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젖분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8번째 줄: 18번째 줄:


신생아의 유방은 종종 약간의 [[기유 (젖)|기유]](Witch's milk)를 분비한다.
신생아의 유방은 종종 약간의 [[기유 (젖)|기유]](Witch's milk)를 분비한다.

== 목적 ==
젖분비의 주된 기능은 출산 후 자식에게 [[영양분]]과 면역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거의 모든 포유류의 경우 젖분비는 [[불임]]기를 유도하여 자식의 생존에 여유를 두도록 최적의 출산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ref>{{저널 인용 | doi = 10.1023/A:1026340606252 | last1 = McNeilly | first1 = A. S. | year = 1997 | title = Lactation and fertility | url = | journal = Journal of Mammary Gland Biology and Neoplasia | volume = 2 | issue = 3| pages = 291–298 | pmid = 10882312 }}</ref>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7년 4월 9일 (일) 00:16 판

새끼 고양이가 젖을 먹이고 있는 모습.

젖분비(-分泌, lactation)는 젖샘으로부터 나오는 의 분비와 어미가 자식에게 젖을 먹이는 기간를 기술한다. 이 과정은 임신 후의 모든 암컷 포유류에 발생한다.[1] 인간의 경우 젖을 먹이는 과정을 모유 수유라고 한다.

증유 또는 유즙 생산(galactopoiesis)은 의 생산을 관리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는 프로락틴이 필요하다. 옥시토신은 젖먹이에 반응하는 사유반사(milk let-down reflex)에 필수적이다.

신생아의 유방은 종종 약간의 기유(Witch's milk)를 분비한다.

목적

젖분비의 주된 기능은 출산 후 자식에게 영양분과 면역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거의 모든 포유류의 경우 젖분비는 불임기를 유도하여 자식의 생존에 여유를 두도록 최적의 출산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2]

같이 보기

각주

  1. Capuco, A. V.; Akers, R. M. (2009). “The origin and evolution of lactation”. 《Journal of Biology》 8 (4): 37. doi:10.1186/jbiol139. PMC 2688910. PMID 19439024. 
  2. McNeilly, A. S. (1997). “Lactation and fertility”. 《Journal of Mammary Gland Biology and Neoplasia》 2 (3): 291–298. doi:10.1023/A:1026340606252. PMID 10882312.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