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파비 제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이란국
  • ملک وسیع‌الفضای ایران[a]
  • مملکت ایران[b]
1501년~1736년
 

국기
국기 (1576년 ~ 1732년)[1]
문장
문장[2]
아바스 1세 치하의 사파비 제국
아바스 1세 치하의 사파비 제국
수도타브리즈
카즈빈
이스파한
정치
정치체제전제군주제
샤한샤
1501년 ~ 1524년
1587년 ~ 1629년
1732년 ~ 1736년

이스마일 1세
아바스 1세
아바스 3세
왕조사파비 왕조
인문
공용어페르시아어, 아제르바이잔어
민족페르시아인, 튀르크인
종교
종교시아파 이슬람교
이전 국가
다음 국가
티무르 제국
아크 코윤루
미라반 왕조
아프라시얍 왕조
키아이 왕조
호타키 왕조
아프샤르 왕조
대이란의 역사
페르시아의 제국 · 페르시아의 군주
전근대
이슬람 개종 이전
기원전
자얀데 강 문명 선사 시대
시알크 문명 7500~1000
원시 엘람 문명 3200~2800
지로프트 문명 (아랏타) 3000~?
엘람 제국 2800~550
박트리아 마르기아나 2200~1700
만나이 왕국 10~7세기
메디아 728~550
아케메네스 제국 550~330
셀레우코스 제국 330~150
그리스 박트리아 왕국 250~125
파르티아 제국 248~기원후 224
기원후
쿠샨 제국 30~275
사산 제국 224~651
에프탈 425~557
카불 샤히 왕조 565~670
이슬람 개종 이후
라시둔 칼리파국 637~661
우마이야 칼리파국 661~750
아바스 칼리파국 750~1258
사만 토후국 819~999
타히르 토후국 821~873
알라비 토후국 864~928
사파르 토후국 861~1003
제야르 왕국 928~1043
부와이 제국 934~1055
가즈나 술탄국 963~1187
셀주크 제국 1037~1194
화레즘 제국 1077~1231
샨사브 왕국 1149~1212
일 칸국 1256~1353
무자파르 왕국 1314~1393
카르트 왕국 1335~1381
추판 왕국 1337~1357
잘라이르 술탄국 1339~1432
티무르 제국 1370~1507
아크 코윤루 투르크멘 1378~1514
카라 코윤루 투르크멘 1374~1469
사파비 제국 1501~1722
또는 1736
무굴 제국 1526~1857
호타키 토후국 1722~1729
아프샤르 제국 1736~1802
 근대
아프가니스탄
두라니 제국 1747~1823
영국과 러시아 세력 1823~1919
독립과 내전 1919~1929
바라자이 통치기 1929~1973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1973~1978
공산 통치기 1978~1992
1992년 이후 아프가니스탄 1992~현재
아제르바이잔
독립한 칸국 1722~1828
러시아 통치기 1828~1917
민주 공화국 1918~1920
아제르바이잔 SSR 1920~1991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1991~현재
바레인
포르투갈 통치기 1521~1602
대(對)영국 협정 1820~1971
바레인 왕국 1971~현재
이란
잔드 왕국 1750~1794
이란 숭고국 1781~1925
이란 제국 1925~1979
이란 혁명 1979
과도 정부 1979
이란 이슬람 공화국 1979~현재
이라크
오스만 제국 1632~1919
하심 왕국 1920~1958
쿠데타와 공화국 1958~2003
이라크 공화국 2004~현재
타지키스탄
부하라 토후국 1785~1920
부하란 / 우즈베크 SSR 1920~1929
타지크 자치 SSR 1929
타지크 SSR 1929~1991
타지키스탄 공화국 1991~현재
우즈베키스탄
부하라 토후국 1785~1920
우즈베크 SSR 1924~1991
독립 1991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1991~현재

v  d  e  h

대이란국 또는 사파비 제국,[3] 사파비 페르시아는 1501년부터 1736년까지 사파비 왕조에 의해 통치된 페르시아의 제국이다. 이들은 7세기 무슬림의 페르시아 정복 이후 가장 거대하고 장기간에 걸쳐 존속한 이란 제국 중 하나였다.[4][5][6][7] 왕조의 시조이자 초대 사파비 샤 이스마일 1세는 제국의 공식 종교로서 시아파 이슬람의 열두 이맘파를 채택하였고, 이것은 이슬람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점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한편 사파비 제국은 화약 제국의 하나였을 뿐만 아니라,[8] 종종 현대 이란 역사의 시작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9]

쿠르드계 신비주의자[10] 사피 알딘 아르다빌이 설립한 수피즘 종단 사피파[11]에 그 뿌리를 둔 페르시아 왕조로서, 나중에는 튀르크멘인,[12] 조지아인,[13] 체르케스인,[14][15] 그리고 폰틱 그리스인[16]과 혼혈되었으며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등 튀르크화되었다.[17] 아르다빌에 근거지를 둔 사파비인들은 대이란의 일부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고 이 지역의 이란 정체성을 재확인함으로써,[18] 부와이흐 왕조 이후 공식적으로 '이란'이라고 알려진 국가를 세운 첫 토착 왕조가 되었다.[19]

사파비 왕조는 1501년부터 1722년까지 통치했으며, 그들은 절정기에 오늘날의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조지아 동부, 러시아를 포함한 북캅카스의 일부와 이란, 이라크, 쿠웨이트, 아프가니스탄, 바레인, 튀르키예시리아파키스탄의 전역 또는 일부를 지배했다. 일시적으로는 투르크메니스탄우즈베키스탄까지 진출하기도 했다.

비록 그들이 1736년 멸망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남긴 유산들은 매우 중요하며, 심지어 몇몇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이것은 바로 이란이 동서양을 잇는 경제적인 무역거점으로 부활한 것, '견제와 균형'을 바탕으로 한 효율적인 국가와 관료제의 확립, 건축 혁신, 순수 예술에 대한 막대한 후원 등이었다. 사파비 왕조는 또한 이란의 공식 국교로 시아 이슬람 열두 이맘파를 채택하고 이를 중동, 중앙아시아, 카프카스, 아나톨리아 반도, 페르시아만, 메소포타미아의 주요 지역에 전파하려 노력했다.

역사[편집]

이스마일은 시아파 제7대 이맘의 자손으로서 1502년 아제르바이잔의 아크 코윤루(Ak Koyunlu:白羊) 왕조를 꺾고, 타브리즈에서 독립했다. 그 후 메소포타미아에서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통일했다. 그는 아라비아어풍의 술탄 칭호를 배척하고 페르시아어의 존칭 ''를 사용하였으며, 또 12이맘파(派)를 국교로 정하는 등 이민족 지배에서 벗어난 이란 민족주의를 강조하였다.

시아파를 지도 정신으로 하는 이 왕조는 무굴 왕조우즈베크계의 칸국들과도 원정을 하기도 했었고 또는 수니파(派)의 오스만 제국과 대항하게 되어 투르크의 침입을 받아 천도하였다.[20] 그러나 아바스 대제가 나오자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는 영국인의 지도로 군제(軍制) 개혁을 단행하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광대한 실지(失地)를 탈환하였다.[21] 또 내정에도 빛나는 치적(治績)을 올려 수도 이스파한의 장려함은 유럽 세계에까지 소문이 퍼졌다.

하지만 아바스 대제의 사후 사파비 왕조는 쇠퇴하기 시작했고 다시 오스만 제국의 침입을 받을때마다 영토를 잃게 된다.[22]1722년에는 아프간족에게 수도를 점령당함으로써 사실상 쇠퇴하였으나 왕통(王統)은 11대 1736년까지 존속되었다. 이후 이란 지방은 18세기 말 카자르 왕조에 의해 재통일되었다.

사파비 왕조는 페르시아의 비단을 이용해 당시 팽창하던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등 서유럽의 여러 나라와 친분 관계를 맺어 공동 전선을 폈다. 또한 인도 동쪽의 식민지와의 연락을 확보하기 위하여 영국, 프랑스와 우호 관계를 맺었다.

역대 군주[편집]

  1. 이스마일 1세 (1501년 - 1524년)
  2. 타흐마스프 1세 (1524년 - 1576년)
  3. 이스마일 2세 (1576년 - 1578년)
  4. 모하마드 호다반다 (1578년 - 1587년)
  5. 아바스 1세 (1587년 - 1629년)
  6. 사피 (1629년 - 1642년)
  7. 압바스 2세 (1642년 - 1666년)
  8. 쉴레이만 1세 (1666년 - 1694년)
  9. 술탄 후사인 (1694년 - 1722년)
  10. 타흐마스프 2세 (1722년 - 1732년)
  11. 압바스 3세 (1732년 - 1736년)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편집]

  1. "... the Order of the Lion and the Sun, a device which, since the 17 century at least, appeared on the national flag of the Safavids the lion representing 'Ali and the sun the glory of the Shiʻi faith", Mikhail Borisovich Piotrovskiĭ, J. M. Rogers, Hermitage Rooms at Somerset House, Courtauld Institute of Art, Heaven on earth: Art from Islamic Lands: Works from the State Hermitage Museum and the Khalili Collection, Prestel, 2004, p. 178.
  2. Flaskerud, Ingvild (2010). 《Visualizing Belief and Piety in Iranian Shiism》. A&C Black. 182–3쪽. ISBN 978-1-4411-4907-7. 
  3. 페르시아어: شاهنشاهی صفوی Šāhanšāhi-ye Safavi
  4. Helen Chapin Metz, ed., Iran, a Country study. 1989. University of Michigan, p. 313
  5. Emory C. Bogle. Islam: Origin and Belief. University of Texas Press. 1989, p. 145.
  6. Stanford Jay Shaw.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p. 77.
  7. Andrew J. Newman, Safavid Iran: Rebirth of a Persian Empire, IB Tauris (2006).
  8. Streusand, Douglas E., Islamic Gunpowder Empires: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Boulder, Col : Westview Press, 2011) ("Streusand"), p. 135.
  9. Matthee, Rudi (2017) [2008]. "Safavid Dynasty". Encyclopædia Iranica.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doi:10.1163/2330-4804_EIRO_COM_509. ISSN 2330-48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y 2022. Retrieved 23 June 2022.
    • Matthee, Rudi. (2005). The Pursuit of Pleasure: Drugs and Stimulants in Iranian History, 1500–1900.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8; "The Safavids, as Iranians of Kurdish ancestry and of nontribal background (...)".
    • Savory, Roger. (2008). "EBN BAZZĀZ". Encyclopaedia Iranica, Vol. VIII, Fasc. 1. p. 8. "This official version contains textual changes designed to obscure the Kurdish origins of the Safavid family and to vindicate their claim to descent from the Imams."
    • Amoretti, Biancamaria Scarcia; Matthee, Rudi. (2009). "Ṣafavid Dynasty". In Esposito, John L. (ed.)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Islamic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Of Kurdish ancestry, the Ṣafavids started as a Sunnī mystical order (...)"
  10. Baltacıoğlu-Brammer, Ayşe (2021). "The emergence of the Safavids as a mystical order and their subsequent rise to power in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In Matthee, Rudi (ed.). The Safavid World. Routledge Worlds (1st ed.).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pp. 15–36. doi:10.4324/9781003170822. ISBN 978-1-003-17082-2. S2CID 236371308.
    • Roemer, H.R. (1986). "The Safavid Period" in Jackson, Peter; Lockhart, Laurence.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6: The Timurid and Safavid Peri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14, 229
    • Blow, David (2009). Shah Abbas: The Ruthless King Who Became an Iranian Legend. I.B. Tauris. p. 3
    • Savory, Roger M.; Karamustafa, Ahmet T. (1998) ESMĀʿĪL I ṢAFAWĪ. Encyclopaedia Iranica Vol. VIII, Fasc. 6, pp. 628–636
    Ghereghlou, Kioumars (2016). ḤAYDAR ṢAFAVI. Encyclopaedia Iranica
  11. Aptin Khanbaghi (2006) The Fire, the Star and the Cross: Minority Religions in Medieval and Early. London & New York. IB Tauris. ISBN 1-84511-056-0, pp. 130–131
  12. Yarshater 2001, p. 493.
  13. Khanbaghi 2006, p. 130.
  14. Anthony Bryer. "Greeks and Türkmens: The Pontic Exception", Dumbarton Oaks Papers, Vol. 29 (1975), Appendix II "Genealogy of the Muslim Marriages of the Princesses of Trebizond"
  15. "Safavid Iran" at Encyclopædia Iranica, "The origins of the Safavids are clouded in obscurity. They may have been of Kurdish origin (see R. Savory, Iran Under the Safavids, 1980, p. 2; R. Matthee, "Safavid Dynasty" at iranica.com), but for all practical purposes they were Turkish-speaking and Turkified."
  16. Why is there such confusion about the origins of this important dynasty, which reasserted Iranian identity and established an independent Iranian state after eight and a half centuries of rule by foreign dynasties? Roger Savory, Iran under the Safavi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80), p. 3.
  17. Herzig, Edmund; Stewart, Sarah (2011). Early Islamic Iran. I. B. Tauris.
  18. 김상훈 (2011). 《외우지도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통아시아사 2》. 다산에듀. 42쪽.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9. 김상훈 (2011). 《외우지도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통아시아사 2》. 다산에듀. 43쪽.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 김상훈 (2011). 《외우지도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통아시아사 2》. 다산에듀. 45쪽.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 Molke Vasi’ al-Fazâye Irân
  2. Mamlekate Irâ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