodontZICA.png
|그림=ConodontZICA.png
|그림_설명=코노돈트 복원도
|계 = [[동물|동물계]]
|계=[[동물|동물계]]
|문 = [[척삭동물|척삭동물문]]
|문=[[척삭동물|척삭동물문]]
{{미분류|분류=[[유두동물]]}}
{{미분류|분류=[[유두동물]]}}
|아문 = [[척추동물|척추동물아문]]
|아문=[[척추동물|척추동물아문]]
|강 = [[멸종|†]] '''코노돈트강''' (Conodonta)
|강=[[멸종|†]] '''코노돈트강''' (Conodonta)
|강_명명=Eichenberg, 1930<ref>Conodonten aus dem Culm des Harzes. W Eichenberg, Paläontologische Zeitschrift, 1930, page 177-182, {{doi|10.1007/BF03044446}}</ref>
|강_명명 = Eichenberg 1930
|하위_링크 =
|하위_링크=목
|하위 =
|하위 =
* Protoconodonta
* Protoconodonta
21번째 줄: 22번째 줄:
**** Ozarkodinina
**** Ozarkodinina
}}
}}
'''코노돈트'''(Conodonts) 또는 '''추치류'''(錐齒類)는 [[멸종]]된 [[척추동물]]이다. 뱀장어를 닮았으며, '''코노돈트강'''(Conodonta)으로 분류한다.
'''코노돈트'''(Conodonts) 또는 '''추치류'''(錐齒類)는 [[멸종]]된 [[척추동물]]이다. 뱀장어를 닮았으며, '''코노돈트강'''(Conodonta)으로 분류한다. [[캄브리아기]], 그 중 2기에 처음 등장하였으나 [[캄브리아기의 대폭발]]과 같은 몇 차례의 큰 자연재해로 인해 [[트라이아스기]]에 멸종했다.

[[캄브리아기]], 그 중 2기에 처음 등장하였으나 [[캄브리아기의 대폭발]]과 같은 몇 차례의 큰 자연재해로 인해 [[트라이아스기]]에 멸종했다.

== 분류 ==


== 하위 분류 ==
* 코노돈트강 (Conodonta)
* 코노돈트강 (Conodonta)
** Paraconodontida목
** Paraconodontida목
** Conodontophora목
** Conodontophora목


== 각주 ==
{{각주}}


{{전거 통제}}





{{전거 통제}}
[[분류:고대 척추동물]]
[[분류:고대 척추동물]]
[[분류:고대 어류]]
[[분류:고대 어류]]

2019년 9월 17일 (화) 12:08 판

코노돈트
코노돈트 복원도
코노돈트 복원도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미분류): 유두동물
아문: 척추동물아문
강: 코노돈트강 (Conodonta)
Eichenberg, 1930[1]
  • Protoconodonta
  • Conodonta
    • Paraconodonta
    • Euconodonta
      • Panderodontida
      • Prioniodontida
        • Prioniodinina
        • Ozarkodinina

코노돈트(Conodonts) 또는 추치류(錐齒類)는 멸종척추동물이다. 뱀장어를 닮았으며, 코노돈트강(Conodonta)으로 분류한다. 캄브리아기, 그 중 2기에 처음 등장하였으나 캄브리아기의 대폭발과 같은 몇 차례의 큰 자연재해로 인해 트라이아스기에 멸종했다.

하위 분류

  • 코노돈트강 (Conodonta)
    • Paraconodontida목
    • Conodontophora목

각주

  1. Conodonten aus dem Culm des Harzes. W Eichenberg, Paläontologische Zeitschrift, 1930, page 177-182, doi 10.1007/BF03044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