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질모세포성 림프종: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봇: 오래된 인터위키 링크를 정리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형질모세포성 림프종'''(Plasmablastic lymphoma, PBL)은 2017년 [[세계보건기구]](WHO)가 형질모세포 분화가 있는 림프종양이라 불리는 림프종의 하위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한 거대 B세포 림프종의 일종이다. 이 하위군 내의 다른 림프성 신생물은 다음과 같다: 형질아세포 형질세포 림프종(또는 이 질병의 형질세포종 변종); [[KSHV|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 양성 또는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 음성인 원발성 삼출성 림프종;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 양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및 달리 명시되지 않은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 8 양성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이러한 림프종은 모두 형질모세포의 악성종양이다. 즉, 형질모세포로 분화된 B세포이지만 악성 특성으로 인해 성숙한 형질세포로 더 이상 분화하지 못한다. 과도하게 증식하며 다양한 조직과 기관에 축적되어 손상을 준다.
'''형질모세포성 림프종'''(Plasmablastic lymphoma, PBL)은 2017년 [[세계보건기구]](WHO)가 형질모세포 분화가 있는 림프종양이라 불리는 림프종의 하위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한 거대 B세포 림프종의 일종이다. 이 하위군 내의 다른 림프성 신생물은 다음과 같다: 형질아세포 형질세포 림프종(또는 이 질병의 형질세포종 변종); [[KSHV|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 양성 또는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 음성인 원발성 삼출성 림프종;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 양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및 달리 명시되지 않은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 8 양성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이러한 림프종은 모두 형질모세포의 악성종양이다. 즉, 형질모세포로 분화된 B세포이지만 악성 특성으로 인해 성숙한 형질세포로 더 이상 분화하지 못한다. 과도하게 증식하며 다양한 조직과 기관에 축적되어 손상을 준다.<ref name="pmid31725418">{{cite journal | vauthors = Chen BJ, Chuang SS | title = Lymphoid Neoplasms With Plasmablastic Differentiation: A Comprehensive Review and Diagnostic Approaches | journal =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 volume = 27 | issue = 2 | pages = 61–74 | date = March 2020 | pmid = 31725418 | doi = 10.1097/PAP.0000000000000253 | doi-access = free }}</ref>


PBL이 아닌 형질모세포 분화 하위군을 갖는 림프성 신생물의 림프종은 때때로 PBL의 변종으로 잘못 간주되어 왔다. 이 악성 종양 하위 그룹에 속하는 각 림프종은 독특한 임상적, 형태학적, 비정상 유전자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림프종의 주요 특징은 때때로 이 하위 그룹에 속하는 림프종을 포함하여 다른 림프종과 중복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림프종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림프종과는 예후와 치료법이 매우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PBL이 아닌 형질모세포 분화 하위군을 갖는 림프성 신생물의 림프종은 때때로 PBL의 변종으로 잘못 간주되어 왔다. 이 악성 종양 하위 그룹에 속하는 각 림프종은 독특한 임상적, 형태학적, 비정상 유전자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림프종의 주요 특징은 때때로 이 하위 그룹에 속하는 림프종을 포함하여 다른 림프종과 중복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림프종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ref name="pmid31360094">{{cite journal | vauthors = Lopez A, Abrisqueta P | title = Plasmablastic lymphoma: current perspectives | journal = Blood and Lymphatic Cancer: Targets and Therapy | volume = 8 | pages = 63–70 | date = 2018 | pmid = 31360094 | pmc = 6467349 | doi = 10.2147/BLCTT.S142814 | doi-access = free }}</ref>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림프종과는 예후와 치료법이 매우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ref name="pmid31725418"/>


형질모세포성 림프종은 일반적으로 [[화학요법]]에 잘 반응하지 않고 예후가 매우 나쁜 공격적이고 드문 악성 종양이다. 이는 [[후천면역결핍증후군|HIV/AIDS]]를 앓고 있거나 고형 장기 이식을 받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면역이 억제된 남성에게 주로 발생한다. PBL을 앓고 있는 모든 개인의 ~5%는 면역 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면역 체계에 뚜렷한 결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PBL 사례의 절반 이상에서 악성 형질모세포는 잠재적으로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바이러스인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에 감염되어 있으며, 기존의 저등급 B세포 림프종의 형질모세포 변형으로 인해 드물게 PBL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PBL의 한 변종인 노인 형질모세포 림프종은 대부분의 다른 PBL 사례보다 예후가 훨씬 더 좋다. 이 변종의 발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면역노화, 즉 노년기에 발생하는 면역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
형질모세포성 림프종은 일반적으로 [[화학요법]]에 잘 반응하지 않고 예후가 매우 나쁜 공격적이고 드문 악성 종양이다. 이는 [[후천면역결핍증후군|HIV/AIDS]]를 앓고 있거나 고형 장기 이식을 받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면역이 억제된 남성에게 주로 발생한다. PBL을 앓고 있는 모든 개인의 ~5%는 면역 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ref name="pmid31360094"/> 즉, 면역 체계에 뚜렷한 결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PBL 사례의 절반 이상에서 악성 형질모세포는 잠재적으로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바이러스인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에 감염되어 있으며, 기존의 저등급 B세포 림프종의 형질모세포 변형으로 인해 드물게 PBL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ref name="pmid27271843">{{cite journal | vauthors = Korkolopoulou P, Vassilakopoulos T, Milionis V, Ioannou M | title = Recent Advances in Aggressive Large B-cell Lymphomas: A Comprehensive Review | journal =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 volume = 23 | issue = 4 | pages = 202–43 | date = July 2016 | pmid = 27271843 | doi = 10.1097/PAP.0000000000000117 | s2cid = 205915174 }}</ref> PBL의 한 변종인 노인 형질모세포 림프종은 대부분의 다른 PBL 사례보다 예후가 훨씬 더 좋다.<ref name="pmid22958176">{{cite journal | vauthors = Liu F, Asano N, Tatematsu A, Oyama T, Kitamura K, Suzuki K, Yamamoto K, Sakamoto N, Taniwaki M, Kinoshita T, Nakamura S | title = Plasmablastic lymphoma of the elderly: a clinicopathological comparison with age-related Epstein–Barr virus-associated B cell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 journal = Histopathology | volume = 61 | issue = 6 | pages = 1183–97 | date = December 2012 | pmid = 22958176 | doi = 10.1111/j.1365-2559.2012.04339.x | s2cid = 205303461 }}</ref> 이 변종의 발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면역노화, 즉 노년기에 발생하는 면역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ref name="pmid27271843"/>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림프종]]
* [[림프종]]

== 각주 ==
{{각주}}


[[분류:림프종]]
[[분류:림프종]]

2023년 11월 30일 (목) 16:37 판

형질모세포성 림프종(Plasmablastic lymphoma, PBL)은 2017년 세계보건기구(WHO)가 형질모세포 분화가 있는 림프종양이라 불리는 림프종의 하위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한 거대 B세포 림프종의 일종이다. 이 하위군 내의 다른 림프성 신생물은 다음과 같다: 형질아세포 형질세포 림프종(또는 이 질병의 형질세포종 변종);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 양성 또는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 음성인 원발성 삼출성 림프종;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 양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및 달리 명시되지 않은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 8 양성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이러한 림프종은 모두 형질모세포의 악성종양이다. 즉, 형질모세포로 분화된 B세포이지만 악성 특성으로 인해 성숙한 형질세포로 더 이상 분화하지 못한다. 과도하게 증식하며 다양한 조직과 기관에 축적되어 손상을 준다.[1]

PBL이 아닌 형질모세포 분화 하위군을 갖는 림프성 신생물의 림프종은 때때로 PBL의 변종으로 잘못 간주되어 왔다. 이 악성 종양 하위 그룹에 속하는 각 림프종은 독특한 임상적, 형태학적, 비정상 유전자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림프종의 주요 특징은 때때로 이 하위 그룹에 속하는 림프종을 포함하여 다른 림프종과 중복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림프종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림프종과는 예후와 치료법이 매우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1]

형질모세포성 림프종은 일반적으로 화학요법에 잘 반응하지 않고 예후가 매우 나쁜 공격적이고 드문 악성 종양이다. 이는 HIV/AIDS를 앓고 있거나 고형 장기 이식을 받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면역이 억제된 남성에게 주로 발생한다. PBL을 앓고 있는 모든 개인의 ~5%는 면역 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2] 즉, 면역 체계에 뚜렷한 결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PBL 사례의 절반 이상에서 악성 형질모세포는 잠재적으로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바이러스인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에 감염되어 있으며, 기존의 저등급 B세포 림프종의 형질모세포 변형으로 인해 드물게 PBL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3] PBL의 한 변종인 노인 형질모세포 림프종은 대부분의 다른 PBL 사례보다 예후가 훨씬 더 좋다.[4] 이 변종의 발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면역노화, 즉 노년기에 발생하는 면역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3]

같이 보기

각주

  1. Chen BJ, Chuang SS (March 2020). “Lymphoid Neoplasms With Plasmablastic Differentiation: A Comprehensive Review and Diagnostic Approaches”.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27 (2): 61–74. doi:10.1097/PAP.0000000000000253. PMID 31725418. 
  2. Lopez A, Abrisqueta P (2018). “Plasmablastic lymphoma: current perspectives”. 《Blood and Lymphatic Cancer: Targets and Therapy》 8: 63–70. doi:10.2147/BLCTT.S142814. PMC 6467349. PMID 31360094. 
  3. Korkolopoulou P, Vassilakopoulos T, Milionis V, Ioannou M (July 2016). “Recent Advances in Aggressive Large B-cell Lymphomas: A Comprehensive Review”.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23 (4): 202–43. doi:10.1097/PAP.0000000000000117. PMID 27271843. S2CID 205915174. 
  4. Liu F, Asano N, Tatematsu A, Oyama T, Kitamura K, Suzuki K, Yamamoto K, Sakamoto N, Taniwaki M, Kinoshita T, Nakamura S (December 2012). “Plasmablastic lymphoma of the elderly: a clinicopathological comparison with age-related Epstein–Barr virus-associated B cell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Histopathology》 61 (6): 1183–97. doi:10.1111/j.1365-2559.2012.04339.x. PMID 22958176. S2CID 205303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