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출전 예방요법: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Gumagogu (토론 | 기여)
번역 추가
Gumagogu (토론 | 기여)
내용 번역 추가
35번째 줄: 35번째 줄:


== 부작용 ==
== 부작용 ==
연구에 따르면, 노출 전 예방요법은 일부에 대해서 부작용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복용자에 대해서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사람들은 구역감, 두통, 또는 위장 증상을 동반하는 "복용 시작 신드롬"을 동반하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PrEP 복용 수주 내에 자연스럽게 해소된다.<ref>{{저널 인용|제목=HIV preexposure prophylaxis: new data and potential use|저널=Topics in Antiviral Medicine|성=Celum|이름=Connie L.|url=https://pubmed.ncbi.nlm.nih.gov/22298887|날짜=2011-12|권=19|호=5|쪽=181–185|issn=2161-5853|pmc=6148898|pmid=22298887}}</ref><ref name="CDCGuidelines" /> 일부 연구에 따르면 PrEP로 Truvada를 사용할 경우 경등도에서 중등도의 신기능 저하가 나타나는데, 이는 대부분 당뇨 또는 사구체 여과율이 90이하와 같이 잠재적 위험도가 있는 50세 이상의 집단과 관련있는 것으로 밝혀졌다.<ref>{{저널 인용|제목=HIV preexposure prophylaxis with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emtricitabine and changes in kidney function and tubular health|저널=AIDS (London, England)|성=Ascher|이름=Simon B.|성2=Scherzer|이름2=Rebecca|url=https://pubmed.ncbi.nlm.nih.gov/31794523|날짜=2020-04-01|권=34|호=5|쪽=699–706|doi=10.1097/QAD.0000000000002456|issn=1473-5571|pmc=7071971|pmid=31794523|성3=Estrella|이름3=Michelle M.|성4=Shigenaga|이름4=Judy|성5=Spaulding|이름5=Kimberly A.|성6=Glidden|이름6=David V.|성7=Mehrotra|이름7=Megha L.|성8=Defechereux|이름8=Patricia|성9=Gandhi|이름9=Monica}}</ref><ref>{{저널 인용|제목=Preexposure Prophylaxis for HIV Prevention in a Large Integrated Health Care System: Adherence, Renal Safety, and Discontinuation|저널=Journal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s (1999)|성=Marcus|이름=Julia L.|성2=Hurley|이름2=Leo B.|url=https://pubmed.ncbi.nlm.nih.gov/27851714|날짜=2016-12-15|권=73|호=5|쪽=540–546|doi=10.1097/QAI.0000000000001129|issn=1944-7884|pmc=5424697|pmid=27851714|성3=Hare|이름3=Charles Bradley|성4=Nguyen|이름4=Dong Phuong|성5=Phengrasamy|이름5=Tony|성6=Silverberg|이름6=Michael J.|성7=Stoltey|이름7=Juliet E.|성8=Volk|이름8=Jonathan E.}}</ref> <ref name=":0" />이러한 신기능 저하는 약물 복용 이후 수주 이후에 안정화되므로 크게 염려할 필요가 없으며, 약물을 복용할 경우 다시 돌아온다. <ref>{{웹 인용|url=https://www.sfaf.org/collections/beta/new-research-at-croi-2016-how-prep-changes-kidney-function/|제목=New research at CROI 2016: How PrEP changes kidney function}}</ref><ref>{{저널 인용|제목=The debut of PMC Biophysics|저널=PMC Biophysics|성=Zhou|이름=Huan-Xiang|url=http://dx.doi.org/10.1186/1757-5036-1-1|날짜=2008-11-05|권=1|호=1|doi=10.1186/1757-5036-1-1|issn=1757-5036}}</ref>하지만, 이러한 부작용은 PrEP를 시행하는 몇몇 사람들에게 Truvada를 포함한 비슷한 약물 제조사에게 소송을 제기할만큼 심각하게 나타나기도 하였다.<ref>{{웹 인용|url=https://www.aidshealth.org/2019/04/41-hiv-and-prep-patients-file-california-personal-injury-lawsuit-over-gileads-tdf-based-drugs/|제목=41 HIV and PrEP Patients File California Personal Injury Lawsuit Over Gilead’s TDF-Based Drugs}}</ref><ref>{{웹 인용|url=https://www.aidshealth.org/2019/07/ahf-calls-on-gilead-to-set-up-10-billion-fund-for-victims-harmed-by-its-tdf-based-drugs/|제목=AHF Calls on Gilead to Set Up $10 Billion Fund for Victims Harmed by its TDF-based Drugs}}</ref><ref>{{웹 인용|url=https://www.latimes.com/business/la-fi-gilead-20160529-snap-story.html|제목=A question of timing: A lawsuit claims Gilead Sciences could have developed a less-harmful version of its HIV treatment sooner}}</ref>
연구에 따르면, 노출 전 예방요법은 일부에 대해서 부작용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복용자에 대해서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사람들은 구역감, 두통, 또는 위장 증상을 동반하는 "복용 시작 신드롬"을 동반하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PrEP 복용 수주 내에 자연스럽게 해소된다.<ref>{{저널 인용|제목=HIV preexposure prophylaxis: new data and potential use|저널=Topics in Antiviral Medicine|성=Celum|이름=Connie L.|url=https://pubmed.ncbi.nlm.nih.gov/22298887|날짜=2011-12|권=19|호=5|쪽=181–185|issn=2161-5853|pmc=6148898|pmid=22298887}}</ref><ref name="CDCGuidelines" /> 일부 연구에 따르면 PrEP로 Truvada를 사용할 경우 경등도에서 중등도의 신기능 저하가 나타나는데, 이는 대부분 당뇨 또는 사구체 여과율이 90이하와 같이 잠재적 위험도가 있는 50세 이상의 집단과 관련있는 것으로 밝혀졌다.<ref>{{저널 인용|제목=HIV preexposure prophylaxis with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emtricitabine and changes in kidney function and tubular health|저널=AIDS (London, England)|성=Ascher|이름=Simon B.|성2=Scherzer|이름2=Rebecca|url=https://pubmed.ncbi.nlm.nih.gov/31794523|날짜=2020-04-01|권=34|호=5|쪽=699–706|doi=10.1097/QAD.0000000000002456|issn=1473-5571|pmc=7071971|pmid=31794523|성3=Estrella|이름3=Michelle M.|성4=Shigenaga|이름4=Judy|성5=Spaulding|이름5=Kimberly A.|성6=Glidden|이름6=David V.|성7=Mehrotra|이름7=Megha L.|성8=Defechereux|이름8=Patricia|성9=Gandhi|이름9=Monica}}</ref><ref>{{저널 인용|제목=Preexposure Prophylaxis for HIV Prevention in a Large Integrated Health Care System: Adherence, Renal Safety, and Discontinuation|저널=Journal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s (1999)|성=Marcus|이름=Julia L.|성2=Hurley|이름2=Leo B.|url=https://pubmed.ncbi.nlm.nih.gov/27851714|날짜=2016-12-15|권=73|호=5|쪽=540–546|doi=10.1097/QAI.0000000000001129|issn=1944-7884|pmc=5424697|pmid=27851714|성3=Hare|이름3=Charles Bradley|성4=Nguyen|이름4=Dong Phuong|성5=Phengrasamy|이름5=Tony|성6=Silverberg|이름6=Michael J.|성7=Stoltey|이름7=Juliet E.|성8=Volk|이름8=Jonathan E.}}</ref> <ref name=":0" />이러한 신기능 저하는 약물 복용 이후 수주 이후에 안정화되므로 크게 염려할 필요가 없으며, 약물을 복용을 중지할 경우 다시 정상적으로 회복된다. <ref>{{웹 인용|url=https://www.sfaf.org/collections/beta/new-research-at-croi-2016-how-prep-changes-kidney-function/|제목=New research at CROI 2016: How PrEP changes kidney function}}</ref><ref>{{저널 인용|제목=The debut of PMC Biophysics|저널=PMC Biophysics|성=Zhou|이름=Huan-Xiang|url=http://dx.doi.org/10.1186/1757-5036-1-1|날짜=2008-11-05|권=1|호=1|doi=10.1186/1757-5036-1-1|issn=1757-5036}}</ref>하지만, 이러한 부작용은 PrEP를 시행하는 몇몇 사람들에게 Truvada를 포함한 비슷한 약물 제조사에게 소송을 제기할만큼 심각하게 나타나기도 하였다.<ref>{{웹 인용|url=https://www.aidshealth.org/2019/04/41-hiv-and-prep-patients-file-california-personal-injury-lawsuit-over-gileads-tdf-based-drugs/|제목=41 HIV and PrEP Patients File California Personal Injury Lawsuit Over Gilead’s TDF-Based Drugs}}</ref><ref>{{웹 인용|url=https://www.aidshealth.org/2019/07/ahf-calls-on-gilead-to-set-up-10-billion-fund-for-victims-harmed-by-its-tdf-based-drugs/|제목=AHF Calls on Gilead to Set Up $10 Billion Fund for Victims Harmed by its TDF-based Drugs}}</ref><ref>{{웹 인용|url=https://www.latimes.com/business/la-fi-gilead-20160529-snap-story.html|제목=A question of timing: A lawsuit claims Gilead Sciences could have developed a less-harmful version of its HIV treatment sooner}}</ref>


임상연구에서는 [[골연화증]] 또는 골 손실과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었다.<ref>{{저널 인용|제목=Tenofovir treatment of primary osteoblasts alters gene expression profiles: implications for bone mineral density loss|저널=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성=Grigsby|이름=Iwen F.|성2=Pham|이름2=Lan|url=https://pubmed.ncbi.nlm.nih.gov/20171173|날짜=2010-03-26|권=394|호=1|쪽=48–53|doi=10.1016/j.bbrc.2010.02.080|issn=1090-2104|pmc=2847063|pmid=20171173|성3=Mansky|이름3=Louis M.|성4=Gopalakrishnan|이름4=Raj|성5=Carlson|이름5=Ann E.|성6=Mansky|이름6=Kim C.}}</ref><ref name=":5">{{저널 인용|제목=Bone mineral density changes among HIV-uninfected young adults in a randomised trial of pre-exposure prophylaxis with tenofovir-emtricitabine or placebo in Botswana|저널=PloS One|성=Kasonde|이름=Michael|성2=Niska|이름2=Richard W.|url=https://pubmed.ncbi.nlm.nih.gov/24625530|날짜=2014|권=9|호=3|쪽=e90111|doi=10.1371/journal.pone.0090111|issn=1932-6203|pmc=3953113|pmid=24625530|성3=Rose|이름3=Charles|성4=Henderson|이름4=Faith L.|성5=Segolodi|이름5=Tebogo M.|성6=Turner|이름6=Kyle|성7=Smith|이름7=Dawn K.|성8=Thigpen|이름8=Michael C.|성9=Paxton|이름9=Lynn A.}}</ref> 골 손실 자체는 미미하며, 약물로 인한 골 손실이 골다공증으로 이어지지 않기에 이와 같은 부작용은 약물에 대한 주 염려 대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ref name=":5" /> 대조군과 약물 복용군을 비교하였을 때 골절에 대하여 두 군간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ref name=":5" />


HIV 치료를 위해 항바이러스 요법을 복용하는 개인들에게서 지방 재분포와 지방 축적이 골 손실에 비해 더 많은 빈도로 관찰되었는데, 이는 특히 옛 [[항바이러스제|항바이러스]] 약물을 복용 대상자에게 더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ref>{{웹 인용|url=https://www.poz.com/basics/hiv-basics/changes-face-body-lipodystrophy-wasting|제목=Changes to Your Face and Body (Lipodystrophy, Wasting and Weight Gain)}}</ref> 노출 전 예방 요법으로 약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2018년 2월 이후로 지방 재분배 또는 지방의 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HIV 음성인 경우에 노출 전 예방 요법으로 [[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를 사용할 경우 지방 재분포 또는 지방 축적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ref>{{웹 인용|url=https://www.aidsmap.com/news/feb-2018/prep-does-not-raise-lipids-or-alter-body-fat-safety-study-finds|제목=PrEP does not raise lipids or alter body fat, safety study finds}}</ref> 2018년 현재로써 이 연구들은 약물을 PrEP로 사용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지방 재분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평가하지는 않았으며, 일시적이긴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체중 변화가 체 내 약물 농도의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ref>{{웹 인용|url=https://www.healio.com/news/infectious-disease/20180213/truvada-as-hiv-prep-not-associated-with-net-fat-increase|제목=Truvada as HIV PrEP not associated with net fat increase}}</ref>


Truvada의 다른 위험한 부작용으로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자의 [[B형 간염]]의 급성 악화와, 젖산 산증, 그리고 심각한 간비대와 지방증이 있다.<ref name=":0" />


Descovy의 경우에도 "복용 시작 신드롬"은 Truvada와 비슷한 증상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일부 자료에서는 Descovy가 신장 기능이나 골다공증 환자의 복용 측면에서는 더 우수하다고 나타내고 있다. <ref>{{웹 인용|url=https://www.sfaf.org/resource-library/side-by-side-comparison-truvada-and-descovy-for-prep/|제목=Side-by-side comparison: Truvada and Descovy for PrEP}}</ref>


기재된 경고

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조합은 복용 중단시 B형 간염의 급성 악화를 가져올 수 있기에, 이 조합으로 이루어진 Truvada와 Descovy 모두 미국 FDA에서 부여하는 [[:en:Boxed_warning|블랙-박스 경고문]]을 동봉한다. 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조합의 약물은 HIV 양성인 사람에게 노출 전 예방 요법으로 사용할 경우 이 조합에 대한 HIV 내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약물을 노출 전 예방 요법으로 적절하게 지속 복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검사를 통해 HIV 감염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ref name=":0" /><ref name=":2" />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2021년 6월 29일 (화) 14:53 판

HIV 노출 전 예방에 사용되는 테 노포 비르 / 엠 트리시 타빈 조합 인 Truvada의 정제

노출전 예방요법 (Pre-exposure prophylaxis, PrEP)는 질병 유발 물질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에 아직 노출되지 않은 사람들의 질병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약물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일반적으로 항 바이러스 약물을 HIV/ AIDS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1] PrEP는 HIV 예방전략 중 하나로, 성적(sexually)으로 활동적인 성인, 주사 약물 사용에 관여하는 사람들(약물 주사 참조), 한 파트너만 HIV에 감염되고 다른 파트너는 감염되지 않은 혈청학적으로 불일치하는 사람을 포함하여 HIV 음성이지만 HIV에 걸릴 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2]

PrEP는 원래 계획에 맞게 적절히 사용될 시, HIV에 감염되는 위험이 99%까지 감소할 정도로 매우 효과적이다. [3] 2019년 기준, 세계보건기구(WHO)는 PrEP를 위해 두 가지 약물( 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 또는 라미부딘/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 조합을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4] 2019년 10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는 Truvada(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의 상품명)에 더해 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알라페나마이드(상품명 Descovy)의 사용을 허가했으며, 둘은 비슷한 정도의 HIV에 대한 보호 효과를 보인다.

[5]

의학적 사용

질병 통제 예방 센터 (CDC)에서 발행한 2017 년 업데이트 된 PrEP 임상 진료 지침

미국에서 연방 지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HIV 음성 성인에 대해 노출 전 예방(PrEP) 요법을 권장한다:

  • 최근 6 개월 동안 성적 활동이 있었으며, 최근에 HIV-음성 판정을 받은 파트너와 성적으로 일부일처제 관계가 아닌 사람, 그리고. . . [2]
    • 남자와 성관계를 가진 남자이면서
      • 지난 6 개월 내 콘돔없이 다른 남성과 항문 성교 를 한 적이 있거나
      • 지난 6 개월 내 성병이 있었던 경우
    • 또는 성적으로 활동적인 성인 (남성 또는 여성 파트너가 있는 남성 또는 여성)이며
      • 남성과 여성 모두와 성관계를 갖는 남성이거나
      • HIV에 걸릴 위험이 높은 파트너 (예 : 주사 약물 사용자, 남성과 성관계를 가진 남성)와 지속적인 콘돔 사용없이 성관계를 가진 경우
  • 또는 지난 6 개월 내 불법 약물을 주사했거나, 지난 6 개월 내 다른 약물 사용자와 유흥용 약물 주사 장비를 공유했거나, 지난 6 개월 동안 주사 약물 사용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사람

보츠와나, 캐나다, 케냐, 레소토, 남아공, 우간다, 영국, 잠비아짐바브웨를 포함한 세계의 타 정부 보건 기관에서는 HIV 고위험군에 대해 예방을 위한 PrEP 사용 국가 가이드라인을 개별적으로 정립하였다. [6]

종종, PrEP를 시작하기 전에 HIV 검사를 포함한 실험실 검사가 필요하다. PrEP가 시작되면, 개인은 적어도 3 ~ 6 개월마다 제공자(담당의)를 만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문 동안 의료 서비스 제공자는 HIV 검사를 반복하고, 다른 성병에 대한 검사를하고, 신장 기능을 모니터링하고, 임신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2] PrEP 시작을 위해서는 HIV 검사에서 내성이 나와야하는데, 이는 HIV 감염자가 PrEP 약물을 복용할 경우 엠트리시타빈에 내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는 HIV 환자의 엠트리시타빈에 대한 내성을 가져와, HIV 치료를 위한 약제 선택 폭을 제한하게 된다. [7]

PrEP는 HIV 감염 위험이 높은 개인의 감염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그러나 PrEP는 처방 된대로 약을 복용하는 사람들에게도 HIV 예방에 100 %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8] PrEP를 복용 했음에도 불구하고 HIV에 감염된 사람들의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9] PrEP를 복용하는 사람들은 콘돔과 같은 병용 예방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PrEP 요법을 실행하는 누군가가 HIV에 감염되면 HIV / AIDS의 징후와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 [10]

PrEP는 일반적으로 잠재적 노출 후 지속적으로 매일 복용한다. CDC는 현재 감염 증상이 있는 성적으로 활동적인 개인에 대해 HIV 검사, 약물 순응 상담, 위험 행동 감소 지원, 부작용 평가, STI 증상 평가 및 STI 검사를 제공하기 위해 최소 3 개월마다 후속 방문을 권장한다.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의 경우 임신 검사도 3 개월마다 실시해야 한다. 3 개월 시점 및 이후 6 개월마다 신장 기능과 세균성 성병의 존재를 평가한다. [11] PrEP의 효과는 준수와 관련이 있으며, 최선의 준수를 하지 않을 경우효율성이 감소하게 된다. [12]

HIV 감염 예방을 위해 PrEP 약물을 복용하는 모든 개인에게 매일 경구 투여가 여전히 권장되지만, 사건 기반 사전 노출 예방(이하 ED-PrEP)이라는 남성과 성관계를 갖는 남성을 위한 옵션 또한 존재한다. ED-PrEP는 "2 + 1 + 1"투약이라고도 한다. 왜냐하면 투약 요법은 성관계 2 ~ 24 시간 전에 두 알을 복용하고, 처음 두 알을 복용한 후 24시간 후에 한 알을 복용하고, 마지막 한 알을 첫 두 알을 복용한 48시간 이후에 복용하기 때문이다. [13] 이 투약 요법은 2015 년 캐나다와 프랑스에서 수행 된 IPERGAY 무작위 임상 시험에서 HIV 감염의 상대적 위험을 86 %까지 줄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WHO에 따르면, ED-PrEP는 상대적으로 성관계가 드물거나, 성관계를 계획하에 시행할 수 있거나 약 2 시간 동안 성관계를 늦출 수 있는 남성과, 이 투약 일정이 편리하다고 생각하는 남성의 HIV 감염 예방을 위해 고려할 수 있다. ED-PrEP는 시스젠더 또는 트렌스젠더 여성, 그리고 여성과 질 또는 항문 성교를 하는 남성과 같은 집단에서는 유효성, 안정성 데이터가 부족하기에 권고되지 않는다. ED-PrEP는 더 적은 알약이 필요하므로 다량의 알약에 의한 복용 부담을 줄이고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4]

2016 년에 세계 보건기구 (WHO)는 HIV 감염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항역전사 바이러스 약물 사용에 관한 지침을 공고화하고, 지속적인 HIV 감염 위험이 있거나 위험이 높은 처한 임산부 및 모유 수유 여성에게 PrEP 사용을 지원하였다. [15] [16] 임상 PrEP 시험에서 임신 첫 삼 분기 동안 PrEP를 포함한 TDF에 노출된 것은 임신 관련 위험 또는 태아 관련 위험 증가와 관련이 없다고 밝혀졌다. 모자 HIV 감염의 위험이 PrEP의 잠재적 위험에 비해 훨씬 크다. 또한 가이드라인은 PrEP를 받는 임산부와 모유 수유 여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임신 또는 모유 수유중인 여성을 포함하여 여성을 위한 PrEP 접근성은 세계적으로 제한적이다. HIV에 걸릴 위험이 있는 여성에 대한 PrEP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전세계 HIV 감염률을 줄이는데 필수적이다. [17]

금기사항

트루바다와 데스코비는 HIV 양성이거나, HIV 감염 상태를 모르는 개인에게 노출 전 예방요법(PrEP)로 쓰여서는 안된다.[18][19] 둘 중 어떠한 약을 PrEP로 사용하게 될 경우, 사용 이전에 HIV 양성 또는 음성 여부가 필수적으로 확인되어야 한다.[19][18] 추가적으로, 엠트리시타빈, 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 또는 테노포비르 알라페나마이드 중 어떠한 원료든지 알러지 또는 과민반응을 가진 경우 이러한 약제의 지속 복용이 금기된다. [19][18]

부작용

연구에 따르면, 노출 전 예방요법은 일부에 대해서 부작용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복용자에 대해서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사람들은 구역감, 두통, 또는 위장 증상을 동반하는 "복용 시작 신드롬"을 동반하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PrEP 복용 수주 내에 자연스럽게 해소된다.[20][2] 일부 연구에 따르면 PrEP로 Truvada를 사용할 경우 경등도에서 중등도의 신기능 저하가 나타나는데, 이는 대부분 당뇨 또는 사구체 여과율이 90이하와 같이 잠재적 위험도가 있는 50세 이상의 집단과 관련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1][22] [18]이러한 신기능 저하는 약물 복용 이후 수주 이후에 안정화되므로 크게 염려할 필요가 없으며, 약물을 복용을 중지할 경우 다시 정상적으로 회복된다. [23][24]하지만, 이러한 부작용은 PrEP를 시행하는 몇몇 사람들에게 Truvada를 포함한 비슷한 약물 제조사에게 소송을 제기할만큼 심각하게 나타나기도 하였다.[25][26][27]


임상연구에서는 골연화증 또는 골 손실과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었다.[28][29] 골 손실 자체는 미미하며, 약물로 인한 골 손실이 골다공증으로 이어지지 않기에 이와 같은 부작용은 약물에 대한 주 염려 대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29] 대조군과 약물 복용군을 비교하였을 때 골절에 대하여 두 군간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29]


HIV 치료를 위해 항바이러스 요법을 복용하는 개인들에게서 지방 재분포와 지방 축적이 골 손실에 비해 더 많은 빈도로 관찰되었는데, 이는 특히 옛 항바이러스 약물을 복용 대상자에게 더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30] 노출 전 예방 요법으로 약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2018년 2월 이후로 지방 재분배 또는 지방의 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HIV 음성인 경우에 노출 전 예방 요법으로 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를 사용할 경우 지방 재분포 또는 지방 축적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31] 2018년 현재로써 이 연구들은 약물을 PrEP로 사용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지방 재분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평가하지는 않았으며, 일시적이긴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체중 변화가 체 내 약물 농도의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32]


Truvada의 다른 위험한 부작용으로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자의 B형 간염의 급성 악화와, 젖산 산증, 그리고 심각한 간비대와 지방증이 있다.[18]


Descovy의 경우에도 "복용 시작 신드롬"은 Truvada와 비슷한 증상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일부 자료에서는 Descovy가 신장 기능이나 골다공증 환자의 복용 측면에서는 더 우수하다고 나타내고 있다. [33]


기재된 경고

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조합은 복용 중단시 B형 간염의 급성 악화를 가져올 수 있기에, 이 조합으로 이루어진 Truvada와 Descovy 모두 미국 FDA에서 부여하는 블랙-박스 경고문을 동봉한다. 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조합의 약물은 HIV 양성인 사람에게 노출 전 예방 요법으로 사용할 경우 이 조합에 대한 HIV 내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약물을 노출 전 예방 요법으로 적절하게 지속 복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검사를 통해 HIV 감염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18][19]

참고문헌

  1. “Pre-Exposure Prophylaxis”. 《HIV.gov》. 2019년 12월 3일. 2020년 8월 3일에 확인함. 
  2. US Public Health Service. “Preexposure prophylaxis for the prevention of HIV infection in the United States - 2014” (PDF).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 2018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5일에 확인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CDCGuidelines"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 “Effectiveness of Prevention Strategies to Reduce the Risk of Acquiring or Transmitting HIV”.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 2019년 11월 12일. 2019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2월 9일에 확인함. 
  4. WHO. “WHO implementation tool for pre-exposure prophylaxis (PrEP) of HIV infection: module 6: pharmacists (Report).”. 
  5. FDA. “FDA approves second drug to prevent HIV infection as part of ongoing efforts to end the HIV epidemic”. 
  6. “National Policies and Guidelines for PrEP”. 《PrEP Watch》. 2017년 12월 5일에 확인함. 
  7. “HIV Preexposure Prophylaxis: A Review”. 《JAMA》 319 (12): 1261–1268. March 2018. doi:10.1001/jama.2018.1917. PMID 29584848. 
  8. “Pre-Exposure Prophylaxis (PrEP) | HIV Risk and Prevention | HIV/AIDS | CDC”. 《www.cdc.gov》. 2020년 6월 4일. 2020년 7월 30일에 확인함. 
  9. Ryan, Benjamin (2017년 2월 16일). “PrEP Fails in a Third Man, But This Time HIV Drug Resistance Is Not to Blame”. Poz. 2017년 12월 15일에 확인함. 
  10. “Diagnosis of primary HIV-1 infection. Los Angeles County Primary HIV Infection Recruitment Network”.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4 (1): 25–9. January 2001. doi:10.7326/0003-4819-134-1-200101020-00010. PMID 11187417. 
  11. “Pre-exposure Prophylaxis for the Prevention of HIV Infection in the United States – 2017 Updat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PDF).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2. “Preexposure Prophylaxis for the Prevention of HIV Infection: Evidence Report and Systematic Review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JAMA》 321 (22): 2214–2230. June 2019. doi:10.1001/jama.2019.2591. PMID 31184746. 
  13. “Recent advances in pre-exposure prophylaxis for HIV”. 《BMJ》 359: j5011. December 2017. doi:10.1136/bmj.j5011. PMC 6020995. PMID 29229609. 
  14. What's the 2+1+1? Event-driven oral pre-exposure prophylaxis to prevent HIV for men who have sex with men: Update to WHO's recommendation on oral PrEP.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HO/CDS/HIV/19.8). Licence: CC BY-NC-SA 3.0 IGO.
  15. “Preventing HIV During Pregnancy And Breastfeeding in the Context of PrEP” (PDF). 《WHO Technical Brief》: 16. 2017. 
  16. “Consolidated guidelines on the use of antiretroviral drug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HIV infec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17. “Pre-Exposure Prophylaxis for HIV Prevention in Women: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Drugs》 79 (12): 1263–1276. August 2019. doi:10.1007/s40265-019-01143-8. PMID 31309457. 
  18. “TRUVADA- emtricitabine and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tablet, film coated”. 《Dailymed》. 
  19. Dailymed. “DESCOVY- emtricitabine and tenofovir alafenamide tablet”. 
  20. Celum, Connie L. (2011년 12월). “HIV preexposure prophylaxis: new data and potential use”. 《Topics in Antiviral Medicine》 19 (5): 181–185. ISSN 2161-5853. PMC 6148898. PMID 22298887. 
  21. Ascher, Simon B.; Scherzer, Rebecca; Estrella, Michelle M.; Shigenaga, Judy; Spaulding, Kimberly A.; Glidden, David V.; Mehrotra, Megha L.; Defechereux, Patricia; Gandhi, Monica (2020년 4월 1일). “HIV preexposure prophylaxis with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emtricitabine and changes in kidney function and tubular health”. 《AIDS (London, England)》 34 (5): 699–706. doi:10.1097/QAD.0000000000002456. ISSN 1473-5571. PMC 7071971. PMID 31794523. 
  22. Marcus, Julia L.; Hurley, Leo B.; Hare, Charles Bradley; Nguyen, Dong Phuong; Phengrasamy, Tony; Silverberg, Michael J.; Stoltey, Juliet E.; Volk, Jonathan E. (2016년 12월 15일). “Preexposure Prophylaxis for HIV Prevention in a Large Integrated Health Care System: Adherence, Renal Safety, and Discontinuation”. 《Journal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s (1999)》 73 (5): 540–546. doi:10.1097/QAI.0000000000001129. ISSN 1944-7884. PMC 5424697. PMID 27851714. 
  23. “New research at CROI 2016: How PrEP changes kidney function”. 
  24. Zhou, Huan-Xiang (2008년 11월 5일). “The debut of PMC Biophysics”. 《PMC Biophysics》 1 (1). doi:10.1186/1757-5036-1-1. ISSN 1757-5036. 
  25. “41 HIV and PrEP Patients File California Personal Injury Lawsuit Over Gilead’s TDF-Based Drugs”. 
  26. “AHF Calls on Gilead to Set Up $10 Billion Fund for Victims Harmed by its TDF-based Drugs”. 
  27. “A question of timing: A lawsuit claims Gilead Sciences could have developed a less-harmful version of its HIV treatment sooner”. 
  28. Grigsby, Iwen F.; Pham, Lan; Mansky, Louis M.; Gopalakrishnan, Raj; Carlson, Ann E.; Mansky, Kim C. (2010년 3월 26일). “Tenofovir treatment of primary osteoblasts alters gene expression profiles: implications for bone mineral density los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94 (1): 48–53. doi:10.1016/j.bbrc.2010.02.080. ISSN 1090-2104. PMC 2847063. PMID 20171173. 
  29. Kasonde, Michael; Niska, Richard W.; Rose, Charles; Henderson, Faith L.; Segolodi, Tebogo M.; Turner, Kyle; Smith, Dawn K.; Thigpen, Michael C.; Paxton, Lynn A. (2014). “Bone mineral density changes among HIV-uninfected young adults in a randomised trial of pre-exposure prophylaxis with tenofovir-emtricitabine or placebo in Botswana”. 《PloS One》 9 (3): e90111. doi:10.1371/journal.pone.0090111. ISSN 1932-6203. PMC 3953113. PMID 24625530. 
  30. “Changes to Your Face and Body (Lipodystrophy, Wasting and Weight Gain)”. 
  31. “PrEP does not raise lipids or alter body fat, safety study finds”. 
  32. “Truvada as HIV PrEP not associated with net fat increase”. 
  33. “Side-by-side comparison: Truvada and Descovy for Pr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