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기관지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영어 문서 번역
태그: m 모바일 웹
16번째 줄: 16번째 줄:
}}
}}


<!-- 정의와 증상 -->
'''기관지염'''(氣管支炎, bronchitis)은 [[기관지]]에 [[염증]]이 생긴 것으로 급성 기관지염과 만성 기관지염으로 나뉜다. 흔히 면역력이 약화되었을 때 발생하며 원인에는 [[알레르기]], [[바이러스]], [[화학물질]]에 의한 자극, [[감기]] 등이 있고 [[흡연]] 인구에 비교적 흔하다. 급성 기관지염의 경우 [[기침]], [[가래 (의학)|가래]], [[호흡곤란]]의 증상을 보이지만 비교적 증상이 가볍다. 그러나 만성적 자극에 의한 기관지 변화로 만성 기관지염이 발생할 경우 [[폐]]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
'''기관지염'''(氣管支炎, bronchitis)은 [[폐]]의 [[기관지]]에 생기는 염증이다.<ref name=NIH2011Def>{{cite web|title=What Is Bronchitis?|url=http://www.nhlbi.nih.gov/health/health-topics/topics/brnchi|accessdate=1 April 2015|date=August 4, 2011|deadurl=no|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402153154/http://www.nhlbi.nih.gov/health/health-topics/topics/brnchi|archivedate=2 April 2015|df=}}</ref> 증상으로는 [[가래]], [[천명]], [[호흡 곤란]], 가슴의 불편함 등이 있다. <ref name=NIH2011Def/> 기관지염은 급성 및 만성 두 종류로 분류된다.<ref name=NIH2011Def/> 급성 기관지염은 기침 감기로도 알려져 있다.<ref name="NIH2011Def"/>

<!-- 급성 기관지염 -->
[[급성 기관지염]]은 보통 3 주 정도 지속적으로 기침을 한다. <ref name=AFP2010>{{cite journal|last1=Albert|first1=RH|title=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bronchitis.|journal=American Family Physician|date=1 December 2010|volume=82|issue=11|pages=1345–50|pmid=21121518}}</ref> 원인의 90 % 이상이 [[바이러스 감염]]이다.<ref name=AFP2010/> 이 바이러스는 기침을 통해, 혹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공중에 퍼질 수 있다.<ref name=NIH2011Def/> [[흡연]], [[먼지]] 및 기타 [[대기 오염]]에 대한 노출이 위험 요인이다. <ref name=NIH2011Def/> ''폐렴[[미코플라스마]](Mycoplasma pneumoniae)'' 나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과 같은 박테리아나 고농도의 대기 오염에 의한 경우도 소량 존재한다. <ref name=AFP2010/><ref name="What Causes Bronchitis">{{cite web|title=What Causes Bronchitis?|url=http://www.nhlbi.nih.gov/health/health-topics/topics/brnchi/causes|accessdate=1 April 2015|date=August 4, 2011|deadurl=no|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402130114/http://www.nhlbi.nih.gov/health/health-topics/topics/brnchi/causes|archivedate=2 April 2015|df=}}</ref>급성 기관지염의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휴식, [[paracetamol]] (acetaminophen) 및 [[NSAIDs]]가 발열에 도움이 된다. <ref name=Tac2012>{{cite journal|last1=Tackett|first1=KL|last2=Atkins|first2=A|title=Evidence-based acute bronchitis therapy.|journal=Journal of pharmacy practice|date=December 2012|volume=25|issue=6|pages=586–90|pmid=23076965|doi=10.1177/0897190012460826}}</ref><ref name="How Is Bronchitis Treated">{{cite web|title=How Is Bronchitis Treated?|url=http://www.nhlbi.nih.gov/health/health-topics/topics/brnchi/treatment|accessdate=1 April 2015|date=August 4, 2011|deadurl=no|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402113109/http://www.nhlbi.nih.gov/health/health-topics/topics/brnchi/treatment|archivedate=2 April 2015|df=}}</ref>

<!-- 만성 기관지염 -->
[[만성 기관지염]]은 적어도 2 년 동안, 1 년에 3 개월 이상 지속되는 [[습성해소]]로 정의된다. <ref name=GOLD2013Chp2>{{cite book |last=Vestbo |first=Jørgen |title=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year=2013 |publisher=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pages=9–17 |chapter=Diagnosis and Assessment |chapterurl=http://www.goldcopd.org/uploads/users/files/GOLD_Report_2013_Feb20.pdf#26}}</ref> 만성 기관지염을 앓고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을 앓고 있다.<ref name=Harr2012>{{cite book |first1=John J. |last1=Reilly |first2=Edwin K. |last2=Silverman |first3=Steven D. |last3=Shapiro |chapter=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ges=2151–9 |editor1-first=Dan |editor1-last=Longo |editor2-first=Anthony |editor2-last=Fauci |editor3-first=Dennis |editor3-last=Kasper |editor4-first=Stephen |editor4-last=Hauser |editor5-first=J. |editor5-last=Jameson |editor6-first=Joseph |editor6-last=Loscalzo |year=2011 |title=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edition=18th |publisher=McGraw Hill |isbn=978-0-07-174889-6}}</ref> [[흡연]]이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다. [[대기 오염]] 이나 [[유전]] 등 다른 많은 요인들은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ref name=Lancet2012>{{cite journal |vauthors=Decramer M, Janssens W, Miravitlles M |title=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Lancet |volume=379 |issue=9823 |pages=1341–51 |date=April 2012 |pmid=22314182 |doi=10.1016/S0140-6736(11)60968-9}}</ref> [[금연]], [[예방 접종]], [[재활]] 및 [[기관지 확장제]] 흡입과 [[스테로이드]]로 치료할 수 있다.<ref name=GOLD2007/> 몇몇 사람들은 장기간의 [[산소 요법]]이나 [[폐 이식]]을 해야 한다.<ref name=GOLD2007>{{cite journal |vauthors=Rabe KF, Hurd S, Anzueto A, Barnes PJ, Buist SA, Calverley P, Fukuchi Y, Jenkins C, Rodriguez-Roisin R, van Weel C, Zielinski J | title =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OLD executive summary | journal = Am. J. Respir. Crit. Care Med. | volume = 176 | issue = 6 | pages = 532–55 |date=September 2007 | pmid = 17507545 | doi = 10.1164/rccm.200703-456SO | url = http://ajrccm.atsjournals.org/content/176/6/532.long }}</ref>

<!-- 역학 -->
급성 기관지염은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이다.<ref name=Tac2012/><ref name=Chest2006>{{cite journal|last1=Braman|first1=SS|title=Chronic cough due to acute bronchitis: ACCP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journal=Chest|date=January 2006|volume=129|issue=1 Suppl|pages=95S-103S|pmid=16428698|doi=10.1378/chest.129.1_suppl.95S}}</ref> 성인의 약 5 %가 영향을 받고 약 6 %의 어린이가 적어도 한 번은 걸리게 된다. <ref name=Wen2006>{{cite journal|last1=Wenzel|first1=RP|last2=Fowler AA|first2=3rd|title=Clinical practice. Acute bronchitis.|journal=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date=16 November 2006|volume=355|issue=20|pages=2125–30|pmid=17108344|doi=10.1056/nejmcp061493}}</ref><ref name=Flem2007>{{cite journal|last1=Fleming|first1=DM|last2=Elliot|first2=AJ|title=The management of acute bronchitis in children.|journal=Expert opinion on pharmacotherapy|date=March 2007|volume=8|issue=4|pages=415–26|pmid=17309336|doi=10.1517/14656566.8.4.415}}</ref> 2010 년에 COPD는 전세계 인구의 3 억 2 천 9 백만 명 (약 5 %) 에 ​​영향을 미쳤다.<ref name=YLD2012>{{cite journal |vauthors=Vos T, Flaxman AD, Naghavi M, Lozano R, Michaud C, Ezzati M, Shibuya K, Salomon JA, Abdalla S, Aboyans V | title = Years lived with disability (YLDs) for 1160 sequelae of 289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 journal = Lancet | volume = 380 | issue = 9859 | pages = 2163–96 |date=December 2012 | pmid = 23245607 | doi = 10.1016/S0140-6736(12)61729-2 |display-authors=etal}}</ref> 2013 년에는 290 만 명이 사망하여 240 만 명이 사망한 1990 년보다 증가 했다.<ref name=GDB2013>{{cite journal|last1=GBD 2013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first1=Collaborators|title=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journal=Lancet|date=17 December 2014|pmid=25530442|doi=10.1016/S0140-6736(14)61682-2|pmc=4340604|volume=385|pages=117–71}}</ref>


== 급성 기관지염 ==
== 급성 기관지염 ==

2017년 12월 23일 (토) 06:37 판

기관지염(Bronchitis)
급성 기관지염
진료과호흡기내과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기관지염(氣管支炎, bronchitis)은 기관지에 생기는 염증이다.[1] 증상으로는 가래, 천명, 호흡 곤란, 가슴의 불편함 등이 있다. [1] 기관지염은 급성 및 만성 두 종류로 분류된다.[1] 급성 기관지염은 기침 감기로도 알려져 있다.[1]

급성 기관지염은 보통 3 주 정도 지속적으로 기침을 한다. [2] 원인의 90 % 이상이 바이러스 감염이다.[2] 이 바이러스는 기침을 통해, 혹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공중에 퍼질 수 있다.[1] 흡연, 먼지 및 기타 대기 오염에 대한 노출이 위험 요인이다. [1] 폐렴미코플라스마(Mycoplasma pneumoniae)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과 같은 박테리아나 고농도의 대기 오염에 의한 경우도 소량 존재한다. [2][3]급성 기관지염의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휴식, paracetamol (acetaminophen) 및 NSAIDs가 발열에 도움이 된다. [4][5]

만성 기관지염은 적어도 2 년 동안, 1 년에 3 개월 이상 지속되는 습성해소로 정의된다. [6] 만성 기관지염을 앓고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을 앓고 있다.[7] 흡연이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다. 대기 오염 이나 유전 등 다른 많은 요인들은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8] 금연, 예방 접종, 재활기관지 확장제 흡입과 스테로이드로 치료할 수 있다.[9] 몇몇 사람들은 장기간의 산소 요법이나 폐 이식을 해야 한다.[9]

급성 기관지염은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이다.[4][10] 성인의 약 5 %가 영향을 받고 약 6 %의 어린이가 적어도 한 번은 걸리게 된다. [11][12] 2010 년에 COPD는 전세계 인구의 3 억 2 천 9 백만 명 (약 5 %) 에 ​​영향을 미쳤다.[13] 2013 년에는 290 만 명이 사망하여 240 만 명이 사망한 1990 년보다 증가 했다.[14]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은 2년이 넘도록 가래, 기침이 끊이지 않고, 매년 3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이다.[6]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에 속한다.

각주

  1. “What Is Bronchitis?”. August 4, 2011. 2 April 2015에 보존된 문서. 1 April 2015에 확인함. 
  2. Albert, RH (2010년 12월 1일).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bronchitis.”. 《American Family Physician》 82 (11): 1345–50. PMID 21121518. 
  3. “What Causes Bronchitis?”. August 4, 2011. 2 April 2015에 보존된 문서. 1 April 2015에 확인함. 
  4. Tackett, KL; Atkins, A (December 2012). “Evidence-based acute bronchitis therapy.”. 《Journal of pharmacy practice》 25 (6): 586–90. doi:10.1177/0897190012460826. PMID 23076965. 
  5. “How Is Bronchitis Treated?”. August 4, 2011. 2 April 2015에 보존된 문서. 1 April 2015에 확인함. 
  6. Vestbo, Jørgen (2013). 〈Diagnosis and Assessment〉 (PDF).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9–17쪽.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GOLD2013Chp2"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7. Reilly, John J.; Silverman, Edwin K.; Shapiro, Steven D. (2011).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Longo, Dan; Fauci, Anthony; Kasper, Dennis; Hauser, Stephen; Jameson, J.; Loscalzo, Joseph.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8판. McGraw Hill. 2151–9쪽. ISBN 978-0-07-174889-6. 
  8. Decramer M, Janssens W, Miravitlles M (April 2012).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Lancet》 379 (9823): 1341–51. doi:10.1016/S0140-6736(11)60968-9. PMID 22314182. 
  9. Rabe KF, Hurd S, Anzueto A, Barnes PJ, Buist SA, Calverley P, Fukuchi Y, Jenkins C, Rodriguez-Roisin R, van Weel C, Zielinski J (September 2007).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OLD executive summary”. 《Am. J. Respir. Crit. Care Med.》 176 (6): 532–55. doi:10.1164/rccm.200703-456SO. PMID 17507545. 
  10. Braman, SS (January 2006). “Chronic cough due to acute bronchitis: ACCP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hest》 129 (1 Suppl): 95S–103S. doi:10.1378/chest.129.1_suppl.95S. PMID 16428698. 
  11. Wenzel, RP; Fowler AA, 3rd (2006년 11월 16일). “Clinical practice. Acute bronchiti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5 (20): 2125–30. doi:10.1056/nejmcp061493. PMID 17108344. 
  12. Fleming, DM; Elliot, AJ (March 2007). “The management of acute bronchitis in children.”. 《Expert opinion on pharmacotherapy》 8 (4): 415–26. doi:10.1517/14656566.8.4.415. PMID 17309336. 
  13. Vos T, Flaxman AD, Naghavi M, Lozano R, Michaud C, Ezzati M, Shibuya K, Salomon JA, Abdalla S, Aboyans V, 외. (December 2012). “Years lived with disability (YLDs) for 1160 sequelae of 289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Lancet》 380 (9859): 2163–96. doi:10.1016/S0140-6736(12)61729-2. PMID 23245607. 
  14. GBD 2013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2014년 12월 17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385: 117–71. doi:10.1016/S0140-6736(14)61682-2. PMC 4340604. PMID 2553044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