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이행세포암종: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봇: 오래된 인터위키 링크를 정리함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image = Bladder urothelial carcinoma (1) pT1.JPG
| image = Bladder urothelial carcinoma (1) pT1.JPG
}}
}}
'''이행세포암종'''(Transitional cell carcinoma)은 일반적으로 [[비뇨계]]에서 발생하는 [[암]]의 일종이다. 가장 흔한 유형의 방광암이자 요관암, 요도암, 요막암이다. 방광의 요로상피암종의 증상에는 혈뇨(소변에 혈액이 섞여 나오는 현상)가 포함된다. 진단에는 소변 분석과 요로 영상(방광경검사)이 포함된다. 이행세포암종은 중공 기관의 내부 표면을 감싸는 조직인 이행상피에서 발생한다. "요로상피"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특히 요로상피의 암종을 의미하며, 이는 비뇨기계의 이행세포암종을 의미한다.
'''이행세포암종'''(Transitional cell carcinoma)은 일반적으로 [[비뇨계]]에서 발생하는 [[암]]의 일종이다. 가장 흔한 유형의 방광암이자 요관암, 요도암, 요막암이다. 방광의 요로상피암종의 증상에는 혈뇨(소변에 혈액이 섞여 나오는 현상)가 포함된다. 진단에는 소변 분석과 요로 영상(방광경검사)이 포함된다. 이행세포암종은 중공 기관의 내부 표면을 감싸는 조직인 이행상피에서 발생한다.<ref>{{DorlandsDict|two/000017251|transitional cell carcinoma}}</ref> "요로상피"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특히 요로상피의 암종을 의미하며, 이는 비뇨기계의 이행세포암종을 의미한다.


이는 방광암 사례의 95%를 차지하며 [[방광암]]은 세계에서 가장 흔한 악성 종양 상위 10위에 속하며 미국에서 연간 약 200,000명의 사망과 관련이 있다. 이는 두 번째로 흔한 유형의 [[신장암]]이지만 전체 원발성 신장 악성 종양의 5~10%만을 차지한다. 남성과 노년층의 요로상피암 발병률이 더 높다. 다른 위험 요인으로는 흡연과 [[방향족 아민]] 노출이 있다.
이는 방광암 사례의 95%를 차지하며 [[방광암]]은 세계에서 가장 흔한 악성 종양 상위 10위에 속하며 미국에서 연간 약 200,000명의 사망과 관련이 있다.<ref name="AndreassenAagnes2016">{{cite journal | vauthors = Andreassen BK, Aagnes B, Gislefoss R, Andreassen M, Wahlqvist R | title = Incidence and Survival of urothelia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in Norway 1981-2014 | journal = BMC Cancer | volume = 16 | issue = 1 | pages = 799 | date = October 2016 | pmid = 27737647 | doi = 10.1186/s12885-016-2832-x | pmc = 5064906 | doi-access = free }}</ref><ref name="CancerCenter">{{Cite news|url=https://www.cancercenter.com/bladder-cancer/types/|title=Types of Bladder Cancer: TCC & Other Variants|website=CancerCenter.com|access-date=2018-08-10}}</ref> 이는 두 번째로 흔한 유형의 [[신장암]]이지만 전체 원발성 신장 악성 종양의 5~10%만을 차지한다.<ref>{{Cite web|url=https://www.cancer.net/cancer-types/kidney-cancer/introduction|title=Kidney Cancer - Introduction|date=2012-06-25|publisher=Cancer.Net|language=en|access-date=2019-12-02}}</ref> 남성과 노년층의 요로상피암 발병률이 더 높다. 다른 위험 요인으로는 흡연과 [[방향족 아민]] 노출이 있다.<ref name=":0" />


치료 방법은 종양의 단계와 확산 정도에 따라 다르다. 종양 제거(절제), 화학요법 및 화학방사선요법이 필요할 수 있다. [[면역항암요법|면역관문억제제]]를 이용한 [[면역요법]]도 제안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종양의 단계와 확산 정도에 따라 다르다. 종양 제거(절제), 화학요법 및 화학방사선요법이 필요할 수 있다. [[면역항암요법|면역관문억제제]]를 이용한 [[면역요법]]도 제안될 수 있다.<ref name=":0"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3년 11월 30일 (목) 14:27 판

이행세포암종
진료과종양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이행세포암종(Transitional cell carcinoma)은 일반적으로 비뇨계에서 발생하는 의 일종이다. 가장 흔한 유형의 방광암이자 요관암, 요도암, 요막암이다. 방광의 요로상피암종의 증상에는 혈뇨(소변에 혈액이 섞여 나오는 현상)가 포함된다. 진단에는 소변 분석과 요로 영상(방광경검사)이 포함된다. 이행세포암종은 중공 기관의 내부 표면을 감싸는 조직인 이행상피에서 발생한다.[1] "요로상피"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특히 요로상피의 암종을 의미하며, 이는 비뇨기계의 이행세포암종을 의미한다.

이는 방광암 사례의 95%를 차지하며 방광암은 세계에서 가장 흔한 악성 종양 상위 10위에 속하며 미국에서 연간 약 200,000명의 사망과 관련이 있다.[2][3] 이는 두 번째로 흔한 유형의 신장암이지만 전체 원발성 신장 악성 종양의 5~10%만을 차지한다.[4] 남성과 노년층의 요로상피암 발병률이 더 높다. 다른 위험 요인으로는 흡연과 방향족 아민 노출이 있다.[5]

치료 방법은 종양의 단계와 확산 정도에 따라 다르다. 종양 제거(절제), 화학요법 및 화학방사선요법이 필요할 수 있다. 면역관문억제제를 이용한 면역요법도 제안될 수 있다.[5]

같이 보기

외부 링크

  1. "transitional cell carcinoma" - 돌란드 의학사전
  2. Andreassen BK, Aagnes B, Gislefoss R, Andreassen M, Wahlqvist R (October 2016). “Incidence and Survival of urothelia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in Norway 1981-2014”. 《BMC Cancer》 16 (1): 799. doi:10.1186/s12885-016-2832-x. PMC 5064906. PMID 27737647. 
  3. “Types of Bladder Cancer: TCC & Other Variants”. 《CancerCenter.com》. 2018년 8월 10일에 확인함. 
  4. “Kidney Cancer - Introduction” (영어). Cancer.Net. 2012년 6월 25일. 2019년 12월 2일에 확인함. 
  5.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0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