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맨아래갑상동맥: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LR0725 (토론 | 기여)
19번째 줄: 19번째 줄:


맨아래갑상동맥의 시작 지점에는 변이가 많다. 대부분은 [[팔머리동맥]]에서 갈라져 나오지만,<ref name=Gray>{{cite book|author=Henry Gray|editor=Susan Standring|title=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publisher=Elsevier Health Sciences|isbn=978-0-7020-6851-5|year=2015|edition=41st|page=1026}}</ref> 그 외에도 [[대동맥활]], 오른[[온목동맥]], [[빗장밑동맥]], [[심장가로막동맥]], [[갑상목동맥]], [[어깨위동맥]], [[속가슴동맥]] 등에서 시작되기도 한다.<ref name=atlasonline>{{cite web|author1=Ronald A. Bergman|author2=Adel K. Afifi|author3=Ryosuke Miyauchi|title=Thyroidea Ima (of Neubauer) Artery|url=http://www.anatomyatlases.org/AnatomicVariants/Cardiovascular/Text/Arteries/ThyroideaIma.shtml|publisher=Anatomy Atlases|access-date=21 January 2016}}</ref> [[기관 (기도)|기관]]의 앞쪽에서 주행하며 [[위세로칸]]에서 [[갑상샘]] 아래쪽까지 올라간다.<ref name=GPN>{{cite web|title=Thyroidea ima artery (anatomy)|url=http://www.gpnotebook.co.uk/simplepage.cfm?ID=-1100283844|publisher=General Practice Notebook|access-date=21 January 2016}}</ref>
맨아래갑상동맥의 시작 지점에는 변이가 많다. 대부분은 [[팔머리동맥]]에서 갈라져 나오지만,<ref name=Gray>{{cite book|author=Henry Gray|editor=Susan Standring|title=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publisher=Elsevier Health Sciences|isbn=978-0-7020-6851-5|year=2015|edition=41st|page=1026}}</ref> 그 외에도 [[대동맥활]], 오른[[온목동맥]], [[빗장밑동맥]], [[심장가로막동맥]], [[갑상목동맥]], [[어깨위동맥]], [[속가슴동맥]] 등에서 시작되기도 한다.<ref name=atlasonline>{{cite web|author1=Ronald A. Bergman|author2=Adel K. Afifi|author3=Ryosuke Miyauchi|title=Thyroidea Ima (of Neubauer) Artery|url=http://www.anatomyatlases.org/AnatomicVariants/Cardiovascular/Text/Arteries/ThyroideaIma.shtml|publisher=Anatomy Atlases|access-date=21 January 2016}}</ref> [[기관 (기도)|기관]]의 앞쪽에서 주행하며 [[위세로칸]]에서 [[갑상샘]] 아래쪽까지 올라간다.<ref name=GPN>{{cite web|title=Thyroidea ima artery (anatomy)|url=http://www.gpnotebook.co.uk/simplepage.cfm?ID=-1100283844|publisher=General Practice Notebook|access-date=21 January 2016}}</ref>

크기 역시 [[덧갑상동맥]]처럼 작기도 하지만 갑상샘의 주된 혈관들만큼 큰 경우도 있다. 동맥 내강의 직경은 3 ~ 5mm 정도이다.<ref name=JOA>{{cite journal|author1=G. Wyatt Pratt|title=The Thyroidea Ima Artery|journal=Journal of Anatomy|volume=50|issue=Pt 3|pages=239–242|year=1916}}</ref> 갑상샘의 부수적인 동맥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간혹 하나 이상의 주된 갑상샘 혈관이 부전 상태이거나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그 역할을 보상할 수 있다.<ref name=radio /> 맨아래갑상동맥은 갑상샘 아래쪽에서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대개 [[아래갑상동맥]]의 크기가 작거나 없을 때 그 역할이 중요해진다.<ref name="YEOKYU">{{cite book|last1=Choi|first1=Yeo-Kyu Youn, Kyu Eun Lee, June Young|title=Color atlas of thyroid surgery : open, endoscopic and robotic procedues|date=2014|publisher=Springer Berlin Heidelberg|location=Berlin, Heidelberg|isbn=978-3-642-37262-9|pages=3|edition=Aufl. 2014}}</ref> In such cases, it is known as the accessory inferior thyroid artery.<ref name=JOA /><ref name=radio /> 드물게는 한쪽 또는 양쪽 [[위갑상동맥]]이 결핍된 경우 이를 보상할 수 있다.<ref name=RARE>{{cite journal|author1=Yilmaz E.|author2=Celik H.H.|author3=Durgun B.|author4=Atasever A.|author5=Ilgi S.|title=Arteria thyroidea ima arising from the brachiocephalic trunk with bilateral absence of inferior thyroid arteries: a case report|journal=Surgical and Radiologic Anatomy|volume=15|issue=3|pages=197–199|year=1993|doi=10.1007/bf01627705|pmid=8235962|s2cid=32274136}}</ref>

맨아래갑상동맥의 길이가 짧은 경우 [[가슴샘]]에 혈액을 공급하며 끝나며 ''thymica accessoria'' 라고 한다.<ref name=JOA />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2022년 11월 15일 (화) 15:33 판

맨아래갑상동맥
목 주변 동맥의 위치
정보
기원팔머리동맥 또는 다른 동맥
혈액 공급갑상샘, 기관, 부갑상샘, 가슴샘
식별자
라틴어arteria thyroidea ima
영어thyroid ima artery
TA98A12.2.04.005
TA24180
FMA3936

맨아래갑상동맥(thyroid ima artery, thyroidea ima artery, thyroid artery of Neubauer, lowest thyroid artery) 또는 최하갑상선동맥(最下甲狀腺動脈)은 머리와 목의 동맥으로, 해부학적 변이이다. 존재하는 경우 갑상샘에 주로 혈액을 공급하며, 그 외에도 드물지만 기관, 부갑상샘, (thymica accessoria라는 가지를 통해) 가슴샘에도 혈액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한쪽 또는 양쪽 아래갑상동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보상을 위해 존재한다고도 보고되었으며, 일부 소수의 사람들에서는 갑상샘에 혈액을 공급하는 유일한 동맥이다. 맨아래갑상동맥의 기원, 크기, 혈액 공급, 끝나는 지점은 다양하며, 인구의 대략 3.8%에 존재한다. 성인보다 태아에서 4.5배 더 흔하다[1] 드물게 존재하며 그 양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특히 기관절개술이나 다른 기도확보 수술 중에 외과적 합병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구조

갑상샘의 정맥. 맨아래갑상동맥이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 시작 지점과 경로는 볼 수 있다.

맨아래갑상동맥은 원래 태아순환에 속하는 배아의 동맥으로, 혈관이 막히지 않고 태어날 때 열린 채로 남으면서 생긴다.[2]

맨아래갑상동맥의 시작 지점에는 변이가 많다. 대부분은 팔머리동맥에서 갈라져 나오지만,[3] 그 외에도 대동맥활, 오른온목동맥, 빗장밑동맥, 심장가로막동맥, 갑상목동맥, 어깨위동맥, 속가슴동맥 등에서 시작되기도 한다.[4] 기관의 앞쪽에서 주행하며 위세로칸에서 갑상샘 아래쪽까지 올라간다.[2]

크기 역시 덧갑상동맥처럼 작기도 하지만 갑상샘의 주된 혈관들만큼 큰 경우도 있다. 동맥 내강의 직경은 3 ~ 5mm 정도이다.[5] 갑상샘의 부수적인 동맥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간혹 하나 이상의 주된 갑상샘 혈관이 부전 상태이거나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그 역할을 보상할 수 있다.[6] 맨아래갑상동맥은 갑상샘 아래쪽에서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대개 아래갑상동맥의 크기가 작거나 없을 때 그 역할이 중요해진다.[7] In such cases, it is known as the accessory inferior thyroid artery.[5][6] 드물게는 한쪽 또는 양쪽 위갑상동맥이 결핍된 경우 이를 보상할 수 있다.[8]

맨아래갑상동맥의 길이가 짧은 경우 가슴샘에 혈액을 공급하며 끝나며 thymica accessoria 라고 한다.[5]

참고 문헌

  1. Yurasakpong, Laphatrada; Nantasenamat, Chanin; Janta, Sirorat; Eiamratchanee, Pinthusorn; Coey, James; Chaiyamoon, Arada; Kruepunga, Nutmethee; Senarai, Thanyaporn; Langer, Martin Franz; Meemon, Krai; Suwannakhan, Athikhun (2022). “The decreasing prevalence of the thyroid ima artery: a systematic review and machine learning assisted meta-analysis”. 《Annals of Anatomy - Anatomischer Anzeiger》 (영어) 239: 151803. doi:10.1016/j.aanat.2021.151803. ISSN 0940-9602. PMID 34265384. 
  2. “Thyroidea ima artery (anatomy)”. General Practice Notebook. 2016년 1월 21일에 확인함. 
  3. Henry Gray (2015). Susan Standring, 편집.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41판. Elsevier Health Sciences. 1026쪽. ISBN 978-0-7020-6851-5. 
  4. Ronald A. Bergman; Adel K. Afifi; Ryosuke Miyauchi. “Thyroidea Ima (of Neubauer) Artery”. Anatomy Atlases. 2016년 1월 21일에 확인함. 
  5. G. Wyatt Pratt (1916). “The Thyroidea Ima Artery”. 《Journal of Anatomy》 50 (Pt 3): 239–242. 
  6.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radio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7. Choi, Yeo-Kyu Youn, Kyu Eun Lee, June Young (2014). 《Color atlas of thyroid surgery : open, endoscopic and robotic procedues》 Aufl. 2014판. Berlin, Heidelberg: Springer Berlin Heidelberg. 3쪽. ISBN 978-3-642-37262-9. 
  8. Yilmaz E.; Celik H.H.; Durgun B.; Atasever A.; Ilgi S. (1993). “Arteria thyroidea ima arising from the brachiocephalic trunk with bilateral absence of inferior thyroid arteries: a case report”. 《Surgical and Radiologic Anatomy》 15 (3): 197–199. doi:10.1007/bf01627705. PMID 8235962. S2CID 32274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