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노리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북노리층
층서 범위: 선캄브리아기
제천시 청풍면 오산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북노리층
유형퇴적암
상위 단위옥천 누층군
하층서창리층
상층명오리층
지역충주시, 제천시
암질
함력천매암질암
나머지규암, 석회암
위치
이름 유래제천시 한수면 북노리
명명자황강리 지질도폭 (1965)
좌표북위 37° 00′ 36.8″ 동경 128° 05′ 51.4″ / 북위 37.010222° 동경 128.097611°  / 37.010222; 128.097611
나라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북노리층(北老里層, Buknori Formation)은 대한민국 옥천 습곡대 내 제천시 한수면 북노리를 표식지로 하여 충청북도 제천시충주시 남동부에 분포하는 옥천 누층군의 함력천매암질암 변성퇴적암 지층이다.[1]

개요[편집]

충주 지질도폭(1965)에서는 옥천 누층군을 밑에서부터 시대 미상의 고운리층, 서창리층, 계명산층,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 대향산 규암층, 북노리층, 명오리층, 황강리층, 문주리층으로 구분하고 고운리층은 오르도비스기조선 누층군으로 간주하였다.[2] 황강리 지질도폭(1965)에서는 옥천 누층군을 밑에서부터 북노리층, 명오리층, 황강리층, 문주리층으로 구분하고 서창리층조선 누층군옥천 누층군부정합 관계에 있는 별개의 지층으로, 옥천 누층군조선 누층군보다 아래에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3]

김옥준(1968)은 충주시-문경시 지역의 옥천 누층군을 밑에서부터 계명산층, 향산리 돌로마이트층, 대향산 규암층, 문주리층, 황강리층으로 구분하였고, 명오리층과 북노리층은 황강리층의 일부인 것으로 보았다.[4]

이민성 외(1998)에 의하면 북노리층과 그 상부의 황강리층은 빙하 기원의 해석 다이아믹타이트(diamictite)로 해석되며 규암석회암 쇄설물(클라스트; Clast)을 포함하고 있다. 북노리층에는 층리가 없으나 쇄설물의 배열로부터 층리면으로 보이는 구조가 발달한다. 이 층리면의 평균적인 주향은 북동 45°, 경사는 북서 55°이다. 지층의 두께는 약 200 m이다.[5]

제천시[편집]

제천 지질도폭(1967)에 의하면 북노리층은 옥천 누층군 최하부의 지층으로 서창리층을 부정합으로 덮으며 관봉 단층 동부에 남-북 방향으로 길쭉하고 좁게 대상 분포한다. 분포지 남부와 북부에서는 북북서와 북북동 주향의 단층에 의해 서창리층과 접하고 분포가 중단된다.[6][1]

충주시[편집]

충주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북노리층은 옥천 누층군의 최하부로 적보산(698.7 m) 북측 사면에 북동 주향의 세곡 단층에 의해 서창리층과 접한다. 본 지층은 주로 암회색 석회질함력천매암으로 구성되며 1 cm 내외의 역은 석회암규암으로 구성된다. 본 지층 최상부에서는 두께 15~20 m의 백색 세립결정질석회암이 협재된다. 지층의 주향은 북동 60°, 경사는 남동 70°이다.[2][1]

황강리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북노리층(PZocp)은 옥천 누층군의 최하부로 함력천매암질암으로 구성되며 관봉 단층 서측에서 북노리를 중심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포하며 관봉 단층 동측에서 용곡리에서 수산리까지 남-북 방향으로 분포한다. 전자의 경우 적보산~대미산 부근에서 제천시 한수면 서창리까지 북동 30~40°주향으로 발달하고 북서쪽으로 45~60°경사지나 국부적으로 남서 20°의 경사를 가지며, 최상부에 두께 15~20 m의 연속적인 백색 석회암 지층(lst)이 존재한다. 본 지층은 각섬암(후자만)과 서창리층을 부정합으로 덮으며 적보산-살미면 신당리 간 지역에서는 북동 40°주향의 세곡 단층에 의해, 한수면 서창리 북부에서 관봉 단층에 의해 서창리층과 접한다.[3][1]

사진[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