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로베르 르 포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왕족 정보|이름=로베르 르 포르|원래 이름={{lang|fr|Robert le Fort}}|그림=File:Robert_le_Fort.jpg|그림설명=로베르 르 포르 동상. 노트르담 드 브리사르트 교회. 19세기 경 다비드 당제르 제작.|서명=|서명크기=|문장=|문장설명=|작위=[[파일:Crown of a Marquis of France.svg|center|30px|link=네우스트리아 후작]][[네우스트리아 후작]]<br/>861 - 866<br/>[[파일:Crown of a Count of France.svg|center|30px|link=앙주 백작]][[앙주 백작]]<br/>862 - 866|재위=|대관식=|즉위식=|전임자=|후임자=|휘=|별호=|묘호=|시호=|존호=|능호=|출생일=815년 - 830년 사이|출생지=|사망일=866년 7월 2일|사망지=브리사르트|매장지=|능묘=|왕조=|가문=[[로베르 가문]]|아버지=[[에스바예의 로베르 3세]]|어머니=빌트뤼드|배우자=투르의 아델라이드|자녀=[[오도 1세 (서프랑크)|오도 1세]]<br/>
{{왕족 정보|이름=로베르 르 포르|원래 이름={{lang|fr|Robert le Fort}}|그림=File:Robert_le_Fort.jpg|그림설명=로베르 르 포르 동상. 노트르담 드 브리사르트 교회. 19세기 경 다비드 당제르 제작.|서명=|서명크기=|문장=|문장설명=|작위=[[파일:Crown of a Marquis of France.svg|center|30px|link=네우스트리아 후작]][[네우스트리아 후작]]<br/>861 - 866<br/>[[파일:Crown of a Count of France.svg|center|30px|link=앙주 백작]][[앙주 백작]]<br/>862 - 866|재위=|대관식=|즉위식=|전임자=|후임자=|휘=|별호=|묘호=|시호=|존호=|능호=|출생일=815년 - 830년 사이|출생지=|사망일=866년 7월 2일|사망지=브리사르트|매장지=|능묘=|왕조=|가문=[[로베르 가문]]|아버지=[[에스바예의 로베르 3세]]|어머니=빌트뤼드|배우자=투르의 아델라이드|자녀=[[오도 1세 (서프랑크)|오도 1세]]<br/>
[[로베르투스 1세]]<br/>|친인척=|종교=}}
[[로베르투스 1세]]<br/>|친인척=|종교=}}
'''로베르 르 포르''' ([[프랑스어]]:Robert le Fort) 혹은 '''호담공 로베르'''<ref>{{저널 인용|제목=ロベール豪胆公|저널=|성=|이름=|url=https://ja.wikipedia.org/w/index.php?title=%E3%83%AD%E3%83%99%E3%83%BC%E3%83%AB%E8%B1%AA%E8%83%86%E5%85%AC&oldid=70252258|날짜=2018-10-12|출판사=|언어=ja}}</ref>는 [[815년]]과 [[830년]] 사이에 태어나, [[866년]] 7월 2일 [[브리사르트 전투]]에서 전사한 [[로베르 가문]]의 귀족이다. 그는 권세있는 프랑크 귀족 가문인 로베르 가문의 가문원으로 태어나, 훗날의 [[카페 왕조|카페왕조]]의 선조가 된다. 그는 바로 [[위그 카페]]의 증조부이다. 로베르 르 포르는 [[앙주 백작]], [[오세르 백작]], [[느베르 백작]]이었다. [[카롤루스 2세 칼부스]]는 [[853년]] 그를 앞서 열거한 지역의 ''missus dominicus''로 임명한다. [[858년]] 카롤루스 2세에 대한 반란에 참가한 로베르는 [[861년]] 항복하고 네우스트리아 국경지대 - [[센느 강]]과 [[루아르 강]] 사이 지역- 을 받는다. 그 후 그는 [[브르타뉴인]]과 [[노르만인]] 토벌로 유명해진다.
'''로베르 르 포르''' ([[프랑스어]]:Robert le Fort) 혹은 '''호담공 로베르'''<ref>{{저널 인용|제목=ロベール豪胆公|저널=|성=|이름=|url=https://ja.wikipedia.org/w/index.php?title=%E3%83%AD%E3%83%99%E3%83%BC%E3%83%AB%E8%B1%AA%E8%83%86%E5%85%AC&oldid=70252258|날짜=2018-10-12|출판사=|언어=ja}}</ref>는 [[815년]]과 [[830년]] 사이에 태어나, [[866년]] 7월 2일 [[브리사르트 전투]]<ref>{{서적 인용|url=http://dx.doi.org/10.1515/9783110320787.19|제목=L’interprétation heideggerienne de la phronêsis aristotélicienne dans le cours de Marburg sur le Sophiste de Platon|성=David|이름=Pascal|출판사=DE GRUYTER|위치=Berlin, Boston|isbn=9783110320787}}</ref>에서 전사한 [[로베르 가문]]의 귀족이다. 그는 권세있는 프랑크 귀족 가문인 로베르 가문의 가문원으로 태어나, 훗날의 [[카페 왕조|카페왕조]]의 선조가 된다. 그는 [[위그 카페]]의 증조부이다. 로베르 르 포르는 [[앙주 백작]], [[오세르 백작]], [[느베르 백작]]이었다. [[카롤루스 2세 칼부스]]는 [[853년]] 그를 앞서 열거한 지역의 ''missus dominicus''로 임명한다. [[858년]] 카롤루스 2세에 대한 반란에 참가한 로베르는 [[861년]] 항복하고 네우스트리아 국경지대 - [[센느 강]]과 [[루아르 강]] 사이 지역<ref>{{저널 인용|제목=L'industrie de la porcelaine en Berry et régions voisines. Essai de géographie historique|저널=Norois|성=Letourneau|이름=Henri|url=http://dx.doi.org/10.3406/noroi.1995.6651|날짜=1995|권=167|호=1|쪽=535–548|doi=10.3406/noroi.1995.6651|issn=0029-182X}}</ref>- 을 받는다. 그 후 그는 [[브르타뉴인]]과 [[노르만인]] 토벌로 유명해진다.


== 기원 ==
== 기원 ==
로베르 르 포르의 가계는 확실치 않으며 이설이 여러가지 있다. 몇몇에 따르면, 그는 작센<ref>{{서적 인용|url=http://dx.doi.org/10.4000/books.pur.20619|제목=La recherche des appuis surnaturels topiques par les Spartiates en guerre|성=Richer|이름=Nicolas|출판사=Presses universitaires de Rennes|쪽=135–148|isbn=9782868474292}}</ref> 혹은 게르만<ref>{{웹 인용|url=http://dx.doi.org/10.1163/2214-8264_dutchpamphlets-kb0-kb06731|제목=La gloire familiere ov la description popvlaire de la bataille de Lens remportée sur les Espagnols, par M. le prince de Condé. En vers burlesques|확인날짜=2018-10-25}}</ref><ref>{{서적 인용|url=http://dx.doi.org/10.1007/978-1-349-00584-0_2|제목=The Kings and their Counsellors|성=Fawtier|이름=Robert|날짜=1960|출판사=Macmillan Education UK|위치=London|쪽=13–47|isbn=9780333087213}}</ref> 기원이다. 20세기에 크리스티앙 세티파니<ref>{{저널 인용|제목=Les Premiers Capétiens (987-1137)|성=Luchaire|url=http://dx.doi.org/10.14375/np.9782365832014|날짜=2013-12-01|doi=10.14375/np.9782365832014}}</ref>에 의해 확실시된 카를 글뢰크너<ref>{{저널 인용|제목=Zeitschrift für die Geschichte des Oberrheins|저널=Revue d’Alsace|성=Igersheim|이름=François|url=http://dx.doi.org/10.4000/alsace.1437|날짜=2008-10-01|호=134|쪽=509–511|doi=10.4000/alsace.1437|issn=0181-0448}}</ref>나 카를 페르디난트 베르네어<ref>{{저널 인용|제목=La région parisienne aux IXe et Xe siècles|저널=Bulletin de la Société Nationale des Antiquaires de France|성=Werner|이름=Karl-Ferdinand|url=http://dx.doi.org/10.3406/bsnaf.1977.8382|날짜=1977|권=1975|호=1|쪽=74–76|doi=10.3406/bsnaf.1977.8382|issn=0081-1181}}</ref>같은 여러 역사가들의 연구는 로베르 르 포르의 가계와 생애에 대한 가설들과 확실성 여부에 대해 어느정도 밝혔다.

카페왕조 개창 1000년을 맞아 1987년 앙제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사학자 카를 페르디난트 베르네어는 연대기작가 레지농 드 프륌을 증거로 로베르 르 포르의 가계가 라인 지방에 기원을 두고있음을 확인했다.<ref>{{저널 인용|제목=École des chartes|저널=Bibliothèque de l'école des chartes|url=http://dx.doi.org/10.3406/bec.1999.450998|날짜=1999|권=157|호=2|쪽=681–689|doi=10.3406/bec.1999.450998|issn=0373-6237}}</ref><ref>{{저널 인용|제목=Circulation monétaire et pouvoirs politiques locaux sous les Mérovingiens et les Carolingiens (du VIIe au IXe siècle)|저널=Actes de la Société des historiens médiévistes de l'enseignement supérieur public|성=Bruand|이름=Olivier|url=http://dx.doi.org/10.3406/shmes.1997.1716|날짜=1997|권=28|호=1|쪽=47–59|doi=10.3406/shmes.1997.1716|issn=1261-9078}}</ref> 그의 조상은 [[다고베르투스 1세]]의 상서 (''référendaire)'' 로베르처럼 [[메로베우스 왕조|메로빙거 왕조]] 후기에 [[네우스트리아]]에서 왕실 관련업 종사를 맡던 큰 가문을 만들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ref name=":0">{{저널 인용|제목=La symbolique royale française, Ve–XVIIIe siècles|저널=The English Historical Review|성=Brown|이름=Elizabeth A.R.|url=http://dx.doi.org/10.1093/ehr/cej047|날짜=2006-02-01|권=CXXI|호=490|쪽=273–274|doi=10.1093/ehr/cej047|issn=1477-4534}}</ref> 그리고 764년 사망한 에스바예와 보름스 백작 로베르 1세처럼 [[아우스트라시아]]의 [[카롤루스 왕조|카롤링거 가문]]과 밀접한 친인척 관계를 가졌다고 보여졌다.<ref name=":0" />


== 왕국의 귀족 ==
== 왕국의 귀족 ==
10번째 줄: 13번째 줄:
로베르 르 포르는 그가 라인 중부 지역을 떠난 해인 836년부터 문헌에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작위의 언급은 없었다. (그가 작위를 보유하지 않았다는 것은 아니다.)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의 자식들의 권력투쟁속에서 로베르는 외드 도를레앙의 사위이자 9촌의 남편인 [[카롤루스 2세 칼부스]]를 지지했다. 서쪽으로 대피하기 위해 모계쪽의 [[로타리우스 1세]]로 주군을 바꿨다.
로베르 르 포르는 그가 라인 중부 지역을 떠난 해인 836년부터 문헌에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작위의 언급은 없었다. (그가 작위를 보유하지 않았다는 것은 아니다.)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의 자식들의 권력투쟁속에서 로베르는 외드 도를레앙의 사위이자 9촌의 남편인 [[카롤루스 2세 칼부스]]를 지지했다. 서쪽으로 대피하기 위해 모계쪽의 [[로타리우스 1세]]로 주군을 바꿨다.


852년 카롤루스 2세 칼부스는 그를 마르무티에의 세속 사제로 임명했고 다음 해에는 그를 네우스트리아의 여러 영지,주로 투르와 앙제르 쪽의 ''missus dominicus''로 임명했다.
852년 카롤루스 2세 칼부스는 그를 마르무티에의 세속 사제로 임명했고 다음 해에는 그를 네우스트리아의 여러 영지, 주로 투르와 앙제 쪽의 ''missus dominicus''로 임명했다.


=== 카롤루스 2세에 대항한 반란과 네우스트리아 후작위 획득 ===
=== 카롤루스 2세에 대항한 반란과 네우스트리아 후작위 획득 ===

=== 노르만 정벌 ===


== 결혼과 자녀 ==
== 결혼과 자녀 ==

* [[오도 1세 (서프랑크)|오도 1세]]
* [[로베르투스 1세]]

== 각주 ==
== 각주 ==



2018년 10월 26일 (금) 00:37 판

로베르 르 포르
Robert le Fort
로베르 르 포르 동상. 노트르담 드 브리사르트 교회. 19세기 경 다비드 당제르 제작.
로베르 르 포르 동상. 노트르담 드 브리사르트 교회. 19세기 경 다비드 당제르 제작.
네우스트리아 후작
861 - 866
앙주 백작
862 - 866
신상정보
출생일 815년 - 830년 사이
사망일 866년 7월 2일
사망지 브리사르트
가문 로베르 가문
부친 에스바예의 로베르 3세
모친 빌트뤼드
배우자 투르의 아델라이드
자녀 오도 1세

로베르투스 1세

로베르 르 포르 (프랑스어:Robert le Fort) 혹은 호담공 로베르[1]는 815년과 830년 사이에 태어나, 866년 7월 2일 브리사르트 전투[2]에서 전사한 로베르 가문의 귀족이다. 그는 권세있는 프랑크 귀족 가문인 로베르 가문의 가문원으로 태어나, 훗날의 카페왕조의 선조가 된다. 그는 위그 카페의 증조부이다. 로베르 르 포르는 앙주 백작, 오세르 백작, 느베르 백작이었다. 카롤루스 2세 칼부스853년 그를 앞서 열거한 지역의 missus dominicus로 임명한다. 858년 카롤루스 2세에 대한 반란에 참가한 로베르는 861년 항복하고 네우스트리아 국경지대 - 센느 강루아르 강 사이 지역[3]- 을 받는다. 그 후 그는 브르타뉴인노르만인 토벌로 유명해진다.

기원

로베르 르 포르의 가계는 확실치 않으며 이설이 여러가지 있다. 몇몇에 따르면, 그는 작센[4] 혹은 게르만[5][6] 기원이다. 20세기에 크리스티앙 세티파니[7]에 의해 확실시된 카를 글뢰크너[8]나 카를 페르디난트 베르네어[9]같은 여러 역사가들의 연구는 로베르 르 포르의 가계와 생애에 대한 가설들과 확실성 여부에 대해 어느정도 밝혔다.

카페왕조 개창 1000년을 맞아 1987년 앙제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사학자 카를 페르디난트 베르네어는 연대기작가 레지농 드 프륌을 증거로 로베르 르 포르의 가계가 라인 지방에 기원을 두고있음을 확인했다.[10][11] 그의 조상은 다고베르투스 1세의 상서 (référendaire) 로베르처럼 메로빙거 왕조 후기에 네우스트리아에서 왕실 관련업 종사를 맡던 큰 가문을 만들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12] 그리고 764년 사망한 에스바예와 보름스 백작 로베르 1세처럼 아우스트라시아카롤링거 가문과 밀접한 친인척 관계를 가졌다고 보여졌다.[12]

왕국의 귀족

카롤루스 2세 지지로 얻은 투르 백작위과 앙제 백작위

로베르 르 포르는 그가 라인 중부 지역을 떠난 해인 836년부터 문헌에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작위의 언급은 없었다. (그가 작위를 보유하지 않았다는 것은 아니다.)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의 자식들의 권력투쟁속에서 로베르는 외드 도를레앙의 사위이자 9촌의 남편인 카롤루스 2세 칼부스를 지지했다. 서쪽으로 대피하기 위해 모계쪽의 로타리우스 1세로 주군을 바꿨다.

852년 카롤루스 2세 칼부스는 그를 마르무티에의 세속 사제로 임명했고 다음 해에는 그를 네우스트리아의 여러 영지, 주로 투르와 앙제 쪽의 missus dominicus로 임명했다.

카롤루스 2세에 대항한 반란과 네우스트리아 후작위 획득

노르만 정벌

결혼과 자녀

각주

  1. “ロベール豪胆公” (일본어). 2018년 10월 12일. 
  2. David, Pascal. 《L’interprétation heideggerienne de la phronêsis aristotélicienne dans le cours de Marburg sur le Sophiste de Platon》. Berlin, Boston: DE GRUYTER. ISBN 9783110320787. 
  3. Letourneau, Henri (1995). “L'industrie de la porcelaine en Berry et régions voisines. Essai de géographie historique”. 《Norois》 167 (1): 535–548. doi:10.3406/noroi.1995.6651. ISSN 0029-182X. 
  4. Richer, Nicolas. 《La recherche des appuis surnaturels topiques par les Spartiates en guerre》. Presses universitaires de Rennes. 135–148쪽. ISBN 9782868474292. 
  5. “La gloire familiere ov la description popvlaire de la bataille de Lens remportée sur les Espagnols, par M. le prince de Condé. En vers burlesques”. 2018년 10월 25일에 확인함. 
  6. Fawtier, Robert (1960). 《The Kings and their Counsellors》. London: Macmillan Education UK. 13–47쪽. ISBN 9780333087213. 
  7. Luchaire (2013년 12월 1일). “Les Premiers Capétiens (987-1137)”. doi:10.14375/np.9782365832014. 
  8. Igersheim, François (2008년 10월 1일). “Zeitschrift für die Geschichte des Oberrheins”. 《Revue d’Alsace》 (134): 509–511. doi:10.4000/alsace.1437. ISSN 0181-0448. 
  9. Werner, Karl-Ferdinand (1977). “La région parisienne aux IXe et Xe siècles”. 《Bulletin de la Société Nationale des Antiquaires de France》 1975 (1): 74–76. doi:10.3406/bsnaf.1977.8382. ISSN 0081-1181. 
  10. “École des chartes”. 《Bibliothèque de l'école des chartes》 157 (2): 681–689. 1999. doi:10.3406/bec.1999.450998. ISSN 0373-6237. 
  11. Bruand, Olivier (1997). “Circulation monétaire et pouvoirs politiques locaux sous les Mérovingiens et les Carolingiens (du VIIe au IXe siècle)”. 《Actes de la Société des historiens médiévistes de l'enseignement supérieur public》 28 (1): 47–59. doi:10.3406/shmes.1997.1716. ISSN 1261-9078. 
  12. Brown, Elizabeth A.R. (2006년 2월 1일). “La symbolique royale française, Ve–XVIIIe siècles”.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CXXI (490): 273–274. doi:10.1093/ehr/cej047. ISSN 1477-4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