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 마사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imjh phd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Limjh phd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5번째 줄: 15번째 줄:


====이완요법 (Relaxation therapy)====
====이완요법 (Relaxation therapy)====
현대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교감신경계의 반응은 심리적인 긴장과 동시에 신체의 긴장을 유발한다. 이러한 스트레스 반응이 장기화되면 분노, 불안 등의 부정적 정서를 느끼게 되고, 혈압, 심박수가 과도하게 증가하면서 심혈관계까지 손상을 입을 수 있다[Gullette et al., 1997)]. 심리적 긴장과 신체의 긴장은 서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신체의 긴장 수준을 감소시킬 경우 스트레스에 대한 부정적인 인지, 정서 반응을 완화시킬 수 있다[Glynn et al., 2002]. 하지만 각 개인이 스스로 이완을 하더라도 근육에는 여전히 자각하지 못하는 긴장인 잔여 긴장 (residual tension)이 남아 있기 때문에[Jacobson E (1995)ISBN : 8975480348], 보다 체계적인 이완훈련 방법이 필요하다. 브레인 마사지 프로그램에서는 Jacobson이 개발한 점진적 근육이완법 및 호흡 기법, 심상 등을 안마의자의 마사지 볼, 에어백, 롤러 등의 동작에 연동시켜 효과적인 근육 이완훈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현대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교감신경계의 반응은 심리적인 긴장과 동시에 신체의 긴장을 유발한다. 이러한 스트레스 반응이 장기화되면 분노, 불안 등의 부정적 정서를 느끼게 되고, 혈압, 심박수가 과도하게 증가하면서 심혈관계까지 손상을 입을 수 있다<ref>{{저널 인용|제목=Effects of mental stress on myocardial ischemia during daily life|저널=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성=Gullette|이름=ECD|url=https://www.ncbi.nlm.nih.gov/pubmed/9153365|날짜=|출판사=}}</ref>. 심리적 긴장과 신체의 긴장은 서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신체의 긴장 수준을 감소시킬 경우 스트레스에 대한 부정적인 인지, 정서 반응을 완화시킬 수 있다<ref>{{저널 인용|제목=The Role of Rumination in Recovery from Reactivity: Cardiovascular Consequences of Emotional States|저널=Psychosomatic Medicine|성=Glynn|이름=L. M.|url=http://dx.doi.org/10.1097/01.psy.0000031574.42041.23|날짜=2002-09-01|권=64|호=5|쪽=714–726|doi=10.1097/01.psy.0000031574.42041.23|issn=0033-3174}}</ref>. 하지만 각 개인이 스스로 이완을 하더라도 근육에는 여전히 자각하지 못하는 긴장인 잔여 긴장 (residual tension)이 남아 있기 때문에<ref>{{서적 인용|url=http://book.interpark.com/product/BookDisplay.do?_method=detail&sc.prdNo=2127708&bookblockname=twitter&booklinkname=prd|제목=제이콥슨 박사의 긴장이완법|성=Jacobson|이름=E|날짜=1995년 1월 1일|출판사=학지사|확인날짜=}}</ref>, 보다 체계적인 이완훈련 방법이 필요하다. 브레인 마사지 프로그램에서는 Jacobson 박사가 개발한 점진적 근육이완법 및 호흡 기법, 심상 등을 안마의자의 마사지 볼, 에어백, 롤러 등의 동작에 연동시켜 효과적인 근육 이완훈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음챙김 명상 (Mindfulness meditation)====
====마음챙김 명상 (Mindfulness meditation)====
마음챙김 명상은 석가모니 부처가 수행했다고 알려졌으며, 현재 불교 중에서는 상좌부 불교의 주된 수행방법이다[ISSN: 1868-8527]. 마음챙김 명상에서는 잡념이나 고통 등은 본래 몸이나 마음에서 일어나는 특정한 감각이나 생각(1차 자극 혹은 1차 감각)을 인간의 뇌와 신체가 본래와는 다른 형태로 특정한 자극(감각, 생각)에 임의로 반응(2차 반응)하면서 구체화된다고 본다. 즉, 만물과 세계 그 자체는 가만히 있는데 인간이 스스로 그것에 반응을 보이는 결과가 잡념이나 고통 등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마음챙김 명상은 몸의 모든 육체적 감각과 생각을 계속 관찰하면서, 해당 감각과 생각 등의 자극에 되도록 반응하지 않는 것(무반응)을 목적으로 한다. 마음챙김 명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생각과 몸의 감각에 대하여 2차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그저 관찰하는 능력을 키워야 하는데, 체계적인 훈련 없이는 숙달되기 어렵다. 브레인 마사지 프로그램에서는 안마의자의 마사지 볼, 에어백, 롤러 등의 동작에 마음챙김 명상을 수련하는데 도움을 주는 호흡 유도 멘트를 연동시켜 효과적인 마음챙김 명상 수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음챙김 명상은 석가모니 부처가 수행했다고 알려졌으며, 현재 불교 중에서는 상좌부 불교의 주된 수행방법이다<ref>{{저널 인용|제목=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저널=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성=Brown|이름=Kirk Warren|성2=Ryan|이름2=Richard M.|url=http://dx.doi.org/10.1037/0022-3514.84.4.822|날짜=2003|권=84|호=4|쪽=822–848|doi=10.1037/0022-3514.84.4.822|issn=1939-1315}}</ref>. 마음챙김 명상에서는 잡념이나 고통 등은 본래 몸이나 마음에서 일어나는 특정한 감각이나 생각(1차 자극 혹은 1차 감각)을 인간의 뇌와 신체가 본래와는 다른 형태로 특정한 자극(감각, 생각)에 임의로 반응(2차 반응)하면서 구체화된다고 본다. 즉, 만물과 세계 그 자체는 가만히 있는데 인간이 스스로 그것에 반응을 보이는 결과가 잡념이나 고통 등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마음챙김 명상은 몸의 모든 육체적 감각과 생각을 계속 관찰하면서, 해당 감각과 생각 등의 자극에 되도록 반응하지 않는 것(무반응)을 목적으로 한다. 마음챙김 명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생각과 몸의 감각에 대하여 2차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그저 관찰하는 능력을 키워야 하는데, 체계적인 훈련 없이는 숙달되기 어렵다. 브레인 마사지 프로그램에서는 안마의자의 마사지 볼, 에어백, 롤러 등의 동작에 마음챙김 명상을 수련하는데 도움을 주는 호흡 유도 멘트를 연동시켜 효과적인 마음챙김 명상 수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브레인 마사지의 효과==
==브레인 마사지의 효과==
34번째 줄: 34번째 줄:


===이완요법의 효과===
===이완요법의 효과===
이완상태에서는 스트레스 반응과는 정반대로 산소 소비, 호흡량, 심박수, 근육 긴장 수준이 감소한다[McCaffery와 Beebe(1989). 따라서 스트레스 반응으로 인해 발병한 질환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완요법은 다양한 통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여러 선행연구들은 이완연습이 긴장성 두통[두통(한인순, 손정락, 1987)]과 편두통[Ilacqua, 1994)] 증상을 감소시키고, 암환자의 통증[Lyles et al., 1982),], 화상에 의한 통증[Achterberg et al., 1988], 수술 후 통증[(Lambert, 1996], 분만 고통[Horan et al., 1976], 생리통[강현정, 손정락, 1998] 등을 완화시킨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완은 부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교감신경의 영향으로 상승된 심장반응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Pender, 1985]. 실제로 고혈압이나 관상동맥질환의 재발을 방지하는데 이완이 효과가 있다는 것도 여러 연구에서 검증되었다[Bundy et al., 1998],[ Van Dixhoorn & Duivenvoorden, 1999]. 게다가 여러 연구에 의하면 주기적인 이완연습은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심리적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고[Collins & Rice, 1997][ Trzcieniecka-Green & Steptoe, 1996], 더 나아가 통제감과 자신감도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Pender, 1985].
이완상태에서는 스트레스 반응과는 정반대로 산소 소비, 호흡량, 심박수, 근육 긴장 수준이 감소한다<ref>{{저널 인용|제목=Pain: Clinical manual for nursing practice|저널=Pain|성=Steele-Rosomoff|이름=Renee|url=http://dx.doi.org/10.1016/0304-3959(89)90226-1|날짜=1989-09|권=38|호=3|쪽=356|doi=10.1016/0304-3959(89)90226-1|issn=0304-3959}}</ref>. 따라서 스트레스 반응으로 인해 발병한 질환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우선 이완요법은 다양한 통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여러 선행연구들은 이완연습이 긴장성 두통과 편두통 증상을 감소시키고<ref>{{저널 인용|제목=Migraine Headaches: Coping Efficacy of Guided Imagery Training|저널=Headache: The Journal of Head and Face Pain|성=Ilacqua|이름=Giorgio E.|url=http://dx.doi.org/10.1111/j.1526-4610.1994.hed3402099.x|날짜=1994-02|권=34|호=2|쪽=99–102|doi=10.1111/j.1526-4610.1994.hed3402099.x|issn=0017-8748}}</ref>, 암환자의 통증<ref>{{저널 인용|제목=Adherence to exercise interventions in the treatment of hypercholesterolemia|저널=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성=Lynch|이름=Denis J.|성2=Birk|이름2=Thomas J.|url=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BF00844729|날짜=1992-08|권=15|호=4|쪽=365–377|언어=en|doi=10.1007/bf00844729|issn=0160-7715|성3=Weaver|이름3=Michael T.|성4=Gohara|이름4=Amira F.|성5=Leighton|이름5=Richard F.|성6=Repka|이름6=Frank J.|성7=Walsh|이름7=M. Eileen}}</ref>, 화상에 의한 통증<ref>{{웹 인용|url=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32470026_Severe_burn_injury_A_comparison_of_relaxation_imagery_and_biofeedback_for_pain_management|제목=Severe burn injury: A comparison of relaxation, imagery and biofeedback for pain management|언어=en|확인날짜=2018-12-04}}</ref>, 수술 후 통증<ref>{{저널 인용|제목=The Effects of Hypnosis/Guided Imagery on the Postoperative Course of Children|저널=Journal of Developmental & Behavioral Pediatrics|성=LAMBERT|이름=SALLY A.|url=http://dx.doi.org/10.1097/00004703-199610000-00003|날짜=1996-10|권=17|호=5|쪽=307–310|doi=10.1097/00004703-199610000-00003|issn=0196-206X}}</ref>, 분만 고통<ref>{{저널 인용|제목=Preliminary Study of Effects of “in vivo” Emotive Imagery on Dental Discomfort|저널=Perceptual and Motor Skills|성=Horan|이름=John J.|성2=Layng|이름2=Frank C.|url=https://journals.sagepub.com/doi/abs/10.2466/pms.1976.42.1.105?journalCode=pmsb|날짜=1976-02|권=42|호=1|쪽=105–106|언어=en|doi=10.2466/pms.1976.42.1.105|issn=0031-5125|성3=Pursell|이름3=Carol H.}}</ref> 등을 완화시킨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완은 부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교감신경의 영향으로 상승된 심장반응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ref name=":6">{{웹 인용|url=https://www.ncbi.nlm.nih.gov/pubmed/3887500|제목=Effects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on anxiety and health locus of control among hypertensive adults. - PubMed - NCBI|성=NJ|이름=Pender|언어=en|확인날짜=2018-12-04}}</ref>. 실제로 고혈압이나 관상동맥질환의 재발을 방지하는데 이완이 효과가 있다는 것도 여러 연구에서 검증되었다<ref>{{저널 인용|제목=Stress management and exercise training in chronic stable angina pectoris|저널=Psychology & Health|성=Bundy|이름=Christine|성2=Carroll|이름2=Douglas|url=https://www.tandfonline.com/doi/abs/10.1080/08870449808406138|날짜=1998-01|권=13|호=1|쪽=147–155|언어=en|doi=10.1080/08870449808406138|issn=0887-0446|성3=Wallace|이름3=Louise|성4=Nagle|이름4=Robert}}</ref><ref>{{저널 인용|제목=Effect of Relaxation Therapy on Cardiac Event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A 5-Year Follow-Up Study|저널=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성=van Dixhoorn|이름=Jan J.|성2=Duivenvoorden|이름2=Hugo J.|url=http://dx.doi.org/10.1097/00008483-199905000-00005|날짜=1999-05|권=19|호=3|쪽=178–185|doi=10.1097/00008483-199905000-00005|issn=0883-9212}}</ref>. 게다가 여러 연구에 의하면 주기적인 이완연습은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심리적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고<ref>{{저널 인용|제목=Effects of relaxation intervention in phase II cardiac rehabilitation: Replication and extension|저널=Heart & Lung|성=Collins|이름=Judith A.|성2=Rice|이름2=Virginia Hill|url=http://dx.doi.org/10.1016/s0147-9563(97)90007-8|날짜=1997-01|권=26|호=1|쪽=31–44|doi=10.1016/s0147-9563(97)90007-8|issn=0147-9563}}</ref><ref>{{저널 인용|제목=The effects of stress management 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following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r coronary bypass surgery|저널=European Heart Journal|성=Trzcieniecka-Green|이름=A.|성2=Steptoe|이름2=A.|url=http://dx.doi.org/10.1093/oxfordjournals.eurheartj.a014749|날짜=1996-11-01|권=17|호=11|쪽=1663–1670|doi=10.1093/oxfordjournals.eurheartj.a014749|issn=0195-668X}}</ref>, 더 나아가 통제감과 자신감도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ref name=":6" />.


==같이 보기==
==같이 보기==

2018년 12월 4일 (화) 21:37 판

파일:Brain massage.png
브레인 마사지 로고

브레인 마사지(Brain massage)는 헬스케어 전문 기업인 바디프랜드에서 개발한 두뇌 건강 관련 뇌 피로 솔루션이다. 안마의자에서 제공하는 마사지바이노럴 비트를 비롯한 뇌 신경 조절 기술(neuro-modulation)을 활용해 피로를 해소하고 집중력, 기억력 등의 인지기능을 향상시켜주는 기능이다.

브레인 마사지의 구성

브레인 마사지는 안마의자에서 제공하는 자동 마사지 프로그램으로써, 마사지바이노럴 비트(binaural beat), 이완요법(Relaxation therapy), 마음챙김 명상 (Mindfulness meditation) 등의 뇌 신경 조절 기술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프로그램의 진행에 따라 마사지와 뇌 신경 조절 기술의 각 요소들이 실시간 연동되어 제공된다.

마사지

마사지는 주로 피로회복을 목적으로 예부터 널리 사용되어온 대체의학 중 하나로, 손, 손가락, 팔꿈치, 무릎, 발 등의 신체의 일부나 도구를 사용하여 몸의 근육관절을 두들기거나 주무르는 행위를 말한다[1]. 브레인 마사지 프로그램에서는 안마의자의 마사지 볼, 에어백, 롤러 등의 기계적인 요소들을 이용해 목, 어깨, 팔, 손, 허리, 등, 골반, 엉덩이, 종아리, 발바닥 등 사용자의 전신을 주무르거나, 두들기거나, 지압하는 마사지를 구현하며 프로그램의 진행에 따라 안마의 강도, 안마의자의 등받이 각도 등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심신의 피로를 해소한다.

뇌 신경 조절 기술

바이노럴 비트 (Binaural beats)

바이노럴 비트는 서로 다른 주파수(소리의 높낮이)의 두 순음을 양쪽 귀로 각각 제공할 때 들리는 소리이며, 뇌파를 동조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 비트이다[2]. 예를 들어 왼쪽 귀로는 톤(tone) 주파수 495 Hz의 순음을 들려주고, 오른쪽 귀로는 505 Hz의 순음을 들려주면 뇌 안에서 500 Hz의 톤 주파수의 10 Hz의 비트를 듣게 되며, 이를 통해 뇌파가 알파파에 해당하는 10 Hz로 동조되어 자율신경을 조절할 수 있다[2]. 일반적으로 바이노럴 비트는 양쪽 귀에 각각 다른 소리를 들려주기 위해 이어폰이나 헤드셋이 필요하지만, 브레인 마사지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안마의자에는 2개의 스테레오 스피커가 사용자 양쪽 귀 방향으로 각각 근거리에 배치가 되어있어 바이노럴 비트의 구현이 가능하다. 브레인 마사지 프로그램에서는 프로그램의 진행에 따라 1500 Hz 이하 톤 주파수의 순음으로 비트 주파수를 단계별로 실시간 조절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동조하고 뇌의 피로를 해소한다.

이완요법 (Relaxation therapy)

현대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교감신경계의 반응은 심리적인 긴장과 동시에 신체의 긴장을 유발한다. 이러한 스트레스 반응이 장기화되면 분노, 불안 등의 부정적 정서를 느끼게 되고, 혈압, 심박수가 과도하게 증가하면서 심혈관계까지 손상을 입을 수 있다[3]. 심리적 긴장과 신체의 긴장은 서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신체의 긴장 수준을 감소시킬 경우 스트레스에 대한 부정적인 인지, 정서 반응을 완화시킬 수 있다[4]. 하지만 각 개인이 스스로 이완을 하더라도 근육에는 여전히 자각하지 못하는 긴장인 잔여 긴장 (residual tension)이 남아 있기 때문에[5], 보다 체계적인 이완훈련 방법이 필요하다. 브레인 마사지 프로그램에서는 Jacobson 박사가 개발한 점진적 근육이완법 및 호흡 기법, 심상 등을 안마의자의 마사지 볼, 에어백, 롤러 등의 동작에 연동시켜 효과적인 근육 이완훈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음챙김 명상 (Mindfulness meditation)

마음챙김 명상은 석가모니 부처가 수행했다고 알려졌으며, 현재 불교 중에서는 상좌부 불교의 주된 수행방법이다[6]. 마음챙김 명상에서는 잡념이나 고통 등은 본래 몸이나 마음에서 일어나는 특정한 감각이나 생각(1차 자극 혹은 1차 감각)을 인간의 뇌와 신체가 본래와는 다른 형태로 특정한 자극(감각, 생각)에 임의로 반응(2차 반응)하면서 구체화된다고 본다. 즉, 만물과 세계 그 자체는 가만히 있는데 인간이 스스로 그것에 반응을 보이는 결과가 잡념이나 고통 등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마음챙김 명상은 몸의 모든 육체적 감각과 생각을 계속 관찰하면서, 해당 감각과 생각 등의 자극에 되도록 반응하지 않는 것(무반응)을 목적으로 한다. 마음챙김 명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생각과 몸의 감각에 대하여 2차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그저 관찰하는 능력을 키워야 하는데, 체계적인 훈련 없이는 숙달되기 어렵다. 브레인 마사지 프로그램에서는 안마의자의 마사지 볼, 에어백, 롤러 등의 동작에 마음챙김 명상을 수련하는데 도움을 주는 호흡 유도 멘트를 연동시켜 효과적인 마음챙김 명상 수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브레인 마사지의 효과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브레인 마사지의 뇌 피로 회복 효과는 일반적인 휴식이나 마사지를 받을 때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우세하며, 브레인 마사지를 받기 전보다 받은 후에 집중력의 지속력, 언어적 단기 및 장기 기억력과 비언어적 장기 기억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됐다고 한다[7].

브레인 마사지 효과의 원리

뇌 피로와 인지기능의 관계

뇌 피로는 장기간의 인지 활동을 수행하는 동안이나, 혹은 수행한 이후에 경험하게 되는 정신적인 피로감, 탈진 등의 느낌을 의미하며, 교감신경계의 과도한 활성화 (sympathetic hyperactivity)로 인한 자율신경계의 불균형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8]. 뇌 피로의 누적은 현재 수행 중인 과제와 무관한 정보를 무시하는 것을 방해해 집중력을 유지하는 것을 어렵게 하거나 계획 수립 및 결과에 따른 전략 수정을 어렵게 하는 등의 인지기능 저하를 야기한다[9][10][11][12]. 이러한 인지기능의 저하는 개인 뿐만 아니라 사회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피로한 사람의 약 66%의 경우 피로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생산성이 약 26% 감소하고, 이로 인해 미국에서만 연간 1억 달러 이상의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13]. 이는 곧 뇌 피로의 회복이 인지기능의 향상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용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사지의 효과

기존 연구들에 의하면 마사지를 통한 피부와 근육에 대한 자극은 감각, 열, 진동, 통증 수용체를 활성화시키고, 자율신경계와 중추신경계로 자극을 전달하여 신경-화학반응을 촉발시킨다[14][15]. 그 결과 과도하게 흥분된 교감신경계가 안정되고 부교감 신경계가 활성화되어, 혈압, 맥박, 코티졸 레벨이 감소하고 심신이 전반적으로 이완되며 피로가 회복된다[13][14]. 마사지를 통한 말초신경의 자극은 미주 신경과 중격 해마 신경의 활동을 증진시켜 인지기능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15분간의 마사지 후 수학 계산력이 향상되거나[16], 물줄기를 이용한 마사지가 정보를 일시적으로 보유, 계획, 실행하는 작업 기억력 처리를 향상시킨다고 보고된바 있다[17]. 기존 문헌들에 의하면 마사지가 일반인 뿐만 아니라 치매와 같은 인지기능 손상 장애 환자의 증상 또한 개선 시킬 수 있다고 하는데, 주로 치매 환자의 폭력성을 나타내는 이상행동 증상과 불안감 등의 이상정서가 개선되고 [18][19][20][21], 단기 및 장기 기억력 또한 향상되었다고 한다[22].

바이노럴 비트의 효과

기존 문헌에 의하면 양 쪽 귀에 들려준 다른 톤(tone) 주파수의 두 순음은 청각 경로(auditory path way)를 따라 중뇌(mid brain)의 하구(inferior colliculus)와 뇌간(brain stem)의 상올리브 복합(superior olivary complex)에서 통합되고, 위상-감지 뉴런(phase-sensitive neuron)을 자극하여 전기 임펄스를 촉발하며 신경 연결 통로를 통해 망양체(Reticular formation)로부터 시상(thalamus), 청각 피질과 다른 피질 영역으로 전파되면서 비트로 인지된다[23][24]. 이와 동시에 인지기능과 관련 있는 뇌의 전두엽(frontal lobe), 두정엽(parietal lobe) 영역이 활성화 되면서 기능적 연결성이 증가되고 [25], 이로 인해 집중력과[26][27][28], 언어적 기억력이 증진된다[25][26][29]고 알려져 있다. 바이노럴 비트의 이러한 효과로 인해 단순히 안마의자의 마사지만을 받았을 때 보다, 바이노럴 비트와 함께 사용했을 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사료된다[7].

이완요법의 효과

이완상태에서는 스트레스 반응과는 정반대로 산소 소비, 호흡량, 심박수, 근육 긴장 수준이 감소한다[30]. 따라서 스트레스 반응으로 인해 발병한 질환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우선 이완요법은 다양한 통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여러 선행연구들은 이완연습이 긴장성 두통과 편두통 증상을 감소시키고[31], 암환자의 통증[32], 화상에 의한 통증[33], 수술 후 통증[34], 분만 고통[35] 등을 완화시킨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완은 부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교감신경의 영향으로 상승된 심장반응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36]. 실제로 고혈압이나 관상동맥질환의 재발을 방지하는데 이완이 효과가 있다는 것도 여러 연구에서 검증되었다[37][38]. 게다가 여러 연구에 의하면 주기적인 이완연습은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심리적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고[39][40], 더 나아가 통제감과 자신감도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36].

같이 보기

참고 문헌

  1. “ScienceDirect”. 2018년 11월 21일에 확인함. 
  2. Oster, Gerald (1973년 10월). “Auditory Beats in the Brain”. 《Scientific American》 229 (4): 94–102. doi:10.1038/scientificamerican1073-94. ISSN 0036-8733. 
  3. Gullette, ECD. “Effects of mental stress on myocardial ischemia during daily lif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4. Glynn, L. M. (2002년 9월 1일). “The Role of Rumination in Recovery from Reactivity: Cardiovascular Consequences of Emotional States”. 《Psychosomatic Medicine》 64 (5): 714–726. doi:10.1097/01.psy.0000031574.42041.23. ISSN 0033-3174. 
  5. Jacobson, E (1995년 1월 1일). 《제이콥슨 박사의 긴장이완법》. 학지사. 
  6. Brown, Kirk Warren; Ryan, Richard M. (2003).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4): 822–848. doi:10.1037/0022-3514.84.4.822. ISSN 1939-1315. 
  7. Lim, Jeong-Hwan; Kim, Hyeri; Jeon, Chuljin; Cho, Soohyun (2018년 8월). “The effects on mental fatigue and the cognitive function of mechanical massage and binaural beats (brain massage) provided by massage chairs”. 《Complementary Therapies in Clinical Practice》 32: 32–38. doi:10.1016/j.ctcp.2018.04.008. ISSN 1744-3881. 
  8. Mizuno, Kei; Tanaka, Masaaki; Yamaguti, Kouzi; Kajimoto, Osami; Kuratsune, Hirohiko; Watanabe, Yasuyoshi (2011). “Mental fatigue caused by prolonged cognitive load associated with sympathetic hyperactivity”. 《Behavioral and Brain Functions》 7 (1): 17. doi:10.1186/1744-9081-7-17. ISSN 1744-9081. 
  9. van der Linden, Dimitri; Frese, Michael; Meijman, Theo F (2003년 5월). “Mental fatigue and the control of cognitive processes: effects on perseveration and planning”. 《Acta Psychologica》 113 (1): 45–65. doi:10.1016/s0001-6918(02)00150-6. ISSN 0001-6918. 
  10. van der Linden, Dimitri; Frese, Michael; Sonnentag, Sabine (2003년 9월). “The Impact of Mental Fatigue on Exploration in a Complex Computer Task: Rigidity and Loss of Systematic Strategies”. 《Human Factors: The Journal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45 (3): 483–494. doi:10.1518/hfes.45.3.483.27256. ISSN 0018-7208. 
  11. van der Linden, Dimitri; Eling, Paul (2005년 6월 21일). “Mental fatigue disturbs local processing more than global processing”. 《Psychological Research Psychologische Forschung》 70 (5): 395–402. doi:10.1007/s00426-005-0228-7. ISSN 0340-0727. 
  12. Boksem, Maarten A.S.; Tops, Mattie (2008년 11월). “Mental fatigue: Costs and benefits”. 《Brain Research Reviews》 59 (1): 125–139. doi:10.1016/j.brainresrev.2008.07.001. ISSN 0165-0173. 
  13. Aliyu, Oluremi (2007년 2월 5일). “Faculty of 1000 evaluation for Fatigue in the U.S. workforce: prevalence and implications for lost productive work time.”. 2018년 11월 21일에 확인함. 
  14. Goats, G C (1994년 9월 1일). “Massage--the scientific basis of an ancient art: Part 2. Physiological and therapeutic effect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28 (3): 153–156. doi:10.1136/bjsm.28.3.153. ISSN 0306-3674. 
  15. McCarthy, Margaret (2003). 《Why massage is beneficial to lymphatic drainage》. Elsevier. 24–30쪽. ISBN 9780443073540. 
  16. Field, Tiffany; Ironson, Gail; Scafidi, Frank; Nawrocki, Tom; Goncalves, Alex; Burman, Iris; Pickens, Jeff; Fox, Nathan; Schanberg, Saul (1996년 1월). “Massage Therapy Reduces Anxiety and Enhances Eeg Pattern of Alertness and Math Comput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 86 (3-4): 197–205. doi:10.3109/00207459608986710. ISSN 0020-7454. 
  17. Mizuno, Kei; Tanaka, Masaaki; Tajima, Kanako; Okada, Naoki; Rokushima, Kazumasa; Watanabe, Yasuyoshi (2010년 1월). “Effects of mild-stream bathing on recovery from mental fatigue”. 《Medical Science Monitor: International Medical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linical Research》 16 (1): CR8–14. ISSN 1643-3750. PMID 20037494. 
  18. Brooker, Dawn J. R.; Snape, Melanie; Johnson, Edward; Ward, Diane; Payne, Marie (1997년 5월). “Single cas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aromatherapy and massage on disturbed behaviour in severe dementia”.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 (2): 287–296. doi:10.1111/j.2044-8260.1997.tb01415.x. ISSN 0144-6657. 
  19. Kim, E.J; Buschmann, M.T (1999년 6월). “The effect of expressive physical touch on patients with dementia”.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6 (3): 235–243. doi:10.1016/s0020-7489(99)00019-x. ISSN 0020-7489. 
  20. Snyder, Mariah; Egan, Ellen C.; Burns, Kenneth R. (1995년 3월). “Efficacy of hand massage in decreasing agitation behaviors associated with care activities in persons with dementia”. 《Geriatric Nursing》 16 (2): 60–63. doi:10.1016/s0197-4572(05)80005-9. ISSN 0197-4572. 
  21. Yoshiyama, Kazuyo; Arita, Hideko; Suzuki, Jinichi (2015년 5월). “The Effect of Aroma Hand Massage Therapy for Dementia Patients”.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4 (1): 93–94. doi:10.1016/j.imr.2015.04.151. ISSN 2213-4220. 
  22. Scherder, Erik; Bouma, Anke; Steen, Louis (1995년 5월). “The effects of peripheral tactile stimulation on memory in patients with probable Alzheimer's disease”.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10 (3): 15–21. doi:10.1177/153331759501000304. ISSN 1082-5207. 
  23. Kuwada, S; Yin, T.; Wickesberg, R. (1979년 11월 2일). “Response of cat inferior colliculus neurons to binaural beat stimuli: possible mechanisms for sound localization”. 《Science》 206 (4418): 586–588. doi:10.1126/science.493964. ISSN 0036-8075. 
  24. Schwarz, D.W.F.; Taylor, P. (2005년 3월). “Human auditory steady state responses to binaural and monaural bea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6 (3): 658–668. doi:10.1016/j.clinph.2004.09.014. ISSN 1388-2457. 
  25. Beauchene, Christine; Abaid, Nicole; Moran, Rosalyn; Diana, Rachel A.; Leonessa, Alexander (2016년 11월 28일). “The Effect of Binaural Beats on Visuospatial Working Memory and Cortical Connectivity”. 《PLOS ONE》 11 (11): e0166630. doi:10.1371/journal.pone.0166630. ISSN 1932-6203. 
  26. Jirakittayakorn, Nantawachara; Wongsawat, Yodchanan (2017년 10월). “Brain responses to 40-Hz binaural beat and effects on emotion and memory”.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120: 96–107. doi:10.1016/j.ijpsycho.2017.07.010. ISSN 0167-8760. 
  27. Zhuang, Tianbao; Zhao, Hong; Tang, Zheng (2009년 4월 20일). “A Study of Brainwave Entrainment Based on EEG Brain Dynamics”.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2 (2). doi:10.5539/cis.v2n2p80. ISSN 1913-8997. 
  28. Colzato, Lorenza S.; Barone, Hayley; Sellaro, Roberta; Hommel, Bernhard (2015년 11월 26일). “More attentional focusing through binaural beats: evidence from the global–local task”. 《Psychological Research》 81 (1): 271–277. doi:10.1007/s00426-015-0727-0. ISSN 0340-0727. 
  29. Ortiz, T.; Martínez, A. M.; Fernández, A.; Maestu, F.; Campo, P.; Hornero, R.; Escudero, J.; Poch, J. (2008년 11월). “Impact of auditory stimulation at a frequency of 5 Hz in verbal memory”. 《Actas Espanolas De Psiquiatria》 36 (6): 307–313. ISSN 1139-9287. PMID 18985458. 
  30. Steele-Rosomoff, Renee (1989년 9월). “Pain: Clinical manual for nursing practice”. 《Pain》 38 (3): 356. doi:10.1016/0304-3959(89)90226-1. ISSN 0304-3959. 
  31. Ilacqua, Giorgio E. (1994년 2월). “Migraine Headaches: Coping Efficacy of Guided Imagery Training”. 《Headache: The Journal of Head and Face Pain》 34 (2): 99–102. doi:10.1111/j.1526-4610.1994.hed3402099.x. ISSN 0017-8748. 
  32. Lynch, Denis J.; Birk, Thomas J.; Weaver, Michael T.; Gohara, Amira F.; Leighton, Richard F.; Repka, Frank J.; Walsh, M. Eileen (1992년 8월). “Adherence to exercise interventions in the treatment of hypercholesterolemia”.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영어) 15 (4): 365–377. doi:10.1007/bf00844729. ISSN 0160-7715. 
  33. “Severe burn injury: A comparison of relaxation, imagery and biofeedback for pain management” (영어). 2018년 12월 4일에 확인함. 
  34. LAMBERT, SALLY A. (1996년 10월). “The Effects of Hypnosis/Guided Imagery on the Postoperative Course of Children”. 《Journal of Developmental & Behavioral Pediatrics》 17 (5): 307–310. doi:10.1097/00004703-199610000-00003. ISSN 0196-206X. 
  35. Horan, John J.; Layng, Frank C.; Pursell, Carol H. (1976년 2월). “Preliminary Study of Effects of “in vivo” Emotive Imagery on Dental Discomfort”. 《Perceptual and Motor Skills》 (영어) 42 (1): 105–106. doi:10.2466/pms.1976.42.1.105. ISSN 0031-5125. 
  36. NJ, Pender. “Effects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on anxiety and health locus of control among hypertensive adults. - PubMed - NCBI” (영어). 2018년 12월 4일에 확인함. 
  37. Bundy, Christine; Carroll, Douglas; Wallace, Louise; Nagle, Robert (1998년 1월). “Stress management and exercise training in chronic stable angina pectoris”. 《Psychology & Health》 (영어) 13 (1): 147–155. doi:10.1080/08870449808406138. ISSN 0887-0446. 
  38. van Dixhoorn, Jan J.; Duivenvoorden, Hugo J. (1999년 5월). “Effect of Relaxation Therapy on Cardiac Event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A 5-Year Follow-Up Study”.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19 (3): 178–185. doi:10.1097/00008483-199905000-00005. ISSN 0883-9212. 
  39. Collins, Judith A.; Rice, Virginia Hill (1997년 1월). “Effects of relaxation intervention in phase II cardiac rehabilitation: Replication and extension”. 《Heart & Lung》 26 (1): 31–44. doi:10.1016/s0147-9563(97)90007-8. ISSN 0147-9563. 
  40. Trzcieniecka-Green, A.; Steptoe, A. (1996년 11월 1일). “The effects of stress management 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following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r coronary bypass surgery”. 《European Heart Journal》 17 (11): 1663–1670. doi:10.1093/oxfordjournals.eurheartj.a014749. ISSN 0195-66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