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박쥐나방하목: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Chosoowon (토론 | 기여)
외공하목명에 맞춰 바꾸고, 내용을 많이 추가함.
1번째 줄: 1번째 줄:
{{생물 분류
{{생물 분류
|이름=박쥐나방하목
|이름=외공하목
|색=동물
|색=동물
|그림=
|그림=
8번째 줄: 8번째 줄:
|강=[[곤충|곤충강]]
|강=[[곤충|곤충강]]
|목=[[나비목]]
|목=[[나비목]]
|아목=[[선훼아목]]
|아목=[[선훼아목|흡관아목]]
|하목='''박쥐나방하목'''<br />(Exoporia)
|하목='''외공하목'''<br />(Exoporia)
|하목_명명=
|하목_명명=
|하위_링크=상과
|하위_링크=상과
15번째 줄: 15번째 줄:
* [[므네사르카이아상과]] (Mnesarchaeoidea)
* [[므네사르카이아상과]] (Mnesarchaeoidea)
* [[박쥐나방상과]] (Hepialoidea)
* [[박쥐나방상과]] (Hepialoidea)
|다양성=최소 68속 625종
|다양성=70속 636종
|다양성_링크=생물 다양성
|다양성_링크=생물 다양성
}}
}}


'''박쥐나방하목'''(Exoporia) [[나비목]]에 속하는 원시적인 [[나방]] 하목으로 [[므네사르카이아상과]]와 [[박쥐나방상과]]를 포함하고 있다(Kristensen, 1999; Nielsen ''et al.'', 2000). 박쥐나방하목은 [[이맥류|이맥하목]]과 자매군 관계에 있는 자연분류군 또는 계통군이다.
'''외공하목'''(Exoporia)<sub><small>[=박쥐나방하목]</small></sub>은 [[나비목]]에 속하는 원시적인 [[나방]]류의 하목으로 [[므네사르카이아상과]]와 [[박쥐나방상과]]를 포함하고 있다(Kristensen, 1999; Nielsen ''et al.'', 2000).

먼저 나비목에서의 계통군으로서의 신나비군(Neolepidoptera)의 체계를 살펴보면, 신나비군(Neolepidoptera)은 흡관아목에서 '''선조나방하목''', 일반인편군(Clade Coelolepida)의 '''좁은날개나방하목'''과 '''호주잔날개나방하목''', 그리고 근흡관군(Clade Myoglossata)의 '''옛나방하목'''을 <u>제외한 나머지 종들을 포함하는 계통군</u>, 즉 '''외공하목'''과 '''이맥하목'''을 포함하는 계통군을 뜻한다. 여기서 일반인편군이란 인편(scale)의 특징이 대부분의 나비류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인, 즉 원시적이지 않은 인편을 갖는다는 의미이며, 근흡관군이란 빨대주둥이의 내부 근육구조가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신나비군의 주 특징은 번데기가 비저작형(adecticous) 피용(obtect)이라는 점이다. 여기서 '''외공하목'''은 교미공과 산란공이 분리되어 있으면서 또한 내부연결은 되어 있지 못해 수정 및 산란을 위한 정자의 전달이 외부를 거쳐 산란공을 통해 일어나는 독특한 형태적 특징을 가진 그룹을 말한다.

국내에는 박쥐나방상과(Hepialoidea)의 박쥐나방과(Hepialidae)에 수 종이 보고되어 있다.

외공하목은 [[이맥류|이맥하목]]과 자매군 관계에 있는 자연분류군 또는 계통군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분자계통학적으로 단계통군으로서의 지지를 아직은 확보하지 못한 상태이다. 오히려 호주잔날개나방하목과 자매군(sister group)을 이룬다는 보고가 있기도 하여(Mutanen et al., 2010<ref>{{웹 인용|url=http://rspb.royalsocietypublishing.org/content/277/1695/2839|제목=Comprehensive gene and taxon coverage elucidates radiation patterns in moths and butterflies|성=Mutanen, M., N. Wahlberg, and L. Kaila|이름=|날짜=2010|웹사이트=|출판사=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77: 2839-2848|확인날짜=}}</ref>; Regier et al., 2013<ref>{{웹 인용|url=http://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058568|제목=A Large-Scale, Higher-Level,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the Insect Order Lepidoptera (Moths and Butterflies)|성=Regier J. C., C. Mitter, A. Zwick, A. L. Bazinet, M. P. Cummings, A. Y. Kawahara, J.-C. Sohn, D. J. Zwickl, S. Cho, D. R. Davis, J. Baixeras, J. Brown, C. Parr, S. Weller, D. C. Lees, and K. T. Mitter|이름=|날짜=2013|웹사이트=|출판사=PLoS ONE 8(3): e58568. doi:10.1371/journal.pone.0058568|확인날짜=}}</ref>), 신나비군의 단계통성은 외공하목과 함께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 각주 ==
== 각주 ==

2017년 11월 8일 (수) 17:07 판

외공하목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곤충강
목: 나비목
아목: 흡관아목
하목: 외공하목
(Exoporia)
다양성
70속 636종
상과

외공하목(Exoporia)[=박쥐나방하목]나비목에 속하는 원시적인 나방류의 하목으로 므네사르카이아상과박쥐나방상과를 포함하고 있다(Kristensen, 1999; Nielsen et al., 2000).

먼저 나비목에서의 계통군으로서의 신나비군(Neolepidoptera)의 체계를 살펴보면, 신나비군(Neolepidoptera)은 흡관아목에서 선조나방하목, 일반인편군(Clade Coelolepida)의 좁은날개나방하목호주잔날개나방하목, 그리고 근흡관군(Clade Myoglossata)의 옛나방하목제외한 나머지 종들을 포함하는 계통군, 즉 외공하목이맥하목을 포함하는 계통군을 뜻한다. 여기서 일반인편군이란 인편(scale)의 특징이 대부분의 나비류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인, 즉 원시적이지 않은 인편을 갖는다는 의미이며, 근흡관군이란 빨대주둥이의 내부 근육구조가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신나비군의 주 특징은 번데기가 비저작형(adecticous) 피용(obtect)이라는 점이다. 여기서 외공하목은 교미공과 산란공이 분리되어 있으면서 또한 내부연결은 되어 있지 못해 수정 및 산란을 위한 정자의 전달이 외부를 거쳐 산란공을 통해 일어나는 독특한 형태적 특징을 가진 그룹을 말한다.

국내에는 박쥐나방상과(Hepialoidea)의 박쥐나방과(Hepialidae)에 수 종이 보고되어 있다.

외공하목은 이맥하목과 자매군 관계에 있는 자연분류군 또는 계통군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분자계통학적으로 단계통군으로서의 지지를 아직은 확보하지 못한 상태이다. 오히려 호주잔날개나방하목과 자매군(sister group)을 이룬다는 보고가 있기도 하여(Mutanen et al., 2010[1]; Regier et al., 2013[2]), 신나비군의 단계통성은 외공하목과 함께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각주

  • Kristensen, N.P., (1999) [1998]. The non-Glossatan Moths. Ch. 4, pp. 41–62 in Kristensen, N.P. (Ed.). Lepidoptera, Moths and Butterflies. Volume 1: Evolution, Systematics, and Biogeography. Handbook of Zoology. A Natural History of the phyla of the Animal Kingdom. Band / Volume IV Arthropoda: Insecta Teilband / Part 35: 491 pp. Walter de Gruyter, Berlin, New York.
  • Nielsen, E.S., Robinson, G.S. and Wagner, D.L. 2000. Ghost-moths of the world: a global inventory and bibliography of the Exoporia (Mnesarchaeoidea and Hepialoidea) (Lepidoptera) Journal of Natural History, 34(6): 823-878.Abstract

외부 링크

  1. Mutanen, M., N. Wahlberg, and L. Kaila (2010). “Comprehensive gene and taxon coverage elucidates radiation patterns in moths and butterflie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77: 2839-2848. 
  2. Regier J. C., C. Mitter, A. Zwick, A. L. Bazinet, M. P. Cummings, A. Y. Kawahara, J.-C. Sohn, D. J. Zwickl, S. Cho, D. R. Davis, J. Baixeras, J. Brown, C. Parr, S. Weller, D. C. Lees, and K. T. Mitter (2013). “A Large-Scale, Higher-Level,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the Insect Order Lepidoptera (Moths and Butterflies)”. PLoS ONE 8(3): e58568. doi:10.1371/journal.pone.0058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