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성 산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아직 하는 중
(차이 없음)

2022년 6월 7일 (화) 17:20 판

대사성 산증
혈중 중탄산염(HCO3) 농도에 따라 산증의 중증도가 정해진다.
진료과신장내과
합병증급성: 사망률이 높아 예후가 좋지 않음
만성: 콩팥 기능, 근골격계, 그 외 심혈관계 영향에 부작용이 있을 수 있음
유형급성 대사성 산증
만성 대사성 산증
병인급성: 과량의 유기산
만성: 콩팥 기능 저하
진단 방식혈중 중탄산염(HCO3-) 농도 측정
치료급성: IV 중탄산염 치료[1]
만성: 경구 알칼리 치료, 과일과 야채 위주 식단[2]
빈도급성: 입원 중이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에서 14-42% 정도로 가장 자주 발생[3][4]
만성: 만성 신부전(CKD) 환자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9.4% CKD 3a기, 18.1% CKD 3b기, 31.5% CKD 4기와 5기[5]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은 몸의 산-염기 균형에 이상이 생기는 심각한 전해질 장애이다. 세 가지 주된 기저 원인이 있는데, 산 생산 증가, 중탄산염 손실, 콩팥의 염기 배설 능력 감소가 그것들이다.[6] 대사성 산증은 동맥혈 pH가 7.35 밑으로 떨어지는 산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7] 산혈증과 산증은 같지 않다. 수소 이온 농도는 다른 산-염기 장애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대사성 산증 환자에서 pH는 낮을 수도, 정상일 수도, 높을 수도 있다.

수 분에서 수 일 정도 지속되는 급성 대사성 산증은 중증 질환이나 입원 중에 종종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급성 대사성 산증은 몸이 지나치게 많은 양의 유기산(케톤체케톤산증, 락트산이면 젖산산증)을 생산하는 것이 원인이다. 수 주에서 연 단위로 지속되는 만성 대사성 산증은 만성 신부전과 같은 콩팥 기능 손상이나, 중탄산염이 손실되고 있는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급성과 만성 대사성 산증은 부작용에도 차이가 있다. 급성의 경우 입원 중 심혈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만성은 근육이나 뼈, 콩팥, 심혈관계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8]

각주

  1. Jaber, Samir; Paugam, Catherine; Futier, Emmanuel; Lefrant, Jean-Yves; Lasocki, Sigismond; Lescot, Thomas; Pottecher, Julien; Demoule, Alexandre; Ferrandière, Martine; Asehnoune, Karim; Dellamonica, Jean; Velly, Lionel; Abback, Paër-Sélim; Jong, Audrey de; Brunot, Vincent; Belafia, Fouad; Roquilly, Antoine; Chanques, Gérald; Muller, Laurent; Constantin, Jean-Michel; Bertet, Helena; Klouche, Kada; Molinari, Nicolas; Jung, Boris; Jaber, Samir; Jong, Audrey de; Belafia, Fouad; Chanques, Gérald; Monnin, Marion; Delay, Jean-Marc; Cissé, Moussa; Geniez, Marie; Conseil, Matthieu; Souche, Bruno; Paugam, Catherine; Abback, Paër-Sélim; Futier, Emmanuel; Constantin, Jean Michel; Lefrant, Jean-Yves; Muller, Laurent; Lasocki, Sigismond; Lescot, Thomas; Pottecher, Julien; Noll, Eric; Demoule, Alexandre; Morawiec, Elise; Ferrandière, Martine; Asehnoune, Karim; Roquilly, Antoine; Dellamonica, Jean; Robert, Alexandre; Velly, Lionel; Triglia, Thibaut; Brunot, Vincent; Molinari, Nicolas; Mechati, Malika; Arnal, Jean-Michel; Durand-Gasselin, Jacques; Demoly, Didier; Hraiech, Sami; Papazian, Laurent; Gilles, Vincent; Rimmelé, Thomas; Riu, Béatrice; Cougot, Pierre; Fourcade, Olivier; Seguin, Philippe; Charbit, Jonathan; Capdevila, Xavier; Leone, Marc; Zieleskiewicz, Laurent; Ichai, Carole; Orban, Jean Christophe; Darmon, Michael; Azoulay, Elie; Lemiale, Virginie; Zafrani, Lara; Debbat, Karim; Mimoz, Oliver; Guérin, Claude; Kipnis, Eric (2018년 7월 7일). “Sodium bicarbonate therapy for patients with severe metabolic acidaemia in the intensive care unit (BICAR-ICU): a multicentre, open-label, randomised controlled, phase 3 trial” (PDF). 《The Lancet》 (영어) 392 (10141): 31–40. doi:10.1016/S0140-6736(18)31080-8. PMID 29910040. S2CID 49276138. 
  2. Navaneethan, Sankar D.; Shao, Jun; Buysse, Jerry; Bushinsky, David A. (2019년 7월 5일). “Effects of Treatment of Metabolic Acidosis in CK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ic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영어) 14 (7): 1011–1020. doi:10.2215/CJN.13091118. PMC 6625635. PMID 31196951. 
  3. Kraut, Jeffrey A.; Madias, Nicolaos E. (2012년 9월 4일). “Treatment of acute metabolic acidosis: a pathophysiologic approach”. 《Nature Reviews Nephrology》 8 (10): 589–601. doi:10.1038/nrneph.2012.186. PMID 22945490. S2CID 34657707. 
  4. Jung, Boris; Rimmele, Thomas; Le Goff, Charlotte; Chanques, Gérald; Corne, Philippe; Jonquet, Olivier; Muller, Laurent; Lefrant, Jean-Yves; Guervilly, Christophe; Papazian, Laurent; Allaouchiche, Bernard; Jaber, Samir (2011). “Severe metabolic or mixed acidemia on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incidence, prognosis and administration of buffer therapy. A prospective, multiple-center study”. 《Critical Care (London, England)》 15 (5): R238. doi:10.1186/cc10487. PMC 3334789. PMID 21995879. 
  5. Inker, Lesley A.; Coresh, Josef; Levey, Andrew S.; Tonelli, Marcello; Muntner, Paul (2011년 12월 1일). “Estimated GFR, Albuminuria, and Complications of Chronic Kidney Diseas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영어) 22 (12): 2322–2331. doi:10.1681/ASN.2010111181. PMC 3279937. PMID 21965377. 
  6. Emmett, Michael; Szerlip, Harold. “Approach to the adult with metabolic acidosis”. 
  7. Costanzo, Linda (2010). 《Physiology》. Philadelphia, Pennsylvania: Elsevier. ISBN 978-1-4160-6216-5. 
  8. Kraut, Jeffrey A.; Madias, Nicolaos E. (2010년 5월 1일). “Metabolic acidosis: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Nature Reviews Nephrology》 (영어) 6 (5): 274–285. doi:10.1038/nrneph.2010.33. ISSN 1759-5061. PMID 20308999. S2CID 20551246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