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새 문서: {{생물 분류 |이름=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그림=Haemophilus influenzae.jpg |그림_설명=초콜릿 한천배지에서 배양한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색=세균 |계=세균계 |문=프로테오박테리아문 |강=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 |목=슈도모나목 |과=모락셀라과 |속=아시네토박터속 |종='''아시네토박터<br />바우마니'''<br />(''A. baumannii'') |학명=Acinetobacter baumannii...
(차이 없음)

2023년 2월 25일 (토) 19:51 판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초콜릿 한천배지에서 배양한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초콜릿 한천배지에서 배양한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생물 분류ℹ️
계: 세균계
문: 프로테오박테리아문
강: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
목: 슈도모나목
과: 모락셀라과
속: 아시네토박터속
종: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 baumannii)
학명
Acinetobacter baumannii
Bouvet and Grimont 1986[1]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는 일반적으로 구간균의 형태를 한 그람 음성균의 한 종이다. 세균학자인 폴 바우만(Paul Bauman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면역계가 손상된 상태의 환자에서 기회감염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특히 병원내감염에서 아주 중요한 세균으로 부상하고 있다. 다른 아시네토박터속에 속한 세균들은 종종 토양 표본에서도 발견되어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역시 토양 세균이라고 흔히 오해하기 쉬우나,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는 거의 모두 병원 환경에서만 분리된다.[3] 간혹 토양이나 물 표본에서도 발견되고는 하나,[4] 자연적인 서식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참고 문헌

  1. Parte, A.C. “Acinetobacter”. 《LPSN》. 
  2. Lin, Ming-Feng; Lan, Chung-Yu (2014). “Antimicrobial Resistance in Acinetobacter baumannii: From Bench to Bedside”. 《World Journal of Clinical Cases》 2 (12): 787–814. doi:10.12998/wjcc.v2.i12.787. PMC 4266826. PMID 25516853. 
  3. Antunes, Luísa C.S.; Visca, Paolo; Towner, Kevin J. (August 2014). “Acinetobacter baumannii: evolution of a global pathogen”. 《Pathogens and Disease》 71 (3): 292–301. doi:10.1111/2049-632X.12125. PMID 24376225. 
  4. Yeom, Jinki; Shin, Ji-Hyun; Yang, Ji-Young; Kim, Jungmin; Hwang, Geum-Sook; Bundy, Jacob Guy (2013년 3월 6일). “1H NMR-Based Metabolite Profiling of Planktonic and Biofilm Cells in Acinetobacter baumannii 1656-2”. 《PLOS ONE》 8 (3): e57730. Bibcode:2013PLoSO...857730Y. doi:10.1371/journal.pone.0057730. PMC 3590295. PMID 23483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