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폴리코사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165.229.155.203(토론)의 편집을 TedBot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Kcho68 (토론 | 기여)
→‎연구: 폴리코사놀의 효과 최근 연구 결과
39번째 줄: 39번째 줄:
| molecular_weight = (variable)
| molecular_weight = (variable)
}}
}}
'''폴리코사놀'''({{lang|en|Policosanol, polycosanol}})은 식물 [[왁스]]에서 추출한 천연 [[지방 알코올]] 추출물들을 총칭하는 이름이다. 보통 [[저밀도 지질단백질]](LDL)을낮추고 [[고밀도 지질단백질]](HDL)을높여준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동맥경화]]를 방지하기 위한 [[영양 보충제]]로 사용되나, 일부 연구에서는 폴리코사놀의 효과가 없다는 말도 있다.
'''폴리코사놀'''({{lang|en|Policosanol, polycosanol}})은 식물 [[왁스]]에서 추출한 천연 [[지방 알코올]] 추출물들을 총칭하는 이름이다. 보통 [[저밀도 지질단백질]](LDL)을낮추고 [[고밀도 지질단백질]](HDL)을높여준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동맥경화]]를 방지하기 위한 [[영양 보충제]]로 사용되나, 일부 연구에서는 폴리코사놀의 효과가 없다는 말도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들에서 폴리코사놀은 HDL의 양을 늘릴뿐만 아니라 기능을 강화하여 LDL 의 산화와 HDL의 당화를 막고, 고혈압을 개선하여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낮출수 있음이 밝혀졌다.


== 연구 ==
== 연구 ==
66번째 줄: 66번째 줄:
| year = 2012
| year = 2012
| pmid = 23018482
| pmid = 23018482
}}</ref> 2016년도 이후 대한민국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 폴리코사놀을 고밀도지단백질 (HDL)내에 포집하여 HDL의 기능성을 평가하였을 때 LDL의 산화를 막는 항산화, 항염증 기능이 더욱 증가하였으며<ref>{{저널 인용|제목=Enhancement of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Functions by Encapsulation of Policosanol Exerts Anti-Senescence and Tissue Regeneration Effects Via Improvement of Anti-Glycation, Anti-Apoptosis, and Cholesteryl Ester Transfer Inhibition|저널=Rejuvenation Research|성=Lim|이름=So-Mang|성2=Yoo|이름2=Jeong-Ah|url=https://www.ncbi.nlm.nih.gov/pubmed/26161621|날짜=2016-2|권=19|호=1|쪽=59–70|doi=10.1089/rej.2015.1712|issn=1557-8577|pmid=26161621|성3=Lee|이름3=Eun-Young|성4=Cho|이름4=Kyung-Hyun}}</ref>, 혈청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CETP)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이 밝혀졌고, 고지혈증 제브라피쉬모델에서 혈청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기능이외에도 간 염증을 개선 시키고 손상된 조직 재생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ref>{{저널 인용|제목=Anti-Aging and Tissue Regeneration Ability of Policosanol Along with Lipid-Lowering Effect in Hyperlipidemic Zebrafish via Enhancement of High-Density Lipoprotein Functionality|저널=Rejuvenation Research|성=Lee|이름=Eun-Young|성2=Yoo|이름2=Jeong-Ah|url=https://www.ncbi.nlm.nih.gov/pubmed/26413884|날짜=2016-4|권=19|호=2|쪽=149–158|doi=10.1089/rej.2015.1745|issn=1557-8577|pmc=PMC4841090|pmid=26413884|성3=Lim|이름3=So-Mang|성4=Cho|이름4=Kyung-Hyun}}</ref>. 폴리코사놀의 고혈압 개선효과를 증명하기위해 본태성고혈압 쥐 (SHR)를 이용한 동물실험 <ref>{{저널 인용|제목=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of Cuban Policosanol is Accompanied by Improvement of Hepatic Inflammation, Lipoprotein Profile, and HDL Quality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저널=Molecules (Basel, Switzerland)|성=Cho|이름=Kyung-Hyun|성2=Yadav|이름2=Dhananjay|url=https://www.ncbi.nlm.nih.gov/pubmed/29751583|날짜=2018-05-03|권=23|호=5|doi=10.3390/molecules23051080|issn=1420-3049|pmid=29751583|성3=Kim|이름3=Suk-Jeong|성4=Kim|이름4=Jae-Ryong}}</ref> 결과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인체시험<ref>{{저널 인용|제목=Consumption of Cuban Policosanol Improves Blood Pressure and Lipid Profile via Enhancement of HDL Functionality in Healthy Women Subjects: Randomized, Double-Blinded, and Placebo-Controlled Study|저널=Oxidative Medicine and Cellular Longevity|성=Cho|이름=Kyung-Hyun|성2=Kim|이름2=Suk-Jeong|url=https://www.ncbi.nlm.nih.gov/pubmed/29854085|날짜=2018|권=2018|출판사=|쪽=4809525|doi=10.1155/2018/4809525|issn=1942-0994|pmc=PMC5944267|pmid=29854085|성3=Yadav|이름3=Dhananjay|성4=Kim|이름4=Jae-Yong|성5=Kim|이름5=Jae-Ryong}}</ref> <ref>{{저널 인용|제목=Long-Term Consumption of Cuban Policosanol Lowers Central and Brachial Blood Pressure and Improves Lipid Profile With Enhancement of Lipoprotein Properties in Healthy Korean Participants|저널=Frontiers in Physiology|성=Kim|이름=Suk-Jeong|성2=Yadav|이름2=Dhananjay|url=https://www.ncbi.nlm.nih.gov/pubmed/29765328|날짜=2018|권=9|쪽=412|doi=10.3389/fphys.2018.00412|issn=1664-042X|pmc=PMC5939616|pmid=29765328|성3=Park|이름3=Hye-Jeong|성4=Kim|이름4=Jae-Ryong|성5=Cho|이름5=Kyung-Hyun}}</ref>결과 폴리코사놀은 혈청 레닌과 알도스테론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LDL 의 산화를 막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폴리코사놀은 HDL의 기능성을 강화하고 복용 이전의 혈압 보다 9-10% 혈압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종합적으로, 폴리코사놀은 HDL의 양을 늘릴뿐만 아니라 기능을 강화하여 LDL 의 산화와 HDL의 당화를 막고, 알도스테론의 증가를 억제하며 동맥병변에서 콜레스테롤을 배출하여, 혈관 경직도를 개선하며, 혈압의 증가를 막고, 고혈압을 개선하여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낮출수 있다.
}}</ref>


== 각주 ==
== 각주 ==

2018년 9월 6일 (목) 09:15 판

폴리코사놀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Octacosanol, triacontanol, etc.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142583-61-1
ATC 코드 C10AX08
PubChem ?
ChemSpider NA
화학적 성질
화학식 CH3-(CH2)n-CH2OH n=24-34
분자량 (variable)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
생물학적 반감기 ?
배출 ?
처방 주의사항
임부투여안전성 ?
법적 상태
투여 방법 ?

폴리코사놀(Policosanol, polycosanol)은 식물 왁스에서 추출한 천연 지방 알코올 추출물들을 총칭하는 이름이다. 보통 저밀도 지질단백질(LDL)을낮추고 고밀도 지질단백질(HDL)을높여준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동맥경화를 방지하기 위한 영양 보충제로 사용되나, 일부 연구에서는 폴리코사놀의 효과가 없다는 말도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들에서 폴리코사놀은 HDL의 양을 늘릴뿐만 아니라 기능을 강화하여 LDL 의 산화와 HDL의 당화를 막고, 고혈압을 개선하여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낮출수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폴리코사놀이 저밀도 지질단백질(LDL)을 낮추고 고밀도 지질단백질(HDL)을높여준다는 효과에는 서로 상반되는 연구가 나오는 등 논쟁이 있다.[1][2][3] 쿠바 정부는 폴리코사놀의 연구에 대해 많은 지원을 하면서 약을 생산하고 판매하고 있다.[4] 독립된 임상 실험 결과에서는 폴리코사놀의 효과가 없으나,[1] 최근의 연구에서는 효과가 있다고도 주장한다.[5][6] 2016년도 이후 대한민국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 폴리코사놀을 고밀도지단백질 (HDL)내에 포집하여 HDL의 기능성을 평가하였을 때 LDL의 산화를 막는 항산화, 항염증 기능이 더욱 증가하였으며[7], 혈청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CETP)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이 밝혀졌고, 고지혈증 제브라피쉬모델에서 혈청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기능이외에도 간 염증을 개선 시키고 손상된 조직 재생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8]. 폴리코사놀의 고혈압 개선효과를 증명하기위해 본태성고혈압 쥐 (SHR)를 이용한 동물실험 [9] 결과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인체시험[10] [11]결과 폴리코사놀은 혈청 레닌과 알도스테론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LDL 의 산화를 막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폴리코사놀은 HDL의 기능성을 강화하고 복용 이전의 혈압 보다 9-10% 혈압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종합적으로, 폴리코사놀은 HDL의 양을 늘릴뿐만 아니라 기능을 강화하여 LDL 의 산화와 HDL의 당화를 막고, 알도스테론의 증가를 억제하며 동맥병변에서 콜레스테롤을 배출하여, 혈관 경직도를 개선하며, 혈압의 증가를 막고, 고혈압을 개선하여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낮출수 있다.

각주

  1. Heiner K. Berthold, MD, PhD; Susanne Unverdorben, MD; Ralf Degenhardt, PhD; Michael Bulitta, Dipl-Stat; Ioanna Gouni-Berthold, MD (2006년 5월 17일). “Effect of Policosanol on Lipid Levels Among Pat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or Combined Hyperlipidemi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5 (19): 2262–2269. doi:10.1001/jama.295.19.2262. PMID 16705107. 2006년 10월 3일에 확인함. 
  2. Pons P, Rodriguez M, Robaina C, Illnait J, Mas R, Fernandez L, Fernandez JC. (1994). “Effects of successive dose increases of policosanol on the lipid profile of patients with type II hypercholesterolaemia and tolerability to trea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Research》 14 (1): 27–33. PMID 7927958. 
  3. Chen JT, Wesley R, Shamburek RD, Pucino F, Csako G (2005). “Meta-analysis of natural therapies for hyperlipidemia: plant sterols and stanols versus policosanol”. 《Pharmacotherapy》 25 (2): 171–83. doi:10.1592/phco.25.2.171.56942. PMID 15767233. 
  4. Thorsteinsdóttir, Halla; Sáenz, TW; Quach, U; Daar, AS; Singer, PA (2004). “Cuba—innovation through synergy”. 《Nature Biotechnology》 22 (12s): DC19–DC24. doi:10.1038/nbt1204supp-DC19. PMID 15583679. 
  5. Liu, S.; Tan, M. Y.; Zhao, S. P.; Rong, H. (2012). “Effects of policosanol on serum lipids and heme oxygenase-1 in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Zhonghua xin xue guan bing za zhi》 40 (10): 840–843. PMID 23302671. 
  6. Zanardi, M.; Quirico, E.; Benvenuti, C.; Pezzana, A. (2012). “Use of a lipid-lowering food supplement in patients on hormone therapy following breast cancer”. 《Minerva ginecologica》 64 (5): 431–435. PMID 23018482. 
  7. Lim, So-Mang; Yoo, Jeong-Ah; Lee, Eun-Young; Cho, Kyung-Hyun (2016년 2월). “Enhancement of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Functions by Encapsulation of Policosanol Exerts Anti-Senescence and Tissue Regeneration Effects Via Improvement of Anti-Glycation, Anti-Apoptosis, and Cholesteryl Ester Transfer Inhibition”. 《Rejuvenation Research》 19 (1): 59–70. doi:10.1089/rej.2015.1712. ISSN 1557-8577. PMID 26161621. 
  8. Lee, Eun-Young; Yoo, Jeong-Ah; Lim, So-Mang; Cho, Kyung-Hyun (2016년 4월). “Anti-Aging and Tissue Regeneration Ability of Policosanol Along with Lipid-Lowering Effect in Hyperlipidemic Zebrafish via Enhancement of High-Density Lipoprotein Functionality”. 《Rejuvenation Research》 19 (2): 149–158. doi:10.1089/rej.2015.1745. ISSN 1557-8577. PMC 4841090. PMID 26413884. 
  9. Cho, Kyung-Hyun; Yadav, Dhananjay; Kim, Suk-Jeong; Kim, Jae-Ryong (2018년 5월 3일).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of Cuban Policosanol is Accompanied by Improvement of Hepatic Inflammation, Lipoprotein Profile, and HDL Quality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Molecules (Basel, Switzerland)》 23 (5). doi:10.3390/molecules23051080. ISSN 1420-3049. PMID 29751583. 
  10. Cho, Kyung-Hyun; Kim, Suk-Jeong; Yadav, Dhananjay; Kim, Jae-Yong; Kim, Jae-Ryong (2018). “Consumption of Cuban Policosanol Improves Blood Pressure and Lipid Profile via Enhancement of HDL Functionality in Healthy Women Subjects: Randomized, Double-Blinded, and Placebo-Controlled Study”. 《Oxidative Medicine and Cellular Longevity》 2018: 4809525. doi:10.1155/2018/4809525. ISSN 1942-0994. PMC 5944267. PMID 29854085. 
  11. Kim, Suk-Jeong; Yadav, Dhananjay; Park, Hye-Jeong; Kim, Jae-Ryong; Cho, Kyung-Hyun (2018). “Long-Term Consumption of Cuban Policosanol Lowers Central and Brachial Blood Pressure and Improves Lipid Profile With Enhancement of Lipoprotein Properties in Healthy Korean Participants”. 《Frontiers in Physiology》 9: 412. doi:10.3389/fphys.2018.00412. ISSN 1664-042X. PMC 5939616. PMID 2976532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