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토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7번째 줄: 27번째 줄:
}}</ref>
}}</ref>


"아토피"(atopy)라는 용어는 코카콜라사가 1923년에 만들어냈다.<ref>Coca AF, Cooke RA. (1923) [http://www.jimmunol.org/cgi/content/abstract/8/3/163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phenomenon of hypersensitiveness] J Immunol</ref><ref name="RingPrzybilla2006">{{서적 인용|author1=Johannes Ring|author2=Bernhard Przybilla|author3=Thomas Ruzicka|제목=Handbook of atopic eczema|url=http://books.google.com/?id=jTktMX60bPwC&pg=PA3|accessdate=4 May 2010|year=2006|publisher=Birkhäuser|isbn=978-3-540-23133-2|pages=3–}}</ref>
"아토피"(atopy)라는 용어는 코카콜라사가 1923년에 만들어냈다.<ref>Coca AF, Cooke RA. (1923) [http://www.jimmunol.org/cgi/content/abstract/8/3/163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phenomenon of hypersensitiveness] J Immunol</ref><ref name="RingPrzybilla2006">{{서적 인용|author1=Johannes Ring|author2=Bernhard Przybilla|author3=Thomas Ruzicka|제목=Handbook of atopic eczema|url=http://books.google.com/?id=jTktMX60bPwC&pg=PA3|accessdate=4 May 2010|year=2006|publisher=Birkhäuser|isbn=978-3-540-23133-2|pages=3–}}</ref> 많은 의사와 과학자들은 "아토피"라는 용어를 IgE와 관련된 반응에 사용하지만, 많은 소아과의사는 유전적 소인의 IgE 과도한 반응에 "아토피"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ref name="PawankarHolgate2009">{{cite book|author1=Ruby Pawankar|author2=Stephen T. Holgate|author3=Lanny J. Rosenwasser|title=Allergy Frontiers: Classification and Pathomechanisms|url=http://books.google.com/?id=TJj3hqINS8sC&pg=PA33|accessdate=4 May 2010|date=7 April 2009|publisher=Springer|isbn=978-4-431-88314-2|pages=33–}}</ref>


== 주석 ==
== 주석 ==

2013년 10월 27일 (일) 16:31 판

아토피
습진 — 일반적인 아토피성 징표

아토피(Atopy) 또는 아토피 증후군은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직접 접촉없이 신체가 극도로 민감해지는 알레르기 반응을 이른다. 아토피의 증상으로는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비염 그리고 천식이 있다. 발병에는 유전적 영향이 크다.[1]

"아토피"(atopy)라는 용어는 코카콜라사가 1923년에 만들어냈다.[2][3] 많은 의사와 과학자들은 "아토피"라는 용어를 IgE와 관련된 반응에 사용하지만, 많은 소아과의사는 유전적 소인의 IgE 과도한 반응에 "아토피"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4]

주석

  1. Küster, W.; W. Küster , M. Petersen, E. Christophers, M. Goos and W. Sterry. “A family study of atopic dermatitis”. 《Archives of Dermatological Research》 (Springer Berlin / Heidelberg) 282 (Number 2 / January, 1990): 98–102. doi:10.1007/BF00493466. 
  2. Coca AF, Cooke RA. (1923)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phenomenon of hypersensitiveness J Immunol
  3. Johannes Ring; Bernhard Przybilla; Thomas Ruzicka (2006). 《Handbook of atopic eczema》. Birkhäuser. 3–쪽. ISBN 978-3-540-23133-2. 2010년 5월 4일에 확인함. 
  4. Ruby Pawankar; Stephen T. Holgate; Lanny J. Rosenwasser (2009년 4월 7일). 《Allergy Frontiers: Classification and Pathomechanisms》. Springer. 33–쪽. ISBN 978-4-431-88314-2. 2010년 5월 4일에 확인함.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