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지능과 결정지능: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 부착 (근거 1, 근거 2)
24번째 줄: 24번째 줄:
==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과의 관계 ==
==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과의 관계 ==
연구자들은 유동지능과 결정지능의 이론을 [[피아제의 인지 발달론]](Piaget's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과 연결시켜 왔다.<ref>{{저널 인용|last1=Papalia|first1=D.|last2=Fitzgerald|first2=J.|last3=Hooper|first3=F. H.|year=1971|title=Piagetian Theory and the Aging Process: Extensions and Speculations|journal=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volume=2|pages=3–20|doi=10.2190/AG.2.1.b|s2cid=143590129}}</ref><ref name="Schonfeld'">{{저널 인용|last1=Schonfeld|first1=I.S.|year=1986|title=The Genevan and Cattell-Horn conceptions of intelligence compared: The early implementation of numerical solution aids|url=https://academicworks.cuny.edu/cgi/viewcontent.cgi?article=1278&context=gc_pubs|journal=Developmental Psychology|volume=22|issue=2|pages=204–212|doi=10.1037/0012-1649.22.2.204|s2cid=222275196 }}</ref> 유동능력과 피아제의 수행지능(operative intelligence) 모두 논리적 사고와 관계 교육(eduction of relations, 카텔이 사용한 관계의 추론을 의미하던 표현)에 관계 있다. 결정능력과 피아제의 일상학습 치료(treatment of everyday learning)는 경험의 영향을 반영한다. 유동능력과 결정지능의 관계처럼, 피아제의 수행성(operativity)은 일상학습(everyday learning)보다 앞서며, 궁극적으로는 일상 학습의 기반을 제공한다고 여겨진다.<ref name="Schonfeld'" />
연구자들은 유동지능과 결정지능의 이론을 [[피아제의 인지 발달론]](Piaget's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과 연결시켜 왔다.<ref>{{저널 인용|last1=Papalia|first1=D.|last2=Fitzgerald|first2=J.|last3=Hooper|first3=F. H.|year=1971|title=Piagetian Theory and the Aging Process: Extensions and Speculations|journal=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volume=2|pages=3–20|doi=10.2190/AG.2.1.b|s2cid=143590129}}</ref><ref name="Schonfeld'">{{저널 인용|last1=Schonfeld|first1=I.S.|year=1986|title=The Genevan and Cattell-Horn conceptions of intelligence compared: The early implementation of numerical solution aids|url=https://academicworks.cuny.edu/cgi/viewcontent.cgi?article=1278&context=gc_pubs|journal=Developmental Psychology|volume=22|issue=2|pages=204–212|doi=10.1037/0012-1649.22.2.204|s2cid=222275196 }}</ref> 유동능력과 피아제의 수행지능(operative intelligence) 모두 논리적 사고와 관계 교육(eduction of relations, 카텔이 사용한 관계의 추론을 의미하던 표현)에 관계 있다. 결정능력과 피아제의 일상학습 치료(treatment of everyday learning)는 경험의 영향을 반영한다. 유동능력과 결정지능의 관계처럼, 피아제의 수행성(operativity)은 일상학습(everyday learning)보다 앞서며, 궁극적으로는 일상 학습의 기반을 제공한다고 여겨진다.<ref name="Schonfeld'" />

== 유동지능 측정 ==
유동지능에 대한 다양한 측정법이 고안되어 왔다.

=== Raven's Progressive Matrices ===
[[레이븐 지능검사]](Raven's Progressive Matrices, RPM)<ref>{{Cite book |last1=Raven |first1=J. |title=Manual for Raven's Progressive Matrices and Vocabulary Scales |last2=Raven |first2=J. C. |last3=Court |first3=J. H. |publisher=Harcourt Assessment |year=2003 |location=San Antonio, TX |chapter=Section 1: General Overview |orig-year=1998}}{{page needed|date=December 2012}}</ref>는 유동능력 측정법 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이다. 이는 비언어적 다지선다형 테스트이다. 참가자들은 여러 물체들의 공간적 조직에 기반한 관련 특징을 규명하여 그림들을 완성하고, 일치하는 특성 1개 이상과 맞는 물체 1개를 고르는 것이다.<ref>{{Cite journal |last1=Bornstein |first1=Joel C. |last2=Foong |first2=Jaime Pei Pei |year=2009 |title=MGluR<sub>1</sub> Receptors Contribute to Non-Purinergic Slow Excitatory Transmission to Submucosal VIP Neurons of Guinea-Pig Ileum |journal=Frontiers in Neuroscience |volume=3 |pages=46 |doi=10.3389/neuro.21.001.2009 |pmc=2695390 |pmid=20582273 |doi-access=free}}</ref> 이 과업은 정신 표상(mental representation) 혹은 '관계론적 추론(relational reasoning)' 사이의 1개 이상의 관계를 고려하는 능력을 측정한다. '명제 비유(propositional analogy)'와 의미론적 결정(semantic decision) 과업도 관계론적 추론 측정에 사용된다.<ref>{{Cite journal |last1=Wright |first1=Samantha B. |last2=Matlen |first2=Bryan J. |last3=Baym |first3=Carol L. |last4=Ferrer |first4=Emilio |last5=Bunge |first5=Silvia A. |year=2007 |title=Neural correlates of fluid reasoning in children and adults |journal=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volume=1 |pages=8 |doi=10.3389/neuro.09.008.2007 |pmc=2525981 |pmid=18958222 |doi-access=free}}</ref><ref>{{Cite journal |last1=Ferrer |first1=Emilio |last2=O'Hare |first2=Elizabeth D. |last3=Bunge |first3=Silvia A. |year=2009 |title=Fluid reasoning and the developing brain |journal=Frontiers in Neuroscience |volume=3 |issue=1 |pages=46–51 |doi=10.3389/neuro.01.003.2009 |pmc=2858618 |pmid=19753096 |doi-access=free}}</ref>


== 각주 ==
== 각주 ==

2022년 10월 13일 (목) 12:06 판

유동지능(流動智能, fluid intelligence, 유동성지능, 유동적지능) (gf)과 결정지능(結晶智能, crystallized intelligence, 결정성지능, 결정적지능) (gc)이란 개념은 1963년 심리학자 레이몬드 카텔(Raymond Cattell)이 창안한 것이다.[1][2] 카텔의 정신측정학(psychometry) 방식의 이론에 의하면, 일반지능(general intelligence) (g)은 gfgc로 다시 나뉜다. 유동지능은 새로운 추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으로, 이해(comprehension), 문제 해결(problem solving), 학습(learning)과 같은 많은 중요한 기술들과 연관되어 있다.[3] 반대로 결정지능은 이전에 학습한 적 있는 일차적 관계적 추상개념을 적용하여 이차적 관계적 추상개념을 연역해 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4]

역사

유동지능과 결정지능은 레이몬드 카텔이 개념화는 구성개념(constructs)이다.[1] 두 개념은 카텔과 제자 존 레너드 혼(John Lenard Horn)이 더 개발시켰다.[5][6][2]

유동지능 대 결정지능

유동지능 (gf)은 추론과 기타 정신 활동의 기본적인 과정으로, 선행 학습(공식적 비공식적 교육)과 문화 수용(acculturation)에는 최소한만큼만 의존한다. 혼은 유동지능은 유형이 없으며 폭넓은 인지 활동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7] 유동추론을 측정하는 과업들은 추상적 추론 문제들을 해결하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유동지능 측정 과업의 예시로는 숫자 분류, 숫자 분석, 숫자열 및 문자열, 행렬(matrix), 쌍 연합(paired associates)이 있다.[6]

결정지능 (gc)은 학습된 절차와 지식이다. 이는 경험과 문화 수용의 효과를 반영한다. 혼은 결정능력(crystallized ability)이란 "경험에서 나오는 침전물(precipitate out of experience)"로, 문화지능(intelligence of culture)으로 조합되어 온 유동능력(fluid ability)의 선행 적용에서 유래한 것이다.[7] 결정지능을 측정하는 과업의 예시로는 어휘(vocabulary), 일반 정보(general information), 추상적 어휘 비유(abstract word analogies), 언어 구조(mechanics of language)가 있다.[6]

문제해결에 있어 유동지능과 결정지능의 적용 사례

[7]은 아래와 같이 문제 해결에 있어 유동적 접근법과 결정적 접근법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가 말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한 병원에 환자 100명이 있다. 일부 환자는 다리가 한 개이지만 신발을 신고 있다. 이들 환자 수는 짝수이다. 나머지 환자 중에 절반은 맨발이다. 신고 있는 신발 수는 얼마인가?

결정적 접근법은 고등학교 수준의 대수학(algebra) 적용이다. 대수학은 일종의 문화 수용적 산물이다.

이란 공식은 신발 숫자를 표현한 것이며, 여기서 x는 다리 하나의 사람들의 숫자이다. 는 두 다리를 가진 사람의 숫자이다. 답은 결국 100개가 된다.

반대로, 혼은 유동적 접근법의 만들어진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는 고등학교 대수학 학습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의 사례에서, 혼은 너무 어려 학교에 못들어가지만 유동능력 적용을 통한 문제를 해결하는 한 소년을 그렸다. "만약 두 다리 사람들 중 절반이 신발이 없고 나머지 짝수 수의 사람들이 다리가 하나라면, 신발은 매 한 사람마다 동일하게 돌아가므로 답은 100이라고 소년은 추론할 것이다."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과의 관계

연구자들은 유동지능과 결정지능의 이론을 피아제의 인지 발달론(Piaget's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과 연결시켜 왔다.[8][9] 유동능력과 피아제의 수행지능(operative intelligence) 모두 논리적 사고와 관계 교육(eduction of relations, 카텔이 사용한 관계의 추론을 의미하던 표현)에 관계 있다. 결정능력과 피아제의 일상학습 치료(treatment of everyday learning)는 경험의 영향을 반영한다. 유동능력과 결정지능의 관계처럼, 피아제의 수행성(operativity)은 일상학습(everyday learning)보다 앞서며, 궁극적으로는 일상 학습의 기반을 제공한다고 여겨진다.[9]

유동지능 측정

유동지능에 대한 다양한 측정법이 고안되어 왔다.

Raven's Progressive Matrices

레이븐 지능검사(Raven's Progressive Matrices, RPM)[10]는 유동능력 측정법 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이다. 이는 비언어적 다지선다형 테스트이다. 참가자들은 여러 물체들의 공간적 조직에 기반한 관련 특징을 규명하여 그림들을 완성하고, 일치하는 특성 1개 이상과 맞는 물체 1개를 고르는 것이다.[11] 이 과업은 정신 표상(mental representation) 혹은 '관계론적 추론(relational reasoning)' 사이의 1개 이상의 관계를 고려하는 능력을 측정한다. '명제 비유(propositional analogy)'와 의미론적 결정(semantic decision) 과업도 관계론적 추론 측정에 사용된다.[12][13]

각주

  1. Cattell, R. B. (1963). “Theory of fluid and crystallized intelligence: A critical experi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4: 1–22. doi:10.1037/h0046743. 
  2. Cattell, R. B. (1971). Abilities: Their structure, growth, and action. New York: Houghton Mifflin. ISBN 0-395-04275-5.
  3. Unsworth, Nash; Fukuda, Keisuke; Awh, Edward; Vogel, Edward K. (2014). “Working memory and fluid intelligence: Capacity, attention control, and secondary memory retrieval”. 《Cognitive Psychology》 (영어) 71: 1–26. doi:10.1016/j.cogpsych.2014.01.003. PMC 4484859. PMID 24531497. 
  4. Cattell, R. B. Intelligence: Its Structure, Growth and Action. Elsevier, 1987.
  5. Horn, J. L., & Cattell, R. B. (1967). Age differences in fluid and crystallized intelligence. Acta Psychologica, 26, 107–129. https://doi.org/10.1016/0001-6918(67)90011-X
  6. Horn, J. L. (1968). Organization of ab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Psychological Review, 75, 242-259. https://doi.org/10.1037/h0025662
  7. Horn, J. L. (1969). Intelligence: Why it grows. Why it declines. Trans-action, 4, 23-31.
  8. Papalia, D.; Fitzgerald, J.; Hooper, F. H. (1971). “Piagetian Theory and the Aging Process: Extensions and Speculation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2: 3–20. doi:10.2190/AG.2.1.b. S2CID 143590129. 
  9. Schonfeld, I.S. (1986). “The Genevan and Cattell-Horn conceptions of intelligence compared: The early implementation of numerical solution aids”. 《Developmental Psychology》 22 (2): 204–212. doi:10.1037/0012-1649.22.2.204. S2CID 222275196. 
  10. Raven, J.; Raven, J. C.; Court, J. H. (2003) [1998]. 〈Section 1: General Overview〉. 《Manual for Raven's Progressive Matrices and Vocabulary Scales》. San Antonio, TX: Harcourt Assessment. [쪽 번호 필요]
  11. Bornstein, Joel C.; Foong, Jaime Pei Pei (2009). “MGluR1 Receptors Contribute to Non-Purinergic Slow Excitatory Transmission to Submucosal VIP Neurons of Guinea-Pig Ileum”. 《Frontiers in Neuroscience》 3: 46. doi:10.3389/neuro.21.001.2009. PMC 2695390. PMID 20582273. 
  12. Wright, Samantha B.; Matlen, Bryan J.; Baym, Carol L.; Ferrer, Emilio; Bunge, Silvia A. (2007). “Neural correlates of fluid reasoning in children and adults”.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1: 8. doi:10.3389/neuro.09.008.2007. PMC 2525981. PMID 18958222. 
  13. Ferrer, Emilio; O'Hare, Elizabeth D.; Bunge, Silvia A. (2009). “Fluid reasoning and the developing brain”. 《Frontiers in Neuroscience》 3 (1): 46–51. doi:10.3389/neuro.01.003.2009. PMC 2858618. PMID 19753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