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성 골수종: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8번째 줄: 18번째 줄:


다발성 골수종은 치료가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일반적으로 치유는 불가능하다.<ref name=NIH2016Pro>{{웹 인용|title=Plasma Cell Neoplasms (Including Multiple Myeloma) Treatment (PDQ®)–Health Professional Version|url=http://www.cancer.gov/types/myeloma/hp/myeloma-treatment-pdq|website=NCI|accessdate=8 August 2016|date=July 29, 2016}}</ref> 차도로는 [[당질 코르티코이드|스테로이드]], [[화학요법]], [[탈리도마이드]], [[레날리도마이드]], [[줄기세포 이식]]을 수반할 수 있다.<ref name=NIH2016Pro/> 골병변으로부터 오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방사선종양학과|방사선 치료]]가 가끔 이용된다.<ref name=Raab2009/><ref name=NIH2016Pro/>
다발성 골수종은 치료가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일반적으로 치유는 불가능하다.<ref name=NIH2016Pro>{{웹 인용|title=Plasma Cell Neoplasms (Including Multiple Myeloma) Treatment (PDQ®)–Health Professional Version|url=http://www.cancer.gov/types/myeloma/hp/myeloma-treatment-pdq|website=NCI|accessdate=8 August 2016|date=July 29, 2016}}</ref> 차도로는 [[당질 코르티코이드|스테로이드]], [[화학요법]], [[탈리도마이드]], [[레날리도마이드]], [[줄기세포 이식]]을 수반할 수 있다.<ref name=NIH2016Pro/> 골병변으로부터 오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방사선종양학과|방사선 치료]]가 가끔 이용된다.<ref name=Raab2009/><ref name=NIH2016Pro/>

전 세계적으로, 다발성 골수종 환자는 2013년 기준으로 약 427,000명이며, 이로 인해 79,000명이 사망하였다.<ref name=GBD2015Pre>{{저널 인용|last1=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first1=Collaborators|title=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01 acute and chronic diseases and injuries in 188 countries,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journal=Lancet (London, England)|date=22 August 2015|volume=386|issue=9995|pages=743–800|pmid=26063472|doi=10.1016/s0140-6736(15)60692-4|pmc=4561509}}</ref><ref name=GBD2015Mort>{{저널 인용|last1=GBD 2013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first1=Collaborators|title=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journal=Lancet (London, England)|date=10 January 2015|volume=385|issue=9963|pages=117–71|pmid=25530442|doi=10.1016/s0140-6736(14)61682-2|pmc=4340604}}</ref> 미국에서 한 해에 100,000명의 사람 중 6.5명에서 발전하며 사람들 가운데 0.7%가 생애의 어느 시점에서 영향을 받는다.<ref name=SEER2016>{{웹 인용|title=SEER Stat Fact Sheets: Myeloma|url=http://seer.cancer.gov/statfacts/html/mulmy.html|website=NCI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Program|accessdate=8 August 2016}}</ref> 보통 61세 즈음에 발생하며 여성 보다 남성에게 더 흔하다.<ref name=Raab2009/> Without treatment, typical survival is seven months.<!-- <ref name=NIH2016Pro/> --> With current treatments, survival is usually 4–5 years.<ref name=NIH2016Pro/> [[5년 생존률]]은 약 49%이다.<ref name=SEER2016/> 골수종의 영어 낱말 myeloma은 골수를 뜻하는 그리스어 낱말 ''myelo-''와 종양을 뜻하는 ''-oma''에서 왔다.<ref>{{서적 인용|last1=Diepenbrock|first1=Nancy H.|title=Quick Reference to Critical Care|date=2011|publish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isbn=9781608314645|page=292|url=https://books.google.ca/books?id=Xk7znn4rxIMC&pg=PA292|language=en}}</ref>


== 각주 ==
== 각주 ==

2017년 3월 14일 (화) 00:25 판

다발성 골수종
형질세포종의 현미경 사진. H&E 염색
진료과혈액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다발성 골수종(多發性骨髓腫, multiple myeloma 또는 형질세포골수종(形質細胞骨髓腫, plasma cell myeloma)은 일반적으로 항체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백혈구의 일종인 형질 세포이다.[1] 초기에는 증상이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발전하면 골통, 출혈, 잦은 감염,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2] 합병증에는 아밀로이드증이 포함될 수 있다.[3]

병인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4] 위험 요인에는 알코올을 마시는 것과 비만을 포함한다.[5] 기반이 되는 매커니즘은 비정상 항체를 생산하는 비정상 형질 세포를 수반하며 신부전과점조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다. 형질 세포들은 또한 골수나 연조직에 덩어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하나의 덩어리만 존재할 경우 형질세포종이라 하며 하나 이상일 경우 다발성 골수종이라고 한다.[2] 다발성 세포종은 혈액이나 소변 검사를 통해 비정상 항체를 찾거나 골수 생체 검사를 통해 암 형질 세포를 찾거나, 의학 영상을 통해 골병변을 찾음으로써 진단된다. 그 외에 고칼슘혈증이 발견되기도 한다.[1]

다발성 골수종은 치료가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일반적으로 치유는 불가능하다.[3] 차도로는 스테로이드, 화학요법, 탈리도마이드, 레날리도마이드, 줄기세포 이식을 수반할 수 있다.[3] 골병변으로부터 오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 비스포스포네이트방사선 치료가 가끔 이용된다.[1][3]

전 세계적으로, 다발성 골수종 환자는 2013년 기준으로 약 427,000명이며, 이로 인해 79,000명이 사망하였다.[6][7] 미국에서 한 해에 100,000명의 사람 중 6.5명에서 발전하며 사람들 가운데 0.7%가 생애의 어느 시점에서 영향을 받는다.[8] 보통 61세 즈음에 발생하며 여성 보다 남성에게 더 흔하다.[1] Without treatment, typical survival is seven months. With current treatments, survival is usually 4–5 years.[3] 5년 생존률은 약 49%이다.[8] 골수종의 영어 낱말 myeloma은 골수를 뜻하는 그리스어 낱말 myelo-와 종양을 뜻하는 -oma에서 왔다.[9]

각주

  1. Raab MS, Podar K, Breitkreutz I, Richardson PG, Anderson KC (July 2009). “Multiple myeloma”. 《Lancet》 374 (9686): 324–39. doi:10.1016/S0140-6736(09)60221-X. PMID 19541364. 
  2. “Plasma Cell Neoplasms (Including Multiple Myeloma)—Patient Version”. 《NCI》. 2016년 8월 8일에 확인함. 
  3. “Plasma Cell Neoplasms (Including Multiple Myeloma) Treatment (PDQ®)–Health Professional Version”. 《NCI》. 2016년 7월 29일. 2016년 8월 8일에 확인함. 
  4.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hapter 5.13쪽. ISBN 9283204298. 
  5.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hapter 2.3 and 2.6쪽. ISBN 9283204298. 
  6.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Collaborators (2015년 8월 22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01 acute and chronic diseases and injuries in 188 countries,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London, England)》 386 (9995): 743–800. doi:10.1016/s0140-6736(15)60692-4. PMC 4561509. PMID 26063472. 
  7. GBD 2013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2015년 1월 10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London, England)》 385 (9963): 117–71. doi:10.1016/s0140-6736(14)61682-2. PMC 4340604. PMID 25530442. 
  8. “SEER Stat Fact Sheets: Myeloma”. 《NCI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Program》. 2016년 8월 8일에 확인함. 
  9. Diepenbrock, Nancy H. (2011). 《Quick Reference to Critical Care》 (영어).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92쪽. ISBN 9781608314645.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