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김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rpedia2020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8월 24일 (월) 00:59 판

일반 이름공간에 {{초안 문서}} 틀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扶寧(扶安)金氏는 전라북도 부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신라김씨의 적통으로서 유일하게 대보공(김알지)을 원시조(遠始祖)로 할 수 있다.

부령(부안)김씨
관향전라북도 부안군
시조태자공(太子公)
중시조문정공(文貞公) 김구 (고려)
집성촌전라북도 부안군

전라북도 정읍시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북도 장수군

전라남도 곡성군
주요 인물김직손, 김계, 김홍원, 김익복, 김수복, 김택술, 김병술
인구(2015년)69,157명
비고비조 :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

시조 : 태자공(太子公)

관조 : 부령부원군(扶寧府院君) 김춘(金春)

중시조 : 문정공(文貞公) 김구 (고려)

역사

扶寧(扶安)金氏의 비조(鼻祖)는 대보공 김알지, 시조(始祖)는 신라 경순왕의 태자이시며 국성(國姓), 신라 김씨( 金氏) 마지막 왕이며 휘는 단정할 수 없다. 

진한이 본래 박석김 삼성으로부터 말미암아 웅패(雄覇)의 뜻을 품고서 국가의 차림을 갖춘 것은 가장 빠르지 않았으나 여러 개국공신들(지백호 등) 이 받들어 광좌(匡佐) 하고 또 대의(大義)가 날로 새로워지며(苟日新 日日新 又日新) 일민(逸民)이 넉넉해져 바야흐로 벽강(辟彊) 하게 되었다.

당초 조선 때에 기씨(箕氏)가 동래(東來)한 바 하나라(夏) 의 뜻이 전해져, 오랑캐 나라의 임금있는 것이 중원의 없는 것만 못하다는 말을 꺾어넘을 수 있는 지경에 이르렀으므로 국적(國敵) 십제(十濟) 를 쳐 부수고 구려(句䴡)에 설욕하는 한편, 사직을 다하는 바로써 삼한(三韓)을 통일하니 마침내 통일왕조(通一王朝) 신라(新羅)가 되었다.

진흥왕 이래로 화랑(花郞)이 성치(星馳) 하였는데 효종랑(孝宗郞) 같은 분들이 일어나 특히 음덕(陰德)을 행하였고 무열왕(진골 김춘추)이 가야를 부려 이윽고 나라의 문약(文弱)함을 극복하고 그 태자 문무왕이 바로 창업(創業)을 입공(立功) 하였다. 그런데 천년사직(千年社稷)이 하룻날에 하사(下賜)되자 경순대왕(慶順大王)이 검서(黔庶)의 불편함을 자신의 팔다리(股肱)가 저린 것과 같이 생각한 것과 별개로 재간(材幹)의 뜻을 품은 여러 지사(志士)들과 사사(死士. 죽기로 맹세한 사람들)의 추대로 태자께서 자신의 나라북쪽으로 가서 차건의 불궤지심(不軌之心)을 능히 손절시키려 하시니 이것이 현 강원도 인제군 인제면 금부리에 남아있는 반란진압 터이다.

본래 군왕(君王)은 오직 성토(誠討) 하여 친히 나서지 않는 바이나, 시대가 강구요(康衢謠)를 부르지 아니하고 육두노(六頭奴) 들의 아첨준동(阿諂蠢動)으로 골족(내물대왕계 성골과 태종계 진골)이 그 편함을 편히 여기지 않게되어 이에 근왕군(僅王軍)을 불러들이게 되었다.

이들은 수 년을 지새울 늠균(廩囷), 융장(戎藏)을 갖추고 남하(南下)하였으며 국적(國賊) 이훤(이아자개의 아들)이 차건의 발밑에 긴 이후에도 왕국 내 도적들을 토격(討檄)하였는데 부상(扶桑)에서 해가 더이상 그 불길을 씻지 아니하고 기린이 발꿈치를 들어올리지 못하고 대붕과 봉황새가 천하를 배회하지 않자, 용어(龍馭)하였다고 전한다. 

획린(獲麟) 이후에는 고법(古法)에 따라 3대가 출사하지 아니하고 의(義)에 따라 세상에 나오니 이부상서 김공(휘 경수)이 그 분이다. 적자(嫡子) 부령부원군 김공[휘 춘. 관조(貫祖)이다.] 이래로 고려에서 평장사(平章事) 등 마침내 문정공(文貞公) 대(代)에 이르러 가장 번창하였다. 장남 문한공[파보(派譜)상 충선공 병기) 휘 여우는 단서철권(丹書鐵券)을 가졌고, 중자 김종우가 권세가 기철을 사위로 잡아다 쓰면서 나라권력이 절정(絶頂)에 이르게 된다. 

«북정록»이 소실되기는 하였으나, 때는 무졸(武卒)이 전단(專亶)하던 때로 문도(文道)가 약해지려던 참이었는데, 서량군(西凉軍) 무리(후한의 동탁, 이각, 곽범을 말함.)의 짓과도 같았다. 때문에 이규보 등은 오히려 조직에 충성하여 교육을 보존하려 애쓰려 했지만서도 당고(黨錮)의 암흑기를 거쳐 관군 장수 최영과 울루스부카(ulus-buqa)의 아들 성계가 병마를 쥐고 국토를 나다니기에 이르렀다. 역성혁명이 이루어진 뒤 이씨는 정도전을 중심으로 신권국가로 발돋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3대를 관로(官路)에 나서지 아니하고 사림(士林)의 자격으로 공인(公人)이 되었으니 이것이 부령(부안)김씨이다.


고려시대 평장사를 지낸 문정공 지포 선생(諱 坵)을 중시조(中祖)로 삼고 있다. 이때부터 부안김씨는 전성기의 번성함을 이어, 전라도와 충청도 당진, 서천, 진천, 청주와 강원도 영월, 황해도 해주, 함경도 일대에서 주로 세거했던 것으로 알려져 왔다.

현재는 전북 부안군 일대와 충청도 당진,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하여 거주하고 있다. 부안 김씨는 소윤공파, 군사공파, 소감공파, 시승공파, 좌부승지공파로 크게 분류한다.

상계를 계고컨대 비조(鼻祖) 대보공 김알지 65대가 즉 37세 해당한다(4대 실계설에 따른다). 대와 세는 같다. 

본관

삼한시대에 마한의 지반국이 있었으며, 백제시대에는 개화현이라 했다가 757년(경덕왕 16)에 부령현이라 하여 고부군에 예속시켰다. 고려 때 보안으로 고쳐졌으며 한때 낭주라 불렸다. 고려 1018년(현종 9)에 감무를 두고 보안현을 예속시켰다.

이후 1416년(조선 태종 16)에 부령현과 보안현을 합쳐 부안현이라 개칭했다. 1896년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라북도 부안군이 되었다. 1943년 부령면이 부안읍으로 승격되어 1읍 10면이 되었다.

태자공의 직계손 동정공(이부상서 좌복야 김공. 휘는 경수)의 자(子) 부령부원군 김공(휘는 춘)에 의하여 "부령김씨"로 불리기 시작하였다.

부안은 1446년 부령과 보안이 통합된 때의 지명으로 우리나라 현대행정구역 체계 상으로 전라북도에 속한다. 부풍(扶風)과 낭주(灢州. 약자표기 浪州)라고 하기도 하였는데 각각, 부령과 보안의 미칭(美稱)이다. (혹, 영주瀛州라고 한 것은 변산의 이칭인 영주산을 말하는 것으로 봉래산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태자공 기사 및 세계 관련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935년(경순왕 9년)10월 경순왕이 나라 존망이 위태롭게 되자 군신회의를 소집하여 신라의 천년 사직을 고려에 바치는 항복을 논하는 자리에서 태자(太子)가 불가함을 극력 간(諫)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여 처자(妻子)를 죽이고 동생 덕지(德摯) 왕자와 함께 개골산(皆骨山. 금강산의 겨울 이름)에 들어가 바위 아래에 집을 짓고 마(麻)로 된 옷을 입고 초식을 하다 일생을 마쳤다고 한다. 사기에서 주의할 점은 '태자가 살처자(殺妻子)하고, 개골산(皆骨山)에 들어가 바위를 의지하여 집을 삼고, 마(麻)로 된 옷을 입고 초식으로 일생을 마쳤다.'는 기록이다.

처자를 죽였다는 기록에 관하여, 고래(古來)로 처자를 죽이는 상황이면 홀로 살아남기를 바랄 수 없다. 처자를 죽이는 경우는 처가 욕을 당하고 자식이 노예가 되는 것을 용납하지 못하거나 건곤일척(乾坤一擲)의 기로에 서 군의 사기양양을 위해 처자가 죽어야만 하는 때에 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상황이 아님에도 왕이 목숨을 이으며 자신의 뿌리를 자르는 것은 장구지책(長久之策)이 아닐 뿐더러 모순(矛盾)이다. 태자께서는 처자를 죽였다는 소문으로 그들의 안전을 도모(圖謀)하였거나, 혹은 고려 조정에서 태자공의 후예가 절손(絶孫)되었음을 공표하여 신라 유민들의 저항의지를 말살(抹殺)하려는 의도로 이해함이 사리(事理)상 올바르다. 태자공께서 항려군(抗麗軍)을 이끄시던 강원도 인제군 갑둔리에서 오층석탑이 발굴되었으며 비명(碑銘)에는 '김부수명장존가(金富壽命長存家, '김부의 수가 길고 가문이 존속하기를 기원한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탑은 신라 후기의 양식이며 태자공의 생존시기보다 수십년(935년 신라 양국, 경순왕 978년 승하, 탑의 명문상 1036년 조성)이후로 볼 수 있는 바 태자공께서 인제에서 금강산으로 입산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문구(文句)는 태자공의 장수(長壽)를 기리고 후손(들)이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다. 면석에 명문(銘文)이 있었으나 알지 못하는 원인으로 파손·매몰되었다는 안내문이 있어 애석하다.

개골산(금강산)에 들어갔다는 기록에 관하여, 태자공께서 부왕의 양국 후 금강산이 아닌 강원도 인제군으로 가셨다는 사실은 관련 지명(금부리, 옥새바위, 수거너머, 군량리, 갑둔리, 맹개골 등)과 유적, 현지의 전승 등으로 입증되었다. 이 역시 고려의 입장에서 태자공의 항려(抗麗) 활동을 숨기려는 의도의 기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사기는 관련 소문이 잠잠하여진 태자공 승하 150여 년 후(1145년)에 편찬되어 인제에서의 항려 활동을 누락하고 금강산 입산만을 기록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부식이가 비록 잡출(雜出)이라곤 하나 '무지함이 크다' 하겠다.

마지막으로 마의를 입고 초식으로 일생을 마쳤다는 기록에 관하여, 이 역시 위의 논리와 같이 태자공의 항려(抗麗)의지를 왜곡하고 무기력한 존재로 폄훼(貶毁)하는 수사에 불과하다. 설혹 마의를 입고 초식을 하였다 하더라도 와신상담(臥薪嘗膽)의 의지일 수 있으므로 독립의 뜻을 버린 인물로 해석하는 것은 왜곡과 폄훼에 부응(副應)하는 것이다.

결론으로 삼국사기는 고려조정의 의지로 승자의 역사를 쓴 것이며 왜곡의 뜻이 내포되어 있다. 태자공이라 통칭(세칭 마의태자)하나 경순왕이 고려에 양국함과 별개로 신라의 정통성을 이어 고려와 대적하였으니 신라의 마지막 왕으로서 금부대왕으로 칭함이 옳다. ‘마의태자’는 기록에 없으며 친일반민족행위자 이광수의 소설에서 나약한 한 인간을 상징하는 칭호로 사용되어 언급(言及)에 신중(愼重)하여야 한다.

부안김씨 문중에서는 신라김씨의 안돈을 위하여 대외적으로 <김은열 묘지명>을 인정하나 묘지명의 내용이나 형식 등을 볼 때 사실로 인정할 근거가 부족하다. 일부 문헌에 태자공의 휘가 '일(金鎰)'이라 하나 확신할 수 없다.

부안김씨는 태자공의 후예로서 태자공 이후 신분을 감추고 은거(隱居)할 수밖에 없었던 사정이 있으며 가승만으로 실전된 선계를 파악하여야 하는 것은 허다한 명문가들의 공통적인 고민이다. 부령(부안)김씨는 태자공 이후 은거하다 휘 경수(景修)가 고려 선종(1084~1094)조에 문과에 급제하고 아들 춘(春)이 부령부원군(扶寧府院君)에 책봉되어 이후로 '부령인(扶寧人)'이라 칭하였으며 유서깊은 본관들 역시 그때를 전후하여(가장 오래된 본관 기록은 고려 목종 4년, 1001년) 유사한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즉 대부분 가문들의 본관 제도 이전 선조들의 행적에 관한 기록은 매우 부실하며 같은 이유로 휘조차 실전된 경우가 다반사이다.

고려 희종(본관제도가 발생하고 200여년이 지난 즉위년의 문과에서 본관 미상의 인득후가 장원, 본관을 부령으로 삼은 춘(春)의 증손인 김정립이 2위, 역시 본관 부령의 김의가 3위로 기록)과 강종대의 문과급제자만 하더라도 본관이 미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1/3 이상에 달한다. 즉 명문가라 하더라도 본관도 없고 족보(최초의 족보는 1476년의 안동권씨의 성화보)도 없던 시대의 선조들의 배위나 행적에 관한 기록을 찾는 것은 지난(至難)한 일로서 하물며 고려왕조에 저항했던 태자공의 후예라면 선계의 기록을 보전하기가 극히 어려웠음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문중에서는 태자공 이후 경수(景修) 대에 이르기까지 휘 기로(箕輅)와 희보(希寶)로 계대하자는 주장과 4대가 실전되었다는 주장이 혼재(混在)되어 있다. 문정공(文貞公) 김구(金坵)의 묘지명에 더하여 부령김씨(扶寧金氏)가 고려 개경의 귀족으로 가승의 확실함은 참으로 다행한 일로서 문정공의 직계존속(直系尊屬)으로 휘 경수(景修)와 춘(春), 인순(仁順), 작신(作辛), 의(宜)와 직계비속(直系卑屬)으로 문과에 급제한 아들 4형제가 모두 작위가 있는 분들이므로 관련 기록이 발굴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문정공 김구(金坵)가 과거에 제 2인으로 급제하여 정원부 사록에 임명되었을 때 동향사람인 황각보가 원망하는 마음을 가지고 문정공 집안의 결함을 고변(告變)하여 제주판관으로 전직(轉職)되었다. 고변은 구체적인 기록이 없어 할아버지가 승려였거나 아버지의 무고(誣告)사건일 것이라 추정하는 의견이 있다. 그러나 왕위까지 좌지우지한 최고권력자 최충헌의 아들이면서 다음 대권을 잡은 최이(최우)조차 고변을 무마(撫摩)하지 못할 정도였다면 왕조나 국가의 정통성과 관련된 중대한 문제로 추정되며 관련 기록을 남기기 어려웠던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문정공의 조부인 작신(作辛 또는 作新)은 이부상서와 우복야를 역임한 후 승려로 출가하였고 부친인 의(宜)는 문과에 3위로 급제하고 평장사와 우복야의 벼슬을 하였으며 문정공은 성균관에서 다년간 수학하였으며 모두 장원을 믿었던 인재였는데 조부의 신분이나 부친의 사건이 계속 비밀이었다가 임관시에나 밝혀져 문제가 되었다는 것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조부나 부친의 일이 아닌 가문의 은밀한 진실, 즉 문정공이 고려에 귀부하지 아니한 신라 마지막 태자의 후손이라는 점과 사기(史記)의 기사에 반하여 태자공의 후손이 살아있다는 엄중(嚴重)한 사실이 밝혀져 내륙의 관직에 임명하지 못하고 제주로 보낼 수밖에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최충헌의 집권시기에 이비, 발좌의 난과 같은 신라부흥운동이 발생한 사실을 감안하면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며, 무신정권(武臣政權) 시기가 아니면 가문의 존립이 위태(危殆)하였을 것이다

문정공은 녹상서사로서, 충렬왕(이름: 車昛)에게 탁고까지 받은 분으로서 금자광록대부(고려종2품. 그 위의 품계는 전부 왕국 신라의 역도(逆徒)에게 주어져 있다. e.g.평산홍주평산'무송경주의성면천 등) 까지만 올랐으니 이 또한 가(可)하다.

역대

<왕>

신라시대를 말한다.

<개경귀족>

  • 경순왕이 차씨에게 양국하여 안락공 좇음을 효칙한 뒤로 김경수(金景修) 대에 이르러 출사하여 그가 이부상서, 우복야, 합문지후를 역임하고,
  • 경수(景修)의 아들 춘(春)이 부령부원군(扶寧府院君)에 책봉되었으며,
  • 춘의 아들 인순이 호장, 부령군을 지내었다. 인순의 처부는 평장사 김숭백으로 이전에 중앙에 진입하였음을 넉넉히 추정할 수 있다.
  • 인순의 아들 작신은 이부상서(吏部尙書), 우복야를 역임하고 부령군에 봉해졌으며, 후에 승려로 출가한 것으로 보인다.
  • 작신의 아들인 의는 문과 3위(등과록전편에 따르면 고려 희종 즉위년의 문과 갑자방에 본관 부령(扶寧)으로 2위에 휘 정립(金鼎立)과 역시 본관 부령(扶寧)으로 3위에 의(金宜)가 기록되어 있으며 '의'와 '정립'이 동일인이라는 설이 있음에도 같은 문과에서 2, 3위를 하였다는 국가기록이 있어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로 급제하여 증은청광록대부, 중서시랑문하평장사, 상서성우복야를 역임하였고,
  • 중시조 문정공(휘는 구)은 평장사 의의 아들로서 초명은 백일, 자는 차산이며 12세(<여좌주김양경전의발계>에서 표기한 바. 일부 기록상 17세-> <동문선>의 오류로 추산)에 성균시에 합격하고 모두 장원을 믿었으나 문과 2위로 급제하여 예조정랑 및 중서시랑평장사를 비롯하여 참의사, 문학사, 태자이사 등을 지내었다. 문장사에 제수되었을 때 서국의 문서를 검열하였고 서국을 답사하여 <<북정록>>을 저술하였다. <<지포집>>을 비롯하여 시작 100여 수 등은 현존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판관으로 갔을 때에 제주민의 상소를 읽고 농지를 어지럽히는 돌을 빼내어 돌담을 설치할 것을 명하였으니 여기서 제주돌담이 비롯되었다. 제주 판관 시절, 자칭 문장가 최자가 자기자식의 과문을 물어볼 적에 <秦穆公이崤山과函谷關의險峻함에기대어>가 시험주제였는데, 공께서 이를 듣고 일필로 문답을 지으시니, 최자가 일응 탄복하여 여씨천금과 같은 완벽함에 그 즉시 이것은 '문장의 준승이다'하고 소리치며 아들에게 주실 것을 청하고서 공께서 허여하니 최자가 (아들에게) 소중히 간직할 것을 당부하였다. 북국의 오랑캐 말을 들여온 자들이 조정에 들어차는 것을 꾸짖고 오랑캐 사신을 직접 물리치었다. 예(禮)·문(文)을 바탕으로, 동수국사(同修國史)의 직분을 가지고 국사(훗날 <<고려사>>)의 세대 편찬에 참여하였고 참녹상서사가 되었다. 한예와 초서체가 으뜸으로 불렸고 부안 대종회의 문정공 지포 시비에 칠언절구 낙리화 등이 새겨졌다. 좌주 김양경(김인경)과의 고사가 화·범(화응, 범질)의 일화에 비견되며 전의발(傳衣鉢)에 임명되어 감탄을 문장으로 엮으신 `의발계(啓)`는 사륙변려의 극을 달리는 절문으로, 문집과 도동서원(1534년 건립, 국내 최초 서원 추정) 관련 전·집에 올라와 있다. 전북대학교 전가람 박사는 ‘안향 성리학 도입설의 근거와 김구(金坵)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논문에서 성리학의 도입에 문정공 부자의 역할을 설명하고 있다. 문정공은 안향보다 32년 앞선 사람으로 약관 22세의 나이에 과거에 급제하고 원나라를 다녀왔으며 성리학의 도입에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
  • 문정공의 네 아들은 모두 문과에 급제하였다. 장자(시호가 충선이며 휘는 여우)는 단서철권의 특권(그 목판본이 현존하여 군사공파에서 소장하였다.)을 얻었고 완산목부사, 봉익대부, 형부상서, 동지밀직사사, 문한학사를 역임하였다. 차남 휘 종우는 고려문과 장원으로 봉선대부, 전교시부령을 지냈으며, 삼남 숙우는 문과 방하 제 2등을 하였다. 장자인 충선공이 유교의 진흥에 힘써 강릉안렴사(江陵按廉使)로 있는 그의 서제 김승인(金承印. 진사 장원, 고려문과, 봉상대부, 예문관직제학, 대사성)에게 학교의 제도를 가르쳐 주면서 세우도록 권하였다. 이에 따라 강릉(江陵)의 서쪽 화부산(花浮山)의 현적암(峴滴岩)아래에 문묘(文廟)를 짓고 향교(鄕校)를 세우니 이것이 한반도 향교(鄕校)의 시초(始初)이다.
  • 충선공의 아들 각은 이부상서(吏部尙書), 합문지후, 문하시중평장사를 역임하고 식은 이부상서를 역임하여 명문의 대를 이었다.
  • 각의 아들 지경은 병부상서를 지내고,
  • 지경의 아들 용수(龍壽)는 판삼사사(判三司事)·동지밀직부사(同知密直副使)·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 등을 역임하였고,
  • 대제학공의 아들 인정은 중랑장, 신정은 감찰시승(어사중승)을 지내는 등 대대로 벼슬이 끊이지 않았다.
  • 중랑장공의 아들인 세영은 봉정대부 한성소윤으로 소윤공파, 광서는 봉정대부 지고부군사로 군사공파, 광신은 전의소감으로 소감공파, 광구는 보승낭장으로 낭장공파로 분파하였다. 그리고, "지조가 있는 사람으로서 새로운 임금을 섬길 수없다."며 벼슬을 버리고 부령으로 낙향하였다. 이후 3세가 고절을 지켜 이조(李朝.위화도 역모로 역성.)에 임관하지 아니하고 비로소 다음 세대가 되어 방목에 성명을 올리었다.

<문반(文班)>

<외직(外職)>

  • 오랑캐 4란에서 모두 의의(義儀)를 밝혀 빛내신 선조가 계시니 바로 해옹(海翁先生. 휘는 홍원)이시다. 1588년(선조 21) 18세에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3년 후인 선조 24년에 문과 초시에 합격하였으나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 과거를 포기하였다. 임진왜란 시 엄부(嚴父)께서 편치 않으사, 의곡(義穀) 100여 석을 선유사(宣諭使) 윤승훈(尹承勳)를 통해, 의주로 도주한 이연의 행재소 용만(龍灣)으로 보냈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에는, 창의하여 옥구~고군산 일대에 병진(屛陣)하는 한편, 족문(族門)과 함께 변산(邊山)에서 왜노를 토파하였고 황신(黃愼)과 함께 적을 순창(淳昌)까지 추격하여 살상하였다. 왜노가 점차 남으로 회피하자 순천 석보창에서 화약을 매설, 야습으로 격멸시킨다. 이 공이 보고되어 진사에서 곧바로 통정대부(정3품 상계. 당상관이다.)가 되었다. 도원수 권율이 유정, 이덕형 등과 도래하였을 때 선봉장으로 나서는 이가 없자, 자천(自薦)하여 1천을 이끌었다. 정유년 9월24일 이순신을 만나 위로하였다. 왜란이 끝난 뒤에 대마도 정벌을 조정에 건의하는 한편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에 녹훈(錄勳), 나주목사(羅州牧使)가 되었다. 정묘호란 때, 담양부사로서 참전하여 요새 금성산성으로써 보국(輔國)하였으며 1636년(인조 14)의 병자호란(공의 춘추 66세 때이다.)에는 현감(縣監) 이홍발 등과 여산(礪山)에서 창의를 하였지만, 화의(和議)가 성립되자 부안(扶安)의 변산 바닷가에 해산정(海山亭.海山軒.)을 짓고, 스스로 해옹(海翁)이라 칭하였다고 한다.
  • 영광군수로 임하여 왜노의 역난을 찢어발기신 증이조판서 충경공(휘는 익복)께서는 조선에서 가장 먼저 창의(倡義.倡 역시 이끈다는 뜻이다.)하고 정유왜란 때 현감 임계영과 함께 골(骨)터에서 운명하셨다. 제장들의 창의격서(충경공·임계영과 박광전 등과 양대박 등)와 제충장문 국역본이 현전한다. 대의대절•일문칠절•삼세칠충。

<내직(內職)>

  • 기묘명현으로 불리시는 운강 선생(휘는 계)께서는 실록과 고봉집의 기록과 같이 이황의 상소로 조선왕이 물어오자 `조광조 등의 처사가 부당하다`라 대답하여 기묘피화(기묘년 위훈삭제로 역적 훈구들이 사림에 대드려든 일이 계속 미치는 것)를 막으신 분이시다. 이때 역적 남곤과 역적 심정 등 위훈신하 76명이 모두 추탈되고 기묘명현 전부가 복권된다. 박순 유희춘 이이(운강 선생의 王父이신 부안김공의 신도비를 작성하며 예의를 바쳤다.) 기대승 이황 (또는 정철) 등과 도론하셨고 급서 하시자 기대승이 직접 제문을 올렸다. 이는 <<운강유고>>에 있다. 운강 선생으로부터 3대에 증(贈)이 더해졌으니 조부와 선친께서 모두 참판으로 추증되셨다. 운강 선생의 족숙이신 옹천 선생이 성균3인으로 징소되셨을 때에 조광조가 있었으니 실로 기묘한 인연이다. 25세에 급제하신 이래로 정적토납(政的吐內)을 하지않으시어, 학자들과는 담론을 통하여 두루 잘 지내셨다고 한다(久而敬之). 한학교수(문언문과 백화문 모두에 능통)를 지내셨던 것 등으로, 대중(大中)외교에 선봉을 서셨고 이조참판 등을 지내셨으며 중국에 최소 3번 다녀오신 기록이 남아있다. 이연이 그 후배됨(훗날 외교문서를 맡을 자가 됨)을 걱정하여 한어교육에 심혈을 기울인 것이 실록의 기사에 나타나 있다. 전남 곡성군에 수운정(곡성면 동산리)이 있으니 이는 선생께서 사조참판을 역임하셨을 때의 행적이 있는 것이다.

<황제(皇帝)>

국호는 청이다.

과환록

○등재인원

- 高麗朝 15명

- 朝鮮朝 667명

문과편 31명, 무과편 55명, 사마편 110명 문음편 502명(소윤공 104명, 군사공 311명, 소감공 87명)

(高麗朝)

□선계편 : 15명

김경수, 김춘, 김인순, 김작신, 김의, 김구, 김여우, 김종우, 김숙우, 김승인, 김격, 김지경, 김용수, 김인정, 김신정

(朝鮮朝)

□문과편:31명

김회신, 김보적, 김보칠, 김직손, 김팽석, 김홍덕, 김팽령, 김석필, 김서성, 김계, 김경덕, 김익복, 김치원, 김현, 김지성, 김명열, 김택, 김승액, 김일좌, 김궤, 김성연, 김대, 김운, 김동직, 김규하, 김한익, 김양묵, 김한정, 김상래, 김헌제, 김용현

※ 김현(金灦)은 문과에 장원하였다.

□무과편:55명

김관, 김절, 김태지, 김인지, 김우선, 김석손, 김인강, 김여, 김윤손, 김방주, 김응정, 김린, 김상건, 김담, 김립, 김유경, 김기경, 김기원, 김득인, 김우신, 김순, 김옥신, 김이원, 김기룡, 김세정, 김거, 김의건, 김몽두, 김응건, 김용발, 김호발, 김세방, 김득일, 김태검, 김익룡, 김응룡, 김효증, 김시좌, 김기룡, 김진규, 김하운, 김진위, 김수한, 김남전, 김남준, 김신일, 김석황, 김광수, 김한두, 김광하, 김환감, 김낙구, 김련, 김현식, 김병갑

※ 김환감(金煥鑑)은 무과에 장원하였다.

□사마편 : 110명

김진경, 김회신, 김진효, 김연수, 김직손, 김팽석, 김완, 김선, 김팽령, 김종, 김질, 김석필, 김익손, 김석홍, 김척, 김석옥, 김석량, 김응추, 김열, 김경도, 김경문, 김경장, 김우정, 김승정, 김점, 김수복, 김의복, 김원복, 김충복, 김형복, 김우상, 김응권, 김승복, 김전, 김중의, 김응별, 김대련, 김국번, 김횡, 김승복, 김익복, 김파, 김협, 김태복, 김홍원, 김정복, 김대일, 김진명, 김화, 김련, 김명, 김이복, 김여, 김삭, 김대건, 김우세, 김현, 김연, 김지순, 김단, 김정로, 김호, 김국검, 김지명, 김지성, 김처백, 김지백, 김찬, 김만수, 김극흠, 김지중, 김택, 김정욱, 김흡, 김호겸, 김진적, 김추, 김서경, 김일좌, 김홍탁, 김성연, 김수종, 김덕수, 김민학, 김석경, 김석창, 김수겸, 김후, 김운, 김손, 김수함, 김박, 김홍필, 김수민, 김성규, 김복남, 김옥, 김용필, 김취질, 김설, 김경휘, 김성발, 김상성, 김종택, 김륵, 김정수, 김기재, 김형근, 김봉효, 김영술

※ 김횡(金鋐)은 진사시에 장원하고 생원시에 부장원을 하였다. 모재 김안국의 예와 같이 한 사람에게 양시장원을 줄 수 없다 하여 진사 장원만을 주는 경향이 있어 조선시대 진사와 생원의 양시 장원은 3명에 불과하다

※ 매죽당(梅竹堂) 김종(金宗)이 성균관진사로 수학하다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과거를 폐하고 낙향하였고 매죽당의 손자이자 주부 경정(景貞)의 아들인 전(銓). 횡(鋐). 명(銘). 협(鋏) 4형제가 모두 사마시에 입격하고 그 중 죽계공(竹溪公) 횡(鋐)은 진사에 장원하고 생원에 2인으로 입격하였으며 전(銓)은 생원 2등 6위(11/100), 협(鋏)은 진사 2등 3위(8/100)의 우수한 성적으로 입격하였고 학덕이 죽계공에 필적하는 화곡공(火谷公) 명(銘)은 사마시조차 응시하지 아니하다 선조 38년(1605년) 환갑(1544년생)에 달하여 권유에 못 이겨 치른 시험에서 사마 양시에 입격하였으나 4형제가 모두 대과를 치르지 아니하였으며 천거에도 벼슬에 나서지 아니하였다. 도촌공(陶村公) 김연(金沇)은 진사시에 1등 5위(5/100)의 우수한 성적으로 입격하였으나 문과에 응시하지 아니하였고 연의 아들인 지명(之鳴);進士試亞元과 지성(之聲), 지중(之重), 지백(之白);生員試亞元 4형제 모두 사마시에 입격하였으며 지성(之聲)은 사마 양시에 입격하였다. 삼남 김지중(字子南)만 문과를 응시한다. 화(澕) 등 사마 양시에 입격한 인물들이 있어 백패의 숫자는 110개가 넘는다.

□문음편:502명(소윤공104, 군사공 311, 소감공 87)

※훈(勳)을 세우면 자, 손이 문음으로 천거되고 족자까지 대가(代加)할 수 있게 된다.

○소윤공파 : 104명

김세영(고려.不出仕.), 김진, 김자미, 김자현, 김석손, 김덕순, 김영손, 김순손, 김영견, 김붕, 김순양, 김계양, 김응추, 김응백, 김응서, 김응상, 김훈, 김면, 김천히, 김문해, 김상곤, 김인연, 김철, 김경방, 김수인, 김치인, 김찬인, 김정발, 김성필, 김응해, 김응회, 김응위, 김응원, 김일남, 김지혁, 김두창, 김지문 김시재 김시장 김성인, 김태형, 김태기, 김려랑, 김두광, 김수광, 김화채, 김진환, 김진혁, 김인익, 김취억, 김진욱, 김익창, 김왈수, 김동직, 김언택, 김하숙, 김시박, 김경준, 김흥태, 김성재, 김경덕, 김의열, 김시추, 김윤하, 김명례, 김성필, 김홍선, 김홍진, 김도풍, 김하상, 김주상, 김우상, 김규상, 김필상, 김의상, 김석상, 김종갑, 김복민, 김용갑, 김영수, 김기환, 김주용, 김관용, 김계용, 김용균, 김석구, 김우채, 김정오, 김낙진, 김한근, 김한봉, 김한장, 김종순, 김중기, 김철수, 김영욱, 김만술, 김기한, 김문학, 김한문, 김장한, 김창한, 김장명, 김병식

○군사공파 : 311명

김광서(고려.不出仕.), 김당, 김취, 김회윤, 김선, 김차손, 김후손, 김봉손, 김숙손, 김석현, 김석충, 김우, 김국주, 김세주, 김서운, 김서진, 김서규, 김서벽, 김희, 김선, 김쉬, 김개, 김복, 김광, 김경정, 김의정, 김백윤, 김중윤, 김영무, 김윤복, 김설복, 김만복, 김언복, 김인복, 김명복, 김유복, 김효침, 김효순, 김효사, 김효평, 김효길, 김충간, 김경순, 김응규, 김진복, 김장, 김현, 김섬, 김덕구, 김덕린, 김억일, 김중일, 김경명, 김준명, 김증, 김양, 김해, 김지, 김진경, 김산종, 김자겸, 김효남, 김취남, 김진남, 김력, 김즙, 김운학, 김여근, 김로, 김주, 김곡, 김우길, 김류, 김연, 김기, 김진길, 김정길, 김관길, 김이길, 김숭업, 김경허, 김경두, 김극온, 김극량, 김극관, 김극양, 김극명, 김극장, 김이겸, 김항, 김감, 김희수, 김흘, 김응구, 김윤주, 김석보, 김모동, 김동식, 김용열, 김유열, 김선열, 김후열, 김득열, 김상열, 김택량, 김택길, 김택효, 김택삼, 김지강, 김지겸, 김건, 김진해, 김급, 김인, 김의 김한추, 김용환, 김번, 김문, 김공, 김린, 김언, 김증, 김기, 김장, 김오, 김수, 김중, 김훈, 김방, 김보, 김시, 김저, 김신, 김절, 김창, 김세광, 김세융, 김세열, 김세량, 김세기, 김성철, 김진명, 김중백, 김용백, 김진백, 김중석, 김홍도, 김홍유, 김세후, 김진항, 김흥태, 김계문, 김수장, 김수강, 김수태, 김석좌, 김익좌, 김태좌, 김명좌, 김영기, 김재백, 김성, 김오, 김각, 김갑, 김무, 김후, 김참, 김회, 김잠, 김홍, 김후, 김하정, 김하서, 김한주, 김동구, 김황, 김공, 김린, 김효칙, 김수일, 김운종, 김방형, 김일항, 김덕서, 김덕부, 김덕희, 김덕손, 김덕몽, 김덕빈, 김덕렴, 김명항, 김관, 김상신, 김시련, 김익련, 김도만, 김석겸, 김인상, 김구현, 김수희, 김재, 김즙, 김환, 김억, 김영, 김전, 김건, 김격, 김욱, 김우, 김도명, 김종해, 김연장, 김계칠, 김동호, 김명두, 김운복, 김임, 김안택, 김덕중, 김득천, 김태문, 김득손, 김덕후, 김계한, 김태윤, 김종언, 김치각, 김의수, 김정하, 김명하, 김수민, 김이하, 김진하, 김풍하, 김두남, 김사하, 김진백, 김제하, 김주일, 김인형, 김서각, 김복하, 김기후, 김기선, 김명룡, 김홍조, 김학효, 김천주, 김정조, 김수한, 김상순, 김응상, 김복현, 김원진, 김백감, 김정활, 김기창, 김기종, 김옥, 김석황, 김태석, 김석열, 김홍석, 김해석, 김복환, 김성필, 김동규, 김대흥, 김용철, 김도묵, 김순묵, 김팔묵, 김한종, 김한필, 김한섭, 김한규, 김응현, 김원달, 김두일, 김양수, 김규수, 김두봉, 김재국, 김낙련, 김상만, 김낙섭, 김낙규, 김기욱, 김익상, 김낙인, 김낙린, 김낙룡, 김현상, 김낙상, 김진조, 김제진, 김낙두, 김낙철, 김낙기, 김연욱, 김낙희, 김낙종, 김원술, 김임술, 김봉술, 김학술, 김영선, 김이술

○소감공파 : 87명

김광신(고려.不出仕.), 김후, 김곤, 김선우, 김득청, 김윤기, 김윤려, 김국성, 김종, 김유, 김연손, 김개, 김련, 김봉수, 김응기, 김언서, 김덕복, 김윤, 김연, 김황, 김세호, 김광윤, 김용학, 김명행, 김순, 김성괄, 김성탁, 김성휼, 김성흘, 김광익, 김한우, 김방우, 김상우, 김탕우, 김득시, 김변, 김몽우, 김해, 김유, 김길, 김발, 김원룡, 김택룡, 김경룡, 김태룡, 김진룡, 김진, 김감, 김수휘, 김수관, 김수강, 김시일, 김태권, 김시건, 김헌민, 김정익, 김정만, 김정준, 김정우, 김정하, 김정서, 김정홍, 김석종, 김이봉, 김여옥, 김응한, 김흠, 김장, 김한규, 김동좌, 김문필, 김재복, 김여화, 김석재, 김인종, 김덕록, 김수영, 김수철, 김풍희, 김낙동, 김낙봉, 김낙하, 김낙몽, 김훈식, 김해첨, 김인애, 김현배

참조

신라

  • 대보공 : 휘 알지(閼智). 석탈해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금독백계(金櫝白鷄)신화도 있다.
  • 내물대왕 : 휘 내물. 마립간. 후계가 성골(聖骨)이다.
  • 태종 : 휘 춘추(春秋). 무열왕(武烈王)이라고도 한다. 후계가 진골(眞骨)이다. 묘호(廟號) 태종(太宗).
  • 경순대왕 : 휘 부(傅). 묘호(廟號) 경순(敬順). 박위응(신라 경애왕)의 생질(㽒姪.외조카.)로 즉위하였다.
  • 태자공 : 휘는 전하지 않는다. 칭호와 관련하여 비석훈고로써 일운(一云) 금부대왕(金富大王)이라 하나 적확하지만은 않다. 인제 땅에서부터 반란군을 성토하였고 능(陵)은 금강산에 있다. 동복 범공(단, 법명이다.이름은 덕지일 수 있다.)은 분파하였음.

고려

  • 동정공(同正公) 김공 휘경수(金景修) : 신라 왕국 경순대왕(大王諱傅)의 고손(高孫).벼슬하는 것이 의(義)라는 중니의 말과 같이, 처음 출사하였다. 고려 문종 때(1019~1082)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이부상서(吏部尙書)에 이르렀다.
  • 부령부원군 김공 휘춘(金春) : 동정공의 적자. 부령부원군(扶寧府院君)이 되었다. 문정공의 현조(玄祖)이시다.
  • 김공 휘인순(金仁順) : 문정공의 증조이시다. 문과. <<부령김씨과한록>>에 전한다.
  • 김공 휘작신(金作辛) : 경순왕의 8대손(八代孫). 문정공의 조부(祖考)이시다. 登二府한 뒤 기(畿)에서 부령(扶寧)으로 귀거하셨다. 문과. 경관(京官) 및 부령호장.
  • 복야공 김공 휘의(金宜) : 문정공의 부친(禰考)이시다. 상서복야. 1204년 문과 3위.
  • 문정공(文貞公) 김구 (고려)|김구(金坵, 1211년 ~ 1278년) : 초명은 백일(百鎰)이며, 자는 차산(次山)으로 호는 지포(止浦)이다. 부풍(扶風) 지지포(知止浦)는 <<대학>>의 장구 知止而後有定의 함의이다. 부령(부안) 김씨 중시조(中始祖)이다. 神童(고려사열전 원문)으로서, 시문(詩文)에 능했고 고종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평안북도 정주군 사록(司祿)에 보임되었으나, 동향 황각보(黃閣寶.내시.)의 고변으로 제주판관으로 발령나 1234년(고종 21)부터 1239년(고종 26)까지 재임하였다. 이때 역적 최이(최우)가 경사(京師)로 오길 권했으나 거절하였다고 전한다. 제주 형편이 밭은 적은데 괴석이 많고 이것이 호구의 경계를 넘나드니, 공이 나서서 바로잡았다. 이것을 제주에서는 '제주 돌문화의 은인'이라고 송덕(頌德)해 오고 있다. 원나라에 서장관으로 다녀온 뒤로는 8년 동안 한림원에 재직하였다. 문재로써 1263년(원종 4)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가 되었다. 이어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추밀원부사·정당문학(政堂文學)·이부상서를 역임하였다.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올라서는 문신들의 저술을 시험해 유능한 자에게 상을 주어 권장할 것을 건의하였다.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郎平章事)를 거쳐 1274년 충렬왕 즉위 뒤에는 지첨의부사(知僉議府事)·참문학사(參文學事)·판판도사사(判版圖司事)를 역임하였다. 원종 때 이장용(李藏用)·유경과 함께 신종·희종·강종 3대의 실록(實錄)을 수찬(修撰)하였고 문창좌상(文昌左相)이 되며, 충렬왕 때 《고종실록(高宗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녹상서사(錄尙書事)에 오르는 한편 충렬왕이 죽을 때 '탁고'가 되었고 사후에는 청환직인 '평장사'의 직함으로 국장(國葬)하여 명문사대부의 위세를 떨쳤다. 시호는 문정(文貞). 그는 가문의 대표적 인물로, 이부상서(吏部尙書) 김공(金公諱景修)의 6세손이다. 몽노(몽고 오랑캐)가 고려의 조공이 적다며 핑계를 댔을 때에는 문장으로써 이를 물리쳐 오히려 비단 등 사치품을 받았다는 일화가 있으며 통문관을 설치하여 역적 다루가치와 역적 강윤소를 벌하였다. 묘석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전 중인 것이 있으며, 전북 부안군 변산면 운산리에 재실인 경지재(敬止齋)와 묘동에서, 매년 음력 3월 1일에 향사 한다. 유허비는 전우(간재)가 썼다.
  • 문한공 김공 휘여우(金汝盂) : 시호가 충선(忠宣)으로, 문정공(文貞公) 지포선생의 장자이다. 문한은 문한학사로, 세보상 문한공으로 부른다. 충렬왕이 세자일 때 그와 원나라에 들어가 여러 어려움을 무릅쓰고 잘 보필하여 세자가 왕위에 오르자 단권(丹券)을 얻었다. 단서철권은 형벌에 면해지는 특전으로, 3대에까지 이르는 훈공(勳功)이다. 우리나라 역사상 특수(特殊)하게, 그 목판본이 현전한다. 경대부(卿大夫)로서 도(道)에 따라 유학(儒學)을 펼치는데 힘쓰고, 우탁(禹倬) 등과 경론을 나누기도 하였다. 유교 진흥에도 힘써 강릉안렴사(江陵按廉使)로 있는 서제(庶弟) 김승인(金承印)에게 학교 제도를 가르쳐 주면서 세우도록 권하였다. 이에 김승인이 강릉(江陵)의 서쪽 화부산(花浮山) 현적암(峴滴岩) 아래에 문묘(文廟)를 짓고 향교(鄕校)를 세우니 이것이 한반도 향교(鄕校)의 시초(始初)이다. 고려 때 문한학사, 형부상서(刑部尙書),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를 역임했으며 도동서원(道東書院)에 배향되었다. 형제 네명 모두(김종우, 김숙우, 서제 김승인) 급제하였다.
  • 제학공 김공 휘용수(金龍壽) : 고려에서 판삼사사(判三司事)·동지밀직부사(同知密直副使)·집현전대제학(集賢殿大提學) 등을 역임하였다.
  • 군사공 김공 휘광서(金光叙) : 문정공의 고손자로, 봉정대부 지고부군사까지만 올랐다. 우위보승중랑장 김인정(金公諱仁鼎)의 자(子). 역적 이성계의 난(易姓亂) 때 관직을 버리고 옹정(甕井)으로 가서 은군자(隱君子)가 되었다.

조선

창의일문칠절(唱義一門七節) : 한 문벌에서 창의하여 절품(節品)을 빛냄에 일곱 분이시므로 나라에서 국사(國士)의 도(道)로 추증 증직하였다. (唱은 `앞서 이끈다`는 뜻이다.) (선조실록 임진록 창의록 정조실록에 의함.)

  • 충경공 김익복 (당시 능성현령이었다가 행 영광군수로 순국.1598년9월~11월 예교전투(왜교성전투).) : 임진란 정유재란
  • 子 김류 (당시 학생이었다가 행 자제군관으로 순국.영광성전투.31세.) : 왜란
  • 子 김화 (당시 학생) : 갑자란 병자호란
  • 子 김연 (당시 진사) : 갑자란 병자호란 정사년 정축호란
  • 孫 김지순 (당시 참봉) : 정축호란
  • 孫 김지중 (당시 진사) : 정축년 진득 사건
  • 孫 김지백 (당시 교관) : 정축년 진득 사건


  • '고 영광 군수 김익복과 그의 아들 학생 류와 화, 진사 연, 그리고 그의 손자 참봉 지순, 진사 지중, 교관 지백 등 한 가문의 조(祖)·자(子)·손(孫) 7인이 대의(大義)를 일으키어 대절(大節)을 이룬 것이 임진·정유·갑자·병자·정사·정축년 사이에 늠름하게 우뚝한 것이야말로 고사에서도 듣기 어려운 일이다.` -1798년 기사
  • 임진-정유는 왜란, 병자-정축은 호란을 말하고 갑자는 역적 이괄이 군사를 일으켰던 때이다. 정사년은 이른바 인목대비 논란을 말한다.


—————————————————————————

'부안김씨 창의공신록' 휘에 병기한 관직은 창의안(唱義案) 당시를 따르고, 종보(宗譜)에 따라 파조(派祖)의 칭호를 적음. 대괄호는 알려진 최종관품을, 중괄호 안에는 청요직함을 기재하였음.


  • 직장공 김철
  • 자- 부위 김수인 [정로장군]
  • 자- 사의 김득인(호: 득재)
  • 자- 봉사 김우인


찰방공 김광 [중직대부] {행창락도찰방}

  • 자- 능성현령 김익복 [증이조판서] {행영광군수} (호: 금릉. 정유년에 왜노의 본성인 순천왜성을 공격.)
  • 손- 주부 김해(호: 퇴우당)
  • 증손- 직장 김이겸(호: 무송)
  • 손- 행동몽교관 김류 [증조봉대부](자는 達源. 영광성 전투에서 박전하여 순국.)
  • 손- 장사랑군자감참봉 김화 [증통훈대부] {증사헌부집의} (호: 재간당)
  • 증손- 장사랑경릉참봉 김지순 [증통훈대부] {왕자사부} (호: 담암,용암舂巖)
  • 손- 행동몽교관 김연 [증조봉대부] (호: 도촌거사)
  • 증손- 행동몽교관 김지중 [증조봉대부] (호: 백암)
  • 증손- 동몽교관 김지백 [증통훈대부] {증사헌부집의} (호: 담허재.)
  • 자- 생원 김태복 (호: 옹정. 임진년 창의. 영광성 수호.)
  • 손- 현감 김단(호: 수분와)


  • (병조판서) 김홍원 [증자헌대부호조판서(고종1년 추증)] {나주목사} (호: 해옹)
  • 자- 부사 김명열


  • 학행천참봉 김정길(초명 김정하. 교리공 9대손. 곧 죽계공의 子.)


  • 통덕랑 김택량


  • 군사공팔대손 김권 (호 : 강암(剛巖). 참봉 김정길의 조카. 병자년 창의 후 청주까지 북진.)


소감공구대손 김한우

  • 자- 부사 김원룡
  • 자- 부사 김승백


소감공구대손 김탕우

  • 자- 주부 김기룡


좌랑공 김응추

  • 자- 응교 김경덕
  • 자- 진사 김경장


  • 참봉공 김영무
  • 자- 참의 김억일
  • 손- (좌찬성) 김극온
  • 자- 주부 김중일
  • 손- 우후 김극신

————————————————————————


  • 승지공(承旨公) 김공 휘직손(金直孫, 1437년 ~1493년). 자는 자윤(子胤).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 회윤(懷允)의 아들이다. 1463년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469년 추장문과(秋場文科)에 급제하고, 1472년 검열(檢閱)로 기사관(記事官)이 되어 《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당시에는 명문청류가 아니면 예문관에 특히 가지 못하였다. 병조정랑을 지낸 뒤에 겸교수, 삼사(三司.言官.) 등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거쳐, 한산 군수(韓山郡守)로 수령이 된 후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에 이르렀다. 도승지공. 1472년, 언관으로서 각사(各司.삼사 등의 행정관청.)의 비위를 척간하였다. 정언(正言) 시절, 역적 유자광과 간신 이극돈의 주장에 맞서 김일손의 처사가 마땅하지 않다고 지적하기도 하였다. 역적간신 이유양노에 대하여 직첩을 환수하자고 건의한 것은 실록에 직접있다. 또한 언관으로서 서경거부권을 행사하여 안중좌, 홍이로 등의 임명을 거절하였다. 사림에 있어서 김종직 등의 화가 미치는 것을 경계하였고 사족의 예법을 잔반들에게도 일러주었다. 운강 김계의 왕부(王父.祖.). 신도비문은 이이가 썼다.
  • 김공 휘숙손(金淑孫) : 통훈대부(通訓大夫). 영동현감, 행임실현감(行任實縣監), 보성군수 등을 지냈다. 부친은 이도(세종) 때의 첨지중추부사 김공(휘 보칠. 중화군수.문무겸비.일운 문무과입격.)이다. 그에 따른 음직으로 관직(감찰 등)을 시작하였다.
  • 옹천(瓮泉) 김공 휘석홍(金錫弘) : 1473년(성종 4)∼1546년(명종 1). 조선 전기의 유신. 자는 대이(大而). 1493년(성종 24) 21세 때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 1454∼1504)과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 1450∼1504)을 찾아가 이기설(理氣說)을 담론하였다. 1504년(연산군 10)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조광조(趙光祖: 1482∼1519)와 함께 수학하였다. 이때 조광조와 김안국과 교의하였다. 1511년(중종 6) 성균관에서 유생 중 가장 뛰어난 사람을 조정에 추천할 때, 조광조‧황택(黃澤)과 함께 천거되었다. 1516년 다시 천거가 있었으나(조광조의 추천) 나아가지는 않았다. 또 1517년 전라도 관찰사 조원기의 추천이 있었다. 1518년 유일(遺逸.과거를 거치지않고 고관에 임용되는 것.)로 관직을 시작하였다.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가 일었을 때 조광조와의 교분을 들어 스스로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서 수양에 전념하였다(대과를 버림). 1529년에 다시 조정으로 나와 사헌부 감찰, 횡성현감, 한성판관 등을 역임하였다. 1544년에 춘추 72세로, 고령이었는데 이역(1506~1544 재위)이 利民의 情을 들어 수안군수에 제수하였으니, 옹천공의 관작을 수안군수로 삼가 적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후, 이조참의(吏曹參議)에 추증(追贈)되었고, 1718년(숙종 44)에 전라북도 부안(扶安)에 있는 도동서원(道東書院)에 배향되었다. <<옹천학문요집>> 2권이 전한다.
  • 옹촌 김공 휘석량(金錫良) : 사직공(휘 후손)의 자(子). 자는 익경(翼卿)이다. 1516년 사마에 들었다. 옹천공의 종제로, 군자동(君子洞)에서 병칭되었다. 현량과에 들었으나 기묘피화로 환직(宦職)을 일체 버렸다.
  • 매죽헌 김공 휘석옥(金錫沃) : 1477~1535. 자는 옥이(沃而). 승지공의 아들로, 외조부는 감찰 윤등준이다. 1513년 생원(生員)이 된 뒤 더이상의 명예를 구하지 않았다. 1518년 형인 옹천공이 유일로 징소되었을 때 권하여 나아가게 하였다. 변산에 은거하니 천하인(天下人)이 신선으로 여겼다. 김안국이 공을 '군자'라 칭하고서 감읍하였음(이때 고을이름이 군자마을이 됨). 증가선대부호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 17세에 황고(皇考) 증도승지사도시첨정한산군수김공께서 돌아가시어 3년 거상(居喪)을 마치고 어머니 숙부인 윤씨(本해평)께 효를 바쳤다. 친형 옹천공이 어머니를 걱정하여 조정의 거현원능(擧賢援能)을 거절하려 하였으나, 말리었다. 자식을 훈계할 때 <효제 청렴 검약>의 부령김씨 가풍을 실추하지 않도록 하였다. 신도비는 기대승이 썼다. 희, 선, 점, 계, (만)을 낳았으며 운강공 8세 때에 선어(仙馭)하시다.
  • 교리공 김공 휘석필(金錫弼) : 조선전기의 문신. 자는 공언(公彦). 지평공(指平公諱次孫)의 아들. 조부는 직장공(휘 회윤). 공신녹권(功臣錄券)이 현전한다(<중종반정에 협찬한 공으로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 1등에 책록된 이조정랑 김석필의 것이다. 1507년(중종 2) 책의 형태로 편성, 초주갑인자로 인쇄.>). 이때 습독공(공의 형님.휘 석현.), 승사랑공(공의 동생.휘 석충.) 역시 정국원종공신 1등(cf.1등녹훈은 3대증직과 대가, 음공의 혜택을 갖는다)에 책록되었다. 벼슬은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 대교(待敎), 이조좌랑, 이조정랑 겸 수찬관(吏曹正郞兼修撰官)을 역임하였다.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응교(應敎), 한림(翰林), 설서(說書)를 지내고, 외직으로는 전라도도사(全羅道都事), 옥천(沃川), 의성(義城.1509년9월5일 고신 현존.봉정대부행의성현령), 덕원(德源), 강릉(江陵)의 수령(守令)을 지냈다. 덕원(德源)에 도호부사(수령.종3품.)로 재임 시에는 청환(淸宦)이었다고 여지승람(輿地勝覽)에 기록되어 있다. 다만 관작을 삼가 적을 때에는 청직(淸職) 홍문관 교리직을 가장 먼저의 것으로 한다. 부령김씨의 조종세족에 관하여 가장 처음 휘찬하였다.
  • 사인공(舍人公) 김공 휘서성(金瑞星) : 1497(연산군 3)∼1548(명종 3). 청수재(淸修齋). 또는 청수길사(淸修吉士). 자는 응경(應卿)으로 할아버지는 병조정랑 직손(直孫)이고, 아버지는 수안군수(遂安郡守) 석홍(錫弘)이다. 1525년(중종 20) 식년문과 을과로 급제하고, 승문원에 들어가 저작·박사를 거쳐 형조·공조의 좌랑이 되었다. 이어 호조·예조·형조의 정랑을 거쳐 1538년 지평이 되었다. 이듬해 장령이 되었고 집의·문학·필선 과 의정부사인 등을 지냈다. 위에서부터 줄이고 명분없는 소비를 하지 말 것을 지적했다. 1544년에 사재감정(司宰監正)을 맡았던 것은 중종비가 죽어서였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부지런하였으며, 기량이 원대하여 명리를 탐내지 않아 청렴결백한 선비로 널리 알려졌다. 언관.
  • 매죽당(梅竹堂) 김공 휘종(金宗) : 1471(성종 2)-1538(중종 33). 호는 매죽당(梅竹堂)으로 조선전기의 유학자이다. 자는 사앙(士仰). 군수 김숙손(金淑孫)의 아들이며, 정언 김직손(金直孫)의 조카이다. 19세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가 일어나 당대의 명사들이 대거 화를 당하자 과거를 치워버리고 향리인 부안으로 돌아가 은거하였다. 성리(性理)를 깊이 탐구하는 등 학문에 전일(專一)했다. 이혈(조선 성종)이 그 어짐을 새겨듣고, 매죽(梅竹)을 그린 술잔에 무늬를 입혀 '우리나라에 군자(君子)는 오직 김종(金宗)뿐이다'라고 하였다. 상을 당하였을 때 가례(家禮)에 따라 삼년 여묘(廬墓)를 마쳤으며 더위와 추위에도 의대를 풀지 않는 등 성리학적 예절을 직접 실천하였다. 김식(金湜)이 천거 하였으나. 끝까지 나가지 아니했다.
  • 장수공(長水公) 김공 휘수복(金壽福) : 통정대부(通政大夫) 의정부사인 전행 성천도호부사(議政府舍人前行成川都護府使) 청수재공의 자(子). 1546년 14세의 나이(cf.김종서 가 생원을 16세에 입격. 이이가 29세에 생원1진사42로 양시.)로 생원시에 입격하였다. '경향이 진동하였다'고 기록한다. 자는 영수(永綏)이며 청암찰방, 장수현감 등을 역임. 교리공의 世譜 이후, 찰방공이 주축이 된 현전 最古의 갑신보의 발간에 공이 있었다.
  • 운강(雲江) 김공 휘계(金啓) : 1528(중종23)~1574(선조 7). 조선의 문신. 자는 회숙(晦叔). 또, 형언(亨彦). 호는 운강(雲江), 운강(雲岡), 운보(雲甫), 운부(雲夫). 정언(正言) 직손(直孫)의 손자. 가선대부. 헌납(獻納)을 거쳐 1571년(선조 4)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갔다가 귀국 후 동래 부사(東萊府使)를 지내고 1573년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承文院副提調), 충청병사, 다시 어전통사를 위하여 경관직으로서 동지중추부사 겸 한성우윤이 되었다가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이르렀다. 사헌부 헌납으로 매사에 게으른 이역놈(이조의 중종)에게 직접 질타를 주니 이역이 매우 부끄러워하다 또다시 경연에 나가지 않았는데, 뭇 청요현관과 유생이 들고 일어나 운강공의 말씀이 곧 언관의 본이라 추칭하니 이에 이역이 들은 체 하였다. 곧바로 함경북도 경성판관으로 발령났다(이 때에 朔方遊憂로써 공께서 㽽疾을 얻으셨는가 삼가 추측한다). 사관이 이 일을 실록에서 쓰기를 이역이 매우 한심하다 하였다. 국공(國功)을 세워 삼대(三代)가 추증 증직 되었다. 명에 갔을 때 그 주씨(주원장의 핏줄들)가 운강공의 용모를 모사케 하여 각국 사신에게 자랑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황(李滉)·김인후(金麟厚)·기대승(奇大升)·이이(李珥) 등과 도의(道義)를 강론(講論)했고, 백광훈(옥봉)이 학형으로 모셨다(-題金晦叔橫灘圖). 문무(文武)를 겸비하였다. 부안의 도동서원(道東書院)에 제향(祭享) 되었다. 이연(조선 선조)이 기묘년의 일에 대해 이황에게 물었을 때 그가 어물쩡거리자, 좌승지(통정대부.정3품당상관.담당:호조.)로서 대의를 진설하여 역적 남곤, 역적 심정을 추탈하게 하고 기묘명현 모두를 복권하게한 일은 두고두고 매우 유명하다. 형 척심정 김점의 딸과 기대승의 장남(기효증)이 혼사를 맺었고 척심정의 아들(김효사.金孝思.독자.)이 또 기대승의 동생 기대절의 딸과 혼약을 하였으니 이 또한 <<논어>>의 귀구(<公冶長>- 南容을 以其兄之子妻之함)와 같았다. 공의 황해감사 시절, 공복이 없는 유희춘(미암)에게 공복을 사주어 위로하였다. 고봉(기대승)과 막역하였다.
  • 척심정(滌心亭) 김공 휘점(金坫) : 매당(梅塘). 자는 경숙(敬叔). 이항(이기일원론 주장.本성주.)의 문하에서 인재로 꼽히었으며 동문수학한 김천일(건재.本언양.), 김현룡 등과 친분이 있었다. 명종 대에 사마시에 입격하였다. (뒤에)사화가 일어 과문은 (더이상) 짓지 않았다. 후에 천거로 연은전참봉을 지냈다. 기대승, 김인후와 도의를 강론하였으며 망제산 오공동(현 정읍시 농소동 일원)에 척심정유허비가 지금도 전한다. 정읍 남고서원에 배향되었다.
  • 나주공 김공 휘홍원(金弘遠) : 1571~1645. 호(號)는 해옹(海翁), 자(字)는 이중(而重)으로 증호조참판 김공(金公諱景順.前部將.승사랑공휘석충의 孫.)의 자(子)이다. 진사(동년-권극중강항정홍명 좌주-이산해등)로서 통정대부 정3품 당상관이 되었다. 문과 초시에 합격하였을 때 조부 참최를 당하였고 부친께서 위독하셨는데, 임진란이 일어나자, 대과(복시.240명중 33명 선발)를 버리고 엄부배천(嚴父配天)하는 한편, 삭방으로 도주한 이연(조선 선조)에게 의곡을 전달하였다. 재조지은(再造之恩)이라 칭해지는 우군(주씨의 부하 유정이 도착하였음.)이 왔을 때에는 진정한 장수라 칭해졌다. 금산군수(특전ㅡ표리일습), 나주목사 등을 지냈다. 出將入相. 변산 해산정은 공의 정자이며, 이식 장유 정홍명(정철의 자식.소모사.정철의 從현손도 연관이 있다.) 이수광 조위한 권극중 심명세(심의겸의 종손.) 등과의 간찰이 다수 전한다. 왜란 때의 '호남김홍원 영남곽재우 수전이순신 육전정기룡'은 공(公)을 말한다. 반정으로, 광해(이름: 이혼)때의 역적 이이첨이 족멸되고 '되놈에게 무릎꿇은 이종(조선 인조)'이 자리를 차지하게 되면서, 임란에도 나서지 못한 줏대없는 자들이 언관을 참칭하여 군자유붕론 및 붕우지도(朋友之徒.同門同志之道)를 곡해하려들더니 기어코 종이(조선 인조)의 말년에 해옹공의 추숭(追嵩)이 일어 그 차남 이호(조선 효종) 때 과연 가선대부(가선대부병조참판동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부총관) 추증이 있었다. 또한 후예인 봉구(鳳九)가 면대(面對)하여, 대한제국 원년, 자헌대부(資憲大夫戶曹判書)의 추증이 있었다. 아들은 내직으로 이조정랑 등을 지내고 외직으로 부사 등을 역임한 김명열(金公諱命說.字君甫.)이다.
  • 김공 휘명열 : 나주공의 자(子). 용열, 유열의 형. 부사 등을 지냈다. 1669년 11월 11일 후(后.후대사람들.)에게 명(命)하여 종가법을 최초로 다시 세웠다. 조선 후기에 공고해 지기 전까지 양반은 전부 윤제(輪祭.제사를 윤행함.)에 미쳐있었는데 이를 천명한 것이다. 김번, 김문(金璊)은 공의 아들이며 김수종은 공의 손자이다. 훈공으로 대가(代加)해준 것이 많으며, 황주판관 시절의 공으로 둘째 김문에게 관직을 제수한 것 등은 그 공문서 자체도 현존한다.
  • 죽계(竹溪) 김공 휘횡(金鋐) : 1541년(중종36)∼1590년(선조23년), 호는 죽계(竹溪)이며, 자는 여기(汝器)로, 주부(主簿) 경정(景貞)의 아들이다. 1573년(선조6) 33세에 동족과 연벽(聯壁.)하였고, 자신은 그 해 진사시 장원(동기- 진사39윤승훈, 진사53김직재), 생원시 아원(동기- 생원27이요신,생원64이광정,생원84홍이상)으로 양시(兩試)하였다. 오직 학문에만 힘썼는데 홍이상(洪履祥), 이정구(李廷龜) 허진동(공의 처남이다.)과 도의로 사귀었다. 만년에 학행으로 천거되어 선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벼슬길에 나가지는 않았다. 홍성의 김복한이 판곡마을에 유허비각을 세워드렸다. 유천서원(柳川書院)에 제향(祭享) 되었다. 참고로 공의 형님(諱銓)과 동생 모두(叔弟 銘.季弟 鋏.)가 사마(司馬.白牌.)에 들었다.
  • 직절공 김공 휘치원(金致遠) : 매죽당공의 증손으로, 자는 사의(士毅). 호 : 탁계(濯溪). 공은 21세인 1592년에, 의군으로서 왜선을 차단하여 국기(國氣)를 세우고 사근도찰방에 임명되었으나, 가지 않았다. 1603년 문과, 검열겸춘추관기사관, 정자, 감찰이 되고서 정언까지 올랐다. 병략에 능하여 행충무위부사과, 부호군 등을 지냈다. 이종 시기(조선의 인조 5년) 서흥부사가 되었다. 청계서원에 모셔졌다. 정언 시절 이혼(조선의 광해)을 매우 꾸짖었다. 척사(斥邪)의 명성이 컸다.
  • 화곡(火谷) 김공 휘명(金銘) : 1545년(인종1년)∼1619년(광해11년), 자는 여신(汝新)이며, 호는 화곡(火谷) 이다. 죽계(竹溪) 김횡(金鋐)의 아우로 학행이 뛰어나 율곡(栗谷) 이이(李珥),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과 도의지교를 맺었으며, 망암(望庵) 변이중(邉以中)과 서신으로 학문을 논하였다. 생원·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였으나, 임진왜란을 만나 장성 문암리에 은거하였다. 저서로 <화곡선생유고(火谷先生遺稿)>가 있다. 유천서원(柳川書院)에 제향(祭享) 되었다. 전남 장성군 북일면 문암리 제암마을에 「화곡김공유허비(火谷金公遺墟碑)」가 서있다. 장성으로 거처를 옮긴 뒤 화곡정을 짓고 작시(作詩)했기 때문. 이이(1537~?)가 공을 그리워하며 천경수(千頃水)에 비유하였다. 친형 죽계공과 가까웠던 이정구가 공이 벼슬길에 나오기를 부탁하였으나 거절하였다. 명문 <부풍관 상량문 (扶風館上樑文)>과 <부안향교명륜당상량문>이 전한다. 임진년 재최상을 당하였을 때에 모친의 시신을 업고 고개를 넘었다하며 3년 시묘 중 '至行孝友敦學奬後(행실 중 지극한 것은 효제이고, 학문 중 도타운 것은 양성에 있다)'라 칭해졌다.
  • 찰방공 김공 휘광(金光) : 중직대부. 제용감직장, 행창락도찰방 등을 지냈으며 1584년 갑신대동보를 발간하였다. 공의 장남 진복(金震福)은 문음으로 나아가 좌랑이 되었고 아들 5형제 중 중자 승복(지봉 김승복)은 선조 6년에 생원으로 숙자 익복(충경공 김익복.<<금릉유고>>.)과 함께 연벽하였다. 계자 태복은 선조18년에 생원으로 방목에 기재되었고 유자 정복은 22년에 진사에 올랐다. 또한 자(子)-손(孫)-증손(曾孫)의 열 한 분이 모두 창의공신이다. 부친 옹촌공(휘 석량)의 묘지명은 조식이 썼다. 이 집안은 특히 후대에 삼세칠절(三世七節.3世7忠.)이라고 통칭된다.
  • 김공 휘수인(金守仁) : 아버지 직장(直長) 김철(金鐵)과 함께 임진왜란(壬辰倭亂.1592-1597) 때 공을 세워 정로장군(定虜將軍)이 되었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1597-1598)때 전사하였다. 조부 가선대부 김공(휘 훈)이 임진년에 창의하여 녹훈되었으며 아버지 직장공(휘 철. 호: 운오) 또한 임진년에 창의하였다. 김천일의 진중으로 향하던 도중 진주성이 함락되어 애통함에 지은 시가 현전한다(여기서 김천일을 극념옹이라 불렀다). 부친 직장공은 기축옥사(정여립의 난을 정철이 꼬투리 잡은 일) 뒤로는 더욱 환해(宦海)를 멀리하였다고 한다.
  • 득재 김공 휘득인(金得仁) : 1585~1655. 통정대부. 조선 중기의 무신. 정로장군(定盧將軍) 김수인(金守仁)의 아우이다. 무과에 급제,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에 아우 우인(友仁)과 함께 강화도로 왕을 호종하였으며, 장례원사의에 임명되었다. 병자호란 때에는 아우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공주의 차령(車嶺)에 이르러 소모사(召募使) 정홍명(鄭弘溟)과 합세하려 하였으나, 강화 체결의 소식을 듣고 통곡하며 돌아왔다. 참고문헌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충경공 김공 휘익복(金益福) : 1551∼1598. 자는 계응(季膺)으로, 사직공의 증손으로서 옹촌공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중직대부전행창락도찰방 김광(金光)이다. 어려서 노진(盧禛)에게 수학하고, 김장생(金長生)과 학문을 논하였다. 1573년(선조 6) 동족인 죽계공 횡, 친형 승복과 더불어 생원에 1등 4위로 입격하고 158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좌랑,도사·군수를 역임하였다. 1592년 왜란이 일어나자 영광군수로, 전 현감 임계영(任啓英)과 함께 인근의 여러 고을에 격문을 돌려 의병을 모아 여러 차례 전공을 세우고 결국 군중에서 전사하였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경(忠景)이다. 통칭 김능성(金綾城). 임진란 당시 능성현령이었는데 남원부사 윤안성이 '본도는 팔도의 으뜸인데 곽재우 같은 의병이 없는 것이 애석하다'며 은진에서 격문을 돌렸는데, 이미 충경공이 사세에 응하여 창의한 뒤였으므로 '족히 이곳에 인물이 있다'라고 칭해졌다. 충경공, 임계영, 박광전, (양대박)을 임진왜란 최초 창의군으로 본다. 경상-충청이 차례로 무너진 일과 호남의 길목을 지켜 '영남사람이 일삼은 도망(이틀만에 모든 길을 내어주고 나흘만에 모든 성이 뚫린 것을 가리킨다)'을 징죄하야 다시는 왜적을 상대로 허둥대는 일이 없어야함을 지적했다. 지금 남보다 먼저 창의하는 것은 양심(良心)을 흥기(興起)시키기 위함이라고 하였다. 호가 금릉(金陵)으로 전하며 성주와 개령을 지키고 금산-무주 간의 왜적을 막았다. 정유란 당시 慈侍下로서 이미 大喪 중이었는데 다시 토왜출사하였다. 이때 권율이 달려와서 부친상인 것을 들어 '효는 대도'라 만류하니 공이 답하였다. '충이 효도이다'. 전라남도 나주 충장사(忠莊祠)에 배향되었다.
  • 재간당 김공 휘화(金澕) : 충경공의 이남. 도촌 김연의 형으로, 자(字)를 도원(道源)으로 한다. 1571~1645. 두류산 서쪽 기슭에 재간당을 지어 소요하였다. 역적 이괄의 난과 호노(胡奴)의 준동 때 창의하였다. 생원-진사를 동시 입격하였으나 모든 벼슬을 거부하였다고 전한다. 그런데도 국난에 임하여 일문칠절의 일로 사헌부 집의에 증직되었다. 남원 요계사에 배향되었다. 알려진 기록으로, 왜란 때 공을 세운 유몽인(1559~1623)이 두류산(지리산) 재간당을 방문해 헌시한 것이 있다. 아들 김지순은 공의 동생 도촌거사와 함께 창의하였는데 훗날 70세의 나이로 3년 여묘(이를 七耋廬墓라 한다)를 하여 전라도 유생 김의집 등이 조정에 탄원하였다.
  • 도촌 김공 휘연(金沇) : 1596~1661. 증이조판서충경김공의 삼남. 자는 장원(長源)으로, 광해(이연의 자식.이혼.) 때 생원시 1등 5위로 입격하였으나 폐모사건이 발발하여 대과를 버렸다. 아들 김지명(진사시아원), 김지성(정랑), 김지중(사마겸중), 김지백(생원시부장원)이 모두 문명이 있었다. 딸은 병자호란 때 최명길을 탄핵한 이상형(천묵재)의 아들(이문원)과 혼인하였다. 봉현사에 제향되었다. <유두류산기>를 남기기도 한 담허재 김지백(심통성정설을 주창하였다. 김집의 수제자)의 부친.
  • 양망재 김공 휘지명(金之鳴) : 자는 자겸(子謙). 김충경공의 손(孫). 남원 금릉(충경공의 호 또한 금릉이다.)에서 출생하여 1639년 기묘식년사마시 진사 부장원으로 입격(入格)하여 학문에 잠심(潛心)하니 유호덕하여 세인이 복종하였다. 중부 재간당공께 수학하였고, 황진 이복남 이원춘 등의 선행을 조정에 알렸다. 양망유고가 전한다. 남원 절의사에서 제향.
  • 담허재 김공 휘지백(金之白) : 1623~1671. 조선 중기의 홍유(鴻儒). 자는 자성(子成)으로, 신독재 김집에게 나아갔으며 1648년 생원이 되고 덕행으로 교관에 천거되었으나 가지 않았다. 또, 진사가 되었다. 1667년 제주 임인관 사건이 일어났을 때 중형(仲兄) 김지중과 함께 간하였다. 평생 명나라 숭정(崇禎)의 연호를 썼으며 문장이 아담하기로 이름 높았다. 담허재집에 한시 167수 및 과문(科文) '사자입언(四字立言)'과 논고 심통성정(心通性情) 등이 수록되어 있다. 동년(同年) 4인 등과 두류산을 유람한 후 지(識)를 남기니 곧 <유두류산기>라 하였다. 용성(남원) 출신이다.
  • 퇴우당(退憂堂) 김공 휘해(金垓) : 자가 여후(汝厚)이며, 호는 퇴우당(退憂堂)이고 본관은 부안(扶安)이다. 문정공(文貞公)의 후예이며 기묘명현(己卯名賢)인 증이조참의(贈吏曹參議) 옹천 김석홍(甕泉 金錫弘)의 증손이자 의정부사인(議政府舍人) 청수재(淸修齋) 김서성(金瑞星)의 손자로, 장례원판결사(判決事) 김의복(金義福)의 삼남(壤의 弟.)으로 태어났다. 그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더니 그 일이 부안읍 옹정으로부터 조정에까지 알려져서 효우와 학행으로 천거되어 직장(直長)에 제수되었다. 1592년(선조25)에 왜노가 참람되이 날뛰어 이연(선조)이 용만으로 내빼게 되었다(몽진.)는 소식을 듣고 서울로 당도하야 용만까지 호가하였다. 난 후에 그 공으로 호성원종일등공신(扈聖原從一等功臣)에 녹훈되었다. 그리고 1624년(인조2)의 이괄(李适)의 난에도 이종(인조)을 지켜주어 장악원 주부(掌樂院 主簿)에 오른다. 1627년(인조5)의 정묘호란에도 군졸과 군량(軍糧)을 모았으며, 1636년의 병자호란(丙子胡亂)에는 이미 나이가 74세가 되는 고령이어서 그의 아들 이겸(以謙)을 시켜 병량을 모아서 군진으로 보낸다. 이혼(광해) 때에는 치사(致仕)하고서 퇴우당(退憂堂)이라 편액을 걸고 집중(執中.합당한 도리를 지킴.)하였다. 1637년에 75세로 훙거하니, 고을의 사람들이 충효를 경모하여 도동서원(道東書院)에 추배 드렸다. 묘소는 부안군 주산면 소산리 일원이며 후대가 이 소산리를 중심으로 하여 세거하고 있다. 직계(直系)는 헌술(憲述).
  • 무송 김공 휘이겸 : 1630(인조 8)-? 조선후기의 충신. 자는 자익(子益), 호는 무송(撫松). 본관은 부안(扶安), 부안 옹정(扶安瓮井)에서 태어났다. 퇴우당(退憂堂) 해(垓)의 자(子). 정묘호란(丁卯胡亂)에는 부친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 병자호란(丙子胡亂)에도 의병을 일으켜서 올라갔다. 퇴우당공과 함께 원종공신(原宗功臣)에 녹하였고, 직장(直長)에 제수 되었다. [참고문헌] 부안군지, 전라문화의 맥과 전북인물
  • 수분와(守分窩) 김공 휘단(金湍) : 일명(一名) 김설(金渫)이다. 자는 백급(伯汲)이고 호는 수분와(守分窩)이며 옹촌(甕村) 김석량(金錫良)의 증손이다. 송준길(宋浚吉), 송시열(宋詩烈) 등과 교우하였다. 부안(扶安) 옹정서원(甕井書院)에 제향(祭享) 되었다. 송준길의 천거로 참봉(參奉)을 거쳐 회덕현감(懷德縣監)을 지내는 중 백성들이 공의 청렴과 인애(仁愛)를 흠모하여 유림이 조정에 탄원한 기록이 전한다. 이때에 수분와 선생이 신령현감을 거쳐 회덕에 당도하였다가 소인배(충청도안찰사)를 거스르고 관직을 버렸다(1656.1.16~1656.10.19). 송준길이 회상하길, 내가 ‘공의 정사가 깨끗하고 근엄했는데도 파직당했으니 매우 억울하다.’는 내용을 진달하니, 마침 함께 입시했던 그때의 안찰사가 부끄러워하며 사과해 마지않았다. `인자한 은혜는 부녀들도 칭송했고\깨끗한 덕은 성상도 알아주셨지요\지난 일 모두 꿈만 같으니\덧없는 인생 슬플 뿐이오\남쪽에서 한줄기 눈물\선인(善人) 위해 거듭 흘리오` 라 하였다.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의병을 일으켜. 창의록(倡義錄)에 수록되었다. 김여옥(金汝鈺)이 공을 ‘한 고을의 뛰어난 선비이자 당대의 큰선비(一鄕善士 當代鴻儒)’라 하였다.
  • 농암 김공 휘택삼(金宅三) : 1619년(광해11년)∼1703년(숙종29년), 호는 농암(聾岩)으로 아버지는 참봉 김곡(金穀)이다. 자(字) 계용(季用). 우암(尤庵) 송시열(宋詩烈)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性理學)에 능하였으며, 우암의 저서 <주자차의(朱子箚疑)>를 교정하였다. 조행(操行)이 매우 높아 명사들만 교류할 수 있었다. 또 유형원과도 친하였다. 저서로 <<聾岩遺稿>>가 있다. 부안군 보안면 영전리 유천서원(柳川書院)에 제향(祭享) 되었다. 1699년 승정원일기에 공이 산수(傘壽)로서 세찬(歲饌) 받은 일이 기록되어 있다. 송시열의 수제자로, '관수당 마농암'이라 칭해졌고 이것은 순창에 위치한 한학당 앞에 암각석으로 현전한다(송시열이 제자의 정자를 방문하여 쓴 것. 당시 동생 송시걸이 순창군수이기도 하였다).
  • 오우당 김공 휘순협(金舜協) : 농암공의 자(子). 선혜낭청(선혜청의 관직. 낭청.) 등을 지냈다. 유명한 <<오우당연행록>>의 저자이다. 청의 괴수(魁首) 앞에 가서 山海關 세글자를 쓰고 용연(龍硯) 등으로 바꾸어왔을 정도로 명필이었다.
  • 만은 김공 휘일좌(金日佐) :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여해(汝諧), 호는 만은(晩隱), 본관은 부안(扶安)이다. 김문정공(金文貞公.平章事文貞金公.)의 혈예(血裔)이면서 진사(進士) 응별(應鱉)의 현손이며 근(瑾)의 아들로 부안에서 태어났다. 1693년(숙종 19) 30세로 문과(文科) 식년방(式年榜)의 을과(乙科) 제4인으로 급제하였다. 그로부터 벼슬길에 나아가서 성균관(成均館)의 학유(學諭), 학록(學錄), 학정(學正), 박사(博士), 사예(司藝), 직강(直講)을 두루 거쳤고 이어 공조좌랑(工曹佐郞), 이조좌랑(吏曹佐郞), 예조좌랑(禮曹佐郞)을 지냈다. 사헌부(司憲府)의 지평(持平), 사간원(司諫院)의 정언(正言), 공조(工曹), 호조정랑(戶曹正郞)을 지냈고, 다시 예문관(藝文館) 시강원(侍講院), 회덕현감(懷德縣監), 사헌부 장령(掌令), 횡성현감(橫城縣監), 이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1722년(경종 2)에 병으로 졸하니 향년이 59세였다. 횡성현감 시절, 애민(愛民)이 때에 맞아 향인들이 송덕비를 건립하였다. 그가 태어난 칠성암(七星庵) 아래 마을에 전하여 오기를 산천이 빼어나서 3문장이 나온다고 하였는데 과연 만은 김일좌(金日佐)와 월파 최경(崔勁), 화순 송래백(宋來栢)의 3문장이 나와서 세상을 울렸다. 젊어서는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을 찾아 그 문인이 되었는데 우암이 그를 매우 사랑하였다.
  • 담계(澹溪) 김공 휘서경(金瑞慶) : 자는 길부(吉夫)이며, 호는 담계(澹溪)이다. 김윤필(金胤弼)의 아들로 유형원(柳馨遠.磻溪.)에게서 수학하였다. 부안군 상서면 원촌리 동림마을 동림서원(東林書院)에 제향(祭享) 되었다. 김공은 유형원의 학문적 계승자로, 어린 시절 고대 동양 역법의 기초이론 '기삼백'을 혼자서 풀어내는 수리 능력을 보였고 십팔사략의 반절을 읽어 이내 터득했으며, 7세 때 소학을 통독, 모든 행실을 꼭 같이 하였으므로 '판본(板本.책.)'이라 칭해졌다. 그는 스승을 갖은 후부터 대학의 격물치지, 논어의 박문약례, 중용의 박학-심문-신사-명변을 학문 목표로 삼고 자연히 과거공부를 멀리하였다. 권대제와 김오랑이 공을 천거하였으나 '나이 어린 유생이 관직을 가지면 학문에 방해가 된다' 말한 후 거절하였다. 부친의 권고로 향시를 쳐 1등1위로 합격 다음 성균관으로 들어갔다. 34세에 거세(去世)하였다. (자세한 사항은 '담계 김서경의 반계학 계승과 경세의식'이라는 논문을 참조할 것.) 담계공 후예들에 의하여 <<담계유고>>가 발굴되어 전북향토문화연구회가 번역을 맡아, 우리나라 학계의 유형원이 제자를 두지 않았다는 주장이 일축되었다. 유형원의 제문이 현전한다.
  • 명은 김공 휘수민(金壽民) : 1734~1811. 평생 북향하지 않고 서향하여 앉았다. 당시에 되놈들(호노.) 세력이 흉악했는데, 나라에서 부풍 7인(扶風七人. 조선 때 국찬 된<<존주휘편>>의 '尊揚之義'의 추증을 말한다.)을 표창할 때에 그 문서가 되놈의 연호로 되어 있자, 유사에게 항의하여 조정으로부터 숭정의 연호를 가져와서 고치게 하였다. 주도(周道)를 지킴이 이와 같았다. 저작 <<내성지>>는 몽유록계 소설로, 원생몽유록이 춘추대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지 못 한 데 비하여 약 150인의 등장인물이 시연(詩宴)을 거치면서 단종과 건문의 일을 논하는 것을 상세하게 밝혔다(포폄적 성격). 요순탕무와 이기(理氣)를 평하였다. <기동악부>는 고조선에서 조선 후기까지의 사적과 인물에 대한 85편의 영사시(詠史詩)이며, 그의 저술이다. <<명은집>>은 문-사-철 22권 22책으로 구성되어있다.
  • 귀재 김공 휘규하(金圭夏) : 1740(영조 16)∼1822(순조 22). 자는 내협(乃協)이며 또다른 자가 여초(汝初)이다. 증조부 김경기(諱敬基), 조부 김성(諱筬), 아버지는 진사 김계명(諱啓明)이며, 어머니는 홍제민(洪濟民)의 딸이다. 1789년(정조 13) 식년문과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들어간 뒤, 의영고주부·종부시주부·종묘서령·감찰을 거쳐서, 1798년 장령·정언을 역임했다. 같은 해 용강 현령이 되었는데, 특히 학문을 일으키는 데 힘썼다. 그 뒤 지평·정악원정을 거쳐 1802년(순조 2) 다시 장령이 되었을 때, 시무책 6조와 궁인들의 불공을 금할 것을 건의하여 답을 얻어 내었다. 1806년 장령으로 재직 중 치사(致仕)하여, 귀재(歸齋)라는 현판을 달고 후진양성과 학문연구에 힘썼다. 1820년 병조참의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나아가지 않았다.
  • 팔우(八宇) 김공 휘옥 : 1733~1777. 자는 계심(啓心)으로 학생(學生) 김경로(金公敬魯)의 자(子)이다. 정일우수공의 동복형. 후에 백부 김경후(金公敬厚)에게 입적하였다. 종중고문서(대한민국 보물900호)에 1766년 시권ㅡ牛渚 會望 鷄籠山 歎 孫伯符 志業 不遂ㅡ이 현전한다. 숭정3무자식년사마시에 진사로 들기 2년 전의 것이다.
  • 정일우수(精一迂叟) 김공 휘익(金瀷) : 1746(영조22)~1809(순조 9). 자는 이정(而靜)이며, 호는 정일우수(精一迂叟)이다. 초야에 묻혀 일생을 학문 연구에 전심하여 경서(經書. 서는 백가서를 말한다.)에 밝았다. 당대 호남의 거유(巨儒)로 문하에서 많은 학자를 배출하였다. 한번 본 것은 외는 직관상적 기억력이 있었다. 성정이 깨끗했기 때문에 사민(士民)이 떠받들었다. <권농가> 등이 전한다. <<정일우수집>>, <<오상록(五常錄)>> 저. 확은(確隱) 김상성(金相誠)은 공의 생자(生子.후에 공의 형에게 양자로 입적.)로, <서호별곡>을 남겼다. 묘표는 조인영(운석)이 바쳤다.
  • 제곡(悌谷) 김공 휘한익(金漢益) : 자는 내견(乃見), 겸수(謙嫂)이며 경재(敬齋) 김복현(金復鉉)의 아들이자 명은공의 손자로 1787년 태어났다. 8대조는 도촌공(陶村居士金公諱沇.三世七忠.)이다. 문음으로 임관하여 1827년 문과를 거쳐 자인현감, 김해부사, 승정원 부승지, 좌승지, 우승지, 겸경연특진관, 가선대부 병조참판에 오르고 행직으로 사간원대사간(諫長.)이 되었다. 만장(挽章) 필사본이 현전한다(원각사성보박물관 참조). 참판으로 유명(有名聲)하였다. 참고문헌 <청선고>. 역적 박규서가 무고하려들었을 때 유생 강인회가 변무통문을 지어바쳤다. 참고 <춘파유고>.
  • 좌망공(坐忘公) 김공 휘현(金灦) : 정랑으로 낙(洛)에 문명을 떨쳤다. 1549년 갑과 1위(莊元). 자(字)는 호호(浩浩)로, 김연연(淵淵. 휘는 호灝)의 형이다. 문과책문 '전수화(戰守和)'가 유명하다. 본디 그의 선조는 전라도 부안현 옹정리(甕井里)에서 거주하였으나 그의 조부인 김협(金公諱鋏.1546년 출생.죽계 김횡의 형제.사마시입격.)이 지당에 사는 남원 진씨(晉氏)와 결혼한 것을 계기로 부안을 떠나 이거하였으며 그 후로 그의 후손들이 세거하였다. «만경일기(萬頃日記)»가 귀한 사료로 남는다. 사위로 왜란 때 전사한 황진의 증손 황명구와 완산이가의 이문도가 있다. 증 승지.
  • 절충장군 김공 : 무과 장원. 都평안도병마. 선산(先山)의 유허비를 계고(稽古)하였음.
  • 좌랑공 김공 휘운(金雲) : 호는 운파(雲坡), 월천(月川). 자는 구이(久而)이다. 1733년 황감시에서 성균생원으로서 수석이 됨. 직부전시로 문과에 응하여 곧바로 등과하였다. 병조와 이조에서 전랑(銓郞)으로 활동하였다. 첨지사. 1984년 일작(逸作) <초운사>가 발굴되었다.
  • 매은(梅隱) 김공 휘환감(金煥監) : 1818~1886. 자는 겸여(謙汝). 승지공파 퇴우당계. 헌술공의 부친으로 신라 대보공 59대손이시다. 1858년 철종 9년 무과 장원(1/875). 임오군란이 끝나자 향리로 귀거하셨다.
  • 단산(丹山) 김공 휘봉효(金鳳孝) : 1880년 진사 입격.
  • 김공 휘헌제(金櫶濟) : 1882년 춘당대 응제에서 다른 한성 사부학당 및 유생을 제치고 시(詩)로 직부하였다. 전시를 거쳐 입격하고서 후에 지평 등에 책록되었다. 시권 및 직부첩은 지금도 존재(存在)한다. 특히 사헌부지평 시절 이희(조선 고종)에게 학문에 힘쓰라 권하기도 하였다. 1882년 쓰여진 부안서림정속편(서림정시계詩契)에 본관성명이 기재돼 있다. 1884년에 서원재건립을 진언한 것이 실록에 나타나 있다.
  • 김공 휘덕수(金德洙) : 정사 1857년에 출생하였다. 자(字) 기로(驥老). 예문관검열(1891년), 승정원승지(1893년), 성균관대사성(1893년.泮長.). 참고문헌 <승지선생안>, <청선고>.
  • 김공 휘병술(金秉述) : 대한제국 판임관. 후에 왜노를 물리치고 사직하였음. 왜노속(倭奴屬)의 하나인 김성수에게 교육에 힘쓸 것을 언질한 적이 있다. 독립신문 창간자 헐버트의 고제로, 영한사전 편찬을 함께하였다. 홍문관으로 나아가 공인이 되었다. 황해도로 가서 신창중학을 설립하였으며 상해로 건너가려던 중 서거하였다. 관립중학(1900년 개교) 1회 졸업. 2017년 김공의 손자 김삼술 종친께서 헐버트기념사업단을 방문하였다.
  • 김공 휘형두(金炯斗) : 관고에 기하여 1903년(대한제국 7년)에 종사랑 경릉참봉 판임관이 되었다.
  • 후창(後滄) 김공 휘택술(金澤述, 1884년 ∼ 1954년) : 자는 종현(鍾賢)이며, 호는 후창(後滄)이다. 아버지는 1911년 <<운강유고>> 발간에 참여한 한학자 벽봉 낙진(洛進)이며, 어머니는 전주최씨로 석홍(錫洪)의 딸이다. 7세에 여숙(閭塾)에서 수학하고, 15세경 사서삼경을 통달하였다. 1900년 전우(田愚)에게 사사받아 학문의 대체를 배웠는데, 이때 후창이라는 호를 받고, 창동처사(滄東處士)라 하였다. 1925년 동문인 오진영이 스승의 유지를 무시하고 왜노의 허가를 얻어 간재집을 발간할 때, 여러 동문들의 선봉이 되어 뜻을 저버린 행위라 성토하였다. 이로 인하여 전주 검사국에 수차호출을 당하고, 일차 피랍되어 무수한 고문을 당하였다. 광복 후 스승의 문집을 수정하여 발간하였다. 그는 도학과 문장이 전우(田愚)의 수재로서 일시의 사표(師標)로 칭송되었다. 1964년에 문인과 유림들이 그의 도덕을 기념하기 위해 정읍군 이평면 창동리에 창동서원(滄東書院)을 건립하여 향사하였는데, 1975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78호로 지정되었다. 부안 계양사(繼陽祠)에도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후창집(後滄集)》이 있다. 국내 마지막 유학자라고 불리기도 한 전우의 사상적 후계자이며 최익현(면암)이 기병(起兵)하였을 때 가서 위무하였다. 현대에 <두류산유록>이 발굴되었다. 내용은 전우와의 지리산 관람이 성사되지 못한 이야기, 선조를 계고하는 헌시, 선경후정의 영시 등이다.

초록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문선 조선실록 고봉집 미암집 가정집 율곡집 익재집(역옹패설) 양곡집 연려실기술 일성록 문무과방목(하버드옌칭도서관) 창의록 호남절의록 호남삼강록 동국여지승람

주(注)

  • 재실

복층의 문루를 자랑하는 호남 최고의 제각이라 불리는 취성재는 부안 옹정에 위치해 있다.

  • 성리학 원조 논고

출처: 부안인터넷신문. 여기서 전북대 김병기교수를 인용함. 지포선생에 대한 재조명과 도동서원 복원이 부안의 인문학적 추진사업으로 꼭 필요하다.  지포 김구선생은 고려말 부안에서 10년동안 유학 교육을 후학들에게 전파함으로써, 고려말 부패한 불교의 굴레에서 벗어나 새로운 이념으로서 유학을 부흥시키고 남송성리학을 수용하는데 커다란 초석을 다지게 했음.  지포 김구는 1240년~1241년까지 원나라에 서장관으로 다녀왔으며, 안향은 1289년~1290년까지 원나라에 다녀옴(50년 차이가 난다. 1260년 공의 한림원 시절 안향이 18살로 한림원 말석에 들어왔다.) 지포 김구는 말년에 부안군 변산면 지지포에서 후학 양성을 하였다. 지포 김구의 아들 김여우는 충렬왕으로부터 단권을 얻었다. 쿠빌라이의 딸과 충렬왕이 혼인하였는데 쿠빌라이의 스승인 왕악은 문정공을 만나뵙지 못한 개탄을 서달(글로 전함)한 바 있다.

문정공이 초명인 백일 대신 개명한 휘 '구(坵)'와 공자의 이름과의 연관성, 호 차산('次山'첫번째의 산인 공자의 다음 산)의 의미,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도동서원(1534년)과 최초의 향교인 강릉향교(1313년) 건립에서의 김구와 김여우, 김승인의 절대적인 위치, 성리학의 도입에서 김구 부자의 선구적 역할은 입증되고 남음이 있다.

여흥이가 이규보나 경주이가의 이제현, 달성서가 서거정, 창녕의 성현 등의 기술은 문정공의 한국 성리학의 초석으로서 지위를 입증하고 있다(고려사열전, 익재집, 동문선, 용재총화 등).

서자 김승인은 바로 문한공 김여우의 가르침에 따라 강릉향교를 창건한 것이다.

훗날 지포선생의 7세손인 소윤공(휘 세영)과 군사공(휘 광서) 등 4형제가 (不事二君 등의)대의를 좇아 벼슬을 버리고 부안의 옹정으로 귀거하였다.



  • 한국 최초의 서원 (유허지: 부안읍 연곡리 학당고개 일원) 논의

부안 도동서원은 소수서원(백운동서원)보다 7년 앞선 1534년(중종29)에 지방 유림들이 지포 김구를 주벽(主壁)으로 모시고, 문한공 김여우(金汝盂) 옹천 김석홍(金錫弘) 운강 김계(金啓) 퇴우당 김해(金垓) , 성중엄 최필성 최수손 홍익한을 배향하고 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김승인 관련

강화 교동 印氏는 문정공의 아들 김승인의 印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교동인씨는 신라시대의 인서(印瑞)를 시조로 하고 있으며 인빈(印份)이 고려 인종 때 교수부원군(喬樹府院君)에 봉해짐으로서 후손들이 본관을 교동으로 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희종 갑자방에 2위 김정립, 3위 김의와 함께 장원으로 인득후(印得候, 본관 미상)가 기록되어 있어 김의의 손자인 김승인의 후손이라는 설의 신빙성은 높지 않다고 한다. 고려사열전 등의 김승인 출계 기사는 다만 그 서자가 자신의 비속을 둘 적에 어떠한 원칙을 세운 것에 불과하다.

첨언한다. 서자인 자가 대간이나 재상급에 다다른 유명한 예외의 하나로서 김승인이 등장하는 것은 맞는 사실이다. 김승인의 후계로서 인씨의 직계를 주장한 예는 알려지지 않았으니 추가바람.


  • 부여김씨

부령(부안)김씨의 후계의 하나이다.


  • 금 시조 관련

송막기문에 따르면 '여진의 추장은 곧 신라인인데... 휘는 감복이며 3형제이며 형이 있다.'고 되어 있고

  금지에는 '그 처음의 추장은 신라인으로' 기록되었다.

  고려사에는 '평주의 승려 금준(今俊) 또는 김행(金幸)의 아들 김극수가 여진으로 가 금나라의 시조가 되었다는 소문이 있다'고 기록되었으며,

  고려사절요에는 '평주의 금준 혹은 평주의 중 김행의 아들 극수가 여진으로 갔다는 소문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금사 시조 본기에 '금의 시조의 휘는 함보이며 처음 고려에서 나와 올 때 연령이 이미 60여 세였다. 형 아고내는 불교를 좋아하여 고려에 남으며 "후세 자손이 필히 상취하는 자가 있을 것이니 가지 않겠다."고 말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삼조북맹회편에 '여진의 시조 긍포는 신라로부터 달아나 나와 아촉호에 이르렀는데 돌아갈 곳이 없었다.'고 되어 있다.

  만주원류고에는 '신라 왕의 성 김씨가 수십 세를 전해졌고 금이 신라로부터 왔으니, 의심할 바 없이 그가 세운 나라의 이름도 마땅히 여기서 취한 것이다.'라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 및 고려사절요, 남송의 홍호의 기록, 금나라와 청나라의 정사 등 여러 기록들이 일관되고 서로 부합하는 것, 형이 있다는 사실 및 시조나 가문에 관한 미화나 과장이 없음 등 허구로 볼 여지가 거의 없어 사실로 볼 수 있다. 금나라 왕실이나 청나라 황실 역시 시조의 신라출자 또는 고려출자설을 믿은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사절요의 금준(今俊)의 금(今)씨는 우리나라에서 극히 희소한 성씨로서 이 이야기의 금준이 시조격인 바 가계도나 선계에 관한 전승이나 기록조차 없는 등 설에 불과하여 그가 금(今)씨의 시조이며 여진으로 갔다는 것은 근거가 희박한 이야기이다. 금사에도 금의 시조가 60세가 될 때까지 혼인하지 아니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고려를 떠날 때의 신분은 승려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 이전 김씨가 금씨로 불린 사실 및 금나라가 '今' 이 아닌 '金'으로 표기된 점, 청의 황성인 애신각라씨가 청의 망국 후 성을 김씨로 바꾼 점, 금의 국명이 신라왕에서 비롯되었다는 기록 등을 감안하면 김준 또는 김행, 김극수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기록상 두 형제가 갔으므로 김준(금준)과 김행(금행)이 형제이며 함께 여진으로 갔을 가능성도 있다.

  김행이 3형제인 것은 사실로 생각되며 형 아고내의 말 중 "후세 자손이 유능하다면 반드시 서로 만날 것이다. 나는 가지 않겠다."는 내용 및 동생 보활리가 함께 간 것으로 볼 때 개인의 문제가 아닌 집안의 사정으로 여진으로 간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기록으로는 달아나 온 것으로 되어 있는 반면 조선(고려사, 고려사절요)의 기록으로는 김행의 신분이나 형제의 여부, 여진으로 간 이유도 제대로 알 수 없는 바 고려에서 신분이나 가문의 내력을 숨겨야 할 필요가 있었으며 죄를 범하여 도망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볼 수 있다.

  경순왕의 태자께서는 고려에 귀부하지 아니하고 고려에 대항하였다. 즉 고려의 입장에서는 전 왕조이었으므로 그 후손들이 얼마나 위태하고 은밀하게 생활하였는지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반면 경순왕의 서자(庶子) 후손들(은열이 핏줄 김부식 등), 특히 낙랑공주의 몸에서 난 자들은 외가인 고려왕실의 비호를 받으며 고려 초기부터 급히 성장하였다.

결론으로 금의 시조가 고려시대에 넘어간 신라인이라는 것은 고려에 귀부하지 아니한 사람이라는 뜻이며, 금의 국명이 신라 왕으로부터 나왔다고 기록된 점, 집안의 사정으로 타국에 갈 수밖에 없었던 점 등 금의 시조는 전승과 같이 태자공 이후 은둔생활을 할 수밖에 없었던 부령(부안)김씨와 같은 핏줄로 볼 수 있다. 

여타 개국 공신에 오르는 등 고려 초기부터 부귀를 누린 집안의 인물로 볼만한 사정은 없다.


  • '헌례고개' 전설

부안에 새로 부임하여오는 원님은 옹정의 부안 김씨들 문장(門長)집에 부임인사부터 하였다고 하며 헌례(獻禮)고개에서 옹정을 향하여 큰 절을 올렸다 하여 절 올리는 고개라는 뜻의 헌례고개라 하였다는 전설도 전해온다

  • 부안김씨 자명금(自鳴琴) 전설ㅡ 음률에도 정통했던 문정공이 선학동에서 사용하던 거문고. 18세기까지 전래되어 있었다.


  • '멀쩡한 부안김씨' 속담

인물이 많이 배출되어 "멀쩡한 부안 김씨”라는 이 지방만의 속담도 생겨났다.

이 속담에는 아래와 같은 일화가 있다. 지금의 동진대교가 있기 전에는 그 자리에 나루가 있어 배로 강을 건너야만 했다. 이 나루가 바로 부안의 대표적 나루로 이 나룻터에는 뱃사공이 나룻배와 더불어 연중 대기하고 있다가 길손들을 건네주는 일을 해왔다. 그들은 세습하여 뱃사공 노릇을 하였는데 정기적, 항시적으로 이용하는 주민들이 거두어 주는 뱃새경과 외지인들에게서 받는 선임(船賃)으로 생활을 유지했다.

뱃새경은 이용하는 횟수에 관계없이 근처 주민들은 한 가구당 1년에 보리 1말, 또는 5되씩 2회에 걸쳐 부담해야 했다. 그러나 여기에도 특례가 있어 지방의 관원이나 양반에게는 뱃새경을 받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관원이나 양반들을 일일이 다 못 알아보아 시비가 생기는가 하면, 선임 없이 올라타는 나그네, 선임을 깎자고 덤비는 건달들에게 시달려야만 했다.

부안사람들이 외지로 출세(出世)하려면 거의가 이 나루터에서 나룻배 신세를 져야 했는데 예로부터 이곳 나루쟁이가 유난히 거칠고 버릇이 없기로 유명하여 이 부안지방 속담에 「동진강 나루쟁이 보다도 후레자식이다」 또는 「후레스럽기가 동진나루쟁이 뺨치겠다」는 말이 전해오고 있을 정도다. 웬만큼 세도 있는 양반이 아니고는 고분고분하지도 않고 얼른 월천(越川, 갯물이 빠지면 사람을 업어서 개펄을 건너 나룻배까지 태워주는 일)을 하여 주지도 않았다.

이 나루터에 부안지방의 산물이 많이 모이고 왜정 때에는 조선통운(朝鮮通運)의 창고도 있었으며 숯장사, 떡장사, 잡화장사에 나루터 잡놈들이 들끓었다고 하는데, 한번은 허름하게 옷을 입은 어떤 사람이 선개(船價, 船賃, 나루삯)도 안내고 배에서 내려 휘적휘적 가버리는 것이었다. 화가 잔뜩 난 나루쟁이가 쫓아가서   「이보시오 당신이 뭔데 선개도 안내고 도망치는 거요?」하고 따지니까   「야 이놈아! 나도 멀쩡한 부안김가다」   하면서 두루마기를 제치고 허리춤에 차고 있는 호패를 쓱 보이니, 나루쟁이가 아무 말도 못하고 돌아섰다는 것이다.

부안김씨들이 이 지방의 호족이고 세도가 커 함부로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후부터 부안 인근에는 '멀쩡한 부안김가’라는 말이 유행했다고 한다. 이른바 의취체폐(衣取體蔽)인 것이다.



  • 양성과 하번의 고사

승지공께서 겸교수(사부학당의 관직)로 계시다가 화순현감이 되시었으므로, 그 제자들(권이형 등)이 조정에 탄원하며 '양성(당나라의 사람)이 또한 수령으로 가게되어 하번 등이 유임을 간청한 일'을 들어 결망(희망이 사라져 깨짐.)의 뜻을 이야기한 미화.

문장하는 것은 나라의 큰 일(전고: 전론)이므로, 나라에서 승인하였다.

출처: 1481년 2월 23일 기사



  • 자칭 '경주김씨 태자파' 관련

자칭 경김의 '태자파'는 시조인 선웅의 종가도 아닌 자들이 각 파의 공동 시조(원조)인 선웅을 자기 파의 파조로 삼으면서 만들어졌다. 즉 경김 계림군파라는 선웅의 적종가가 있음에도 일부 종인들이 시조를 파조로 끌어 간 전대미문의 엽기적인 사건이다.

처음에는 장군공파로 분파를 하더니 어느 때부터인가 대장군공파로 이름을 바꾸었다. 선웅은 대장군의 직에 있지 아니하였다.

이후에는 위보로 판명된 신라삼성연원보를 근거로 시조인 선웅이 마의태자의 둘째 아들이라고 주장하며 태자파로 파명을 다시 바꾸었다. 자칭 '태자파'에서 명분으로 삼는 법원의 결정문을 보면 "신라삼성연원보가 진본이며.. 김순웅과 마의태자 김일의 관계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아니하였지만 김순웅이 김일의 둘째 아들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할 것”라 되어 있는 바 신라삼성연원보는 위보이며, 법원의 결정은 순웅의 상계에 관하여 확인된 사실이 없음을 밝혔을 뿐이다. '피노키오'라는 책이 진본이라 해서 피노키오가 실재하는 것이 아닌 것과 같다. 숙종대(1661~1720) 후반에 이르러 신분제도가 크게 문란해진 이후 새로 제작된 족보는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바 하물며 족보의 위조가 극에 달한 왜점 때 1934년에 족보도 없던 김경대라는 자가 인조20년(1642)으로 발간년도조차 속이고 만든 잡서를 금과옥조로 받드는 것은 족보장사꾼과 그 추종자들뿐이다.

1584년의 갑신보 이래 수백년간 수백, 수천 명의 부안김씨 및 외손들, 사위들, 관계된 여러 명사들이 관여하여 만들어진 부안김씨 족보를 인정하지 아니하고 배경도 뚜렷하지 않은 자가 발행년도부터 속인 신라삼성연원보를 근거로 한 것부터 저급하다 할 것이니, 신라삼성연원보를 증거로 제출한 것은 법원을 기망한 소송사기와 다름없다.

잡서를 근거로 실제의 조상을 버리고 다른 집안의 조상을 탐내는 작태는 '대법원 판결'로 논파가 되었으며, 이러한 행위는 족보를 위조하여 경김에 들어간 자들이 아니면 상상할 수 없는 패륜이다. 본래 자신들의 조상이 아니므로 계통에 무심하여 환부역조(換父易祖)를 거듭하는 자들로 볼 수밖에 없으며,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고 역사와 부합하지 아니하거나 나아가 모순됨에도 위조된 잡서를 근거로 태자공이 자신들의 조상이라 억지를 부리는 등 그 후안무치(厚顔無恥)는 용납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