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V 백신 개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Zenitz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19번째 줄: 19번째 줄:




=== HIV의 구조 ===
[[File:HIV_structure_cycle_zh.png|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HIV_structure_cycle_zh.png|섬네일|HIV structure cycle zh]]
바이러스의 외피의 [[항원 결정기|항원결정기]](epitopes)들은 다른 많은 바이러스의 상피보다 더 가변적입니다. 더욱이 gp120 단백질의 기능적으로 중요한 항원결정기들은 [[글리코실화]], [[트리머화]], 수용체 매개 구조변화에 의해 가려져 중성화 항체로는 차단하기 어렵습니다. 이전에 개발된 백신의 비효율성은 주로 두 가지 관련 요인에서 기인합니다.

* 첫째, HIV는 변이성이 매우 강합니다. 면역체계가 주는 선택적 압력에 빠르게 반응하는 바이러스의 능력 때문에, 바이러스 개체수는 전형적으로 적응성 면역체계의 두 주요 과정인, 즉 채액성(항체 매개)와 세포(T세포에 의해 매개됨) 면역을 피할 수 있도록 진화한다.<ref name="pmid17912361">{{cite journal|title=Design and pre-clinical evaluation of a universal HIV-1 vaccine|journal=PLOS ONE|date=October 2007|editor1-last=Nixon|editor1-first=Douglas|volume=2|issue=10|pages=e984|bibcode=2007PLoSO...2..984L|doi=10.1371/journal.pone.0000984|pmc=1991584|pmid=17912361|vauthors=Létourneau S, Im EJ, Mashishi T, Brereton C, Bridgeman A, Yang H, Dorrell L, Dong T, Korber B, McMichael AJ, Hanke T}}</ref>

2021년 6월 6일 (일) 02:26 판

HIV 바이러스 백신 개발 과정

HIV 백신은 예방용 백신이나 치료용 백신이 될 수 있습니다. 백신은 HIV 에 감염되지 않도록 개인을 보호하거나 HIV에 감염된 개인을 치료하는 역할을 합니다. 백신은 HIV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거나 HIV바이러스에 대항해서 형성된 항체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1] 현재 시중에 허가받은 HIV 백신은 없지만, 여러 연구 프로젝트들이 효과적인 백신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에게서 관찰된 증거는 백신이 가능하다는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HIV에 감염된 일부 사람들은 자연적으로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광범위한 중화 항체들을 생산하며, 이 사람들은 수십 년 동안 무증상 상태를 유지합니다. 잠재적으로 광범위하게 중화되는 항체들이 실험실에서 복제되었고(단일 항체) 예방접종 임상시험에서 시험 되고 있습니다. 많은 실험에서 효과가 없었습니다. 단 HIV 백신 치료제인 RV 144는 태국의 일부 사람들에서 HIV를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 1981년 이후 에이즈 관련 사망자 수가 3500만 명을 넘어섰기에 HIV백신 찾기가 급해졌습니다.[3] 2002년에는 아프리카에서 에이즈가 전염병으로 사망하는 첫번째 원인이 됐습니다.[4]

백신을 대체하는 의학적 치료법이 존재합니다. HIV 감염자의 치료를 위해, HAART(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는 HIV 감염자에게 건강 향상, 수명 증가, 빈혈 관리, 자손 과 배우자에게 전염 예방 등 많은 혜택을 제공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HAART는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중단 없이 평생 동안 복용해야 하며, 그리고 HIV 자체를 치료할 수 없습니다. HIV 감염되지 않은 개인들이 HIV 감염 예방을 위한 옵션으로는 안전한 성생활(예: 콘돔 사용), 항레트로바이러스 전략(노출 전 예방 및 노출 후 예방)[5] 및 의료 남성 할례 등이 있습니다.[6] 백신 접종은 다른 질병들을 퇴치하는 강력한 공중 보건 도구로 증명되었고, HIV 백신은 일반적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고 아마도 HIV 대유행을 중단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생각되어집니다. 하지만, HIV는 백신의 도전적인 목표로 남아있습니다.

백신개발의 어려움

1984년 미국 국립보건원과 파스퇴르 연구소의 과학자들이 에이즈의 생물학적 요인을 확인한 후, 미국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nd the Pasteur Institute 장관 마거릿 헤클러는 2년 안에 백신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선언했다.[7] 그러나 다른 바이러스에는 성공하는 고전적인 백신 방식인 바이러스성 외피 단백질을 인식해 적응면역을 촉진하는 방법은 HIV에는 효과가 없었습니다. 많은 요소들이 HIV 백신의 개발을 다른 전형적인 백신들과 다르게 만듭니다.[8]

  • 전통적인 백신은 감염에서 회복된 개인에서 보듯이 재감염에 대한 자연적인 면역력을 모방합니다; 회복된 에이즈 환자는 거의 없습니다.[citation needed]
  • 대부분의 백신은 감염으로부터가 아니라 질병으로부터 보호합니다; HIV 감염은 에이즈를 유발하기 전에 오랫동안 잠복해 있을 수 있습니다.
  • 대부분의 효과적인 백신은 완전히 죽이거나 살아있는 약해진 유기체들입니다. ; 죽은 HIV-1은 항원성을 유지하지 못하더라도 살아있는 레트로바이러스 백신을 사용하는 것은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있습니다.


HIV의 구조

HIV structure cycle zh

바이러스의 외피의 항원결정기(epitopes)들은 다른 많은 바이러스의 상피보다 더 가변적입니다. 더욱이 gp120 단백질의 기능적으로 중요한 항원결정기들은 글리코실화, 트리머화, 수용체 매개 구조변화에 의해 가려져 중성화 항체로는 차단하기 어렵습니다. 이전에 개발된 백신의 비효율성은 주로 두 가지 관련 요인에서 기인합니다.

  • 첫째, HIV는 변이성이 매우 강합니다. 면역체계가 주는 선택적 압력에 빠르게 반응하는 바이러스의 능력 때문에, 바이러스 개체수는 전형적으로 적응성 면역체계의 두 주요 과정인, 즉 채액성(항체 매개)와 세포(T세포에 의해 매개됨) 면역을 피할 수 있도록 진화한다.[9]
  1. Gray, Glenda E; Laher, Fatima; Lazarus, Erica; Ensoli, Barbara; Corey, Lawrence (2016년 4월). “Approaches to preventative and therapeutic HIV vaccines”. 《Current Opinion in Virology》 17: 104–109. doi:10.1016/j.coviro.2016.02.010. ISSN 1879-6257. 
  2. “The Moon Landing of HIV Vaccine Research: RV144, Ten Years Later”. 
  3. Blackham, J (2004년 7월 8일). “2004 update on the global AIDS epidemic from UNAIDS”. 《Weekly releases (1997–2007)》 8 (28). doi:10.2807/esw.08.28.02501-en. ISSN 9999-1233. 
  4. Blackham, J (2004년 7월 8일). “2004 update on the global AIDS epidemic from UNAIDS”. 《Weekly releases (1997–2007)》 8 (28). doi:10.2807/esw.08.28.02501-en. ISSN 9999-1233. 
  5. “1 October New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영어) 55 (7): i–ii. 2012년 10월 1일. doi:10.1093/cid/cis674. ISSN 1058-4838. 
  6. Gray, Glenda E.; Laher, Fatima; Doherty, Tanya; Abdool Karim, Salim; Hammer, Scott; Mascola, John; Beyrer, Chris; Corey, Larry (2016년 3월 2일). “Which New Health Technologies Do We Need to Achieve an End to HIV/AIDS?”. 《PLOS Biology》 (영어) 14 (3): e1002372. doi:10.1371/journal.pbio.1002372. ISSN 1545-7885. 
  7. Shilts, Randy (1987). 《And the Band Played On: Politics, People, and the AIDS Epidemic》 2007판. St. Martin's Press. 451쪽. ISBN 978-0-312-24135-3. 
  8. Fauci AS (1996). “An HIV vaccine: breaking the paradigms”. 《Proc. Am. Assoc. Phys.》 108 (1): 6–13. PMID 8834058. 
  9. Létourneau S, Im EJ, Mashishi T, Brereton C, Bridgeman A, Yang H, Dorrell L, Dong T, Korber B, McMichael AJ, Hanke T (October 2007). Nixon D, 편집. “Design and pre-clinical evaluation of a universal HIV-1 vaccine”. 《PLOS ONE》 2 (10): e984. Bibcode:2007PLoSO...2..984L. doi:10.1371/journal.pone.0000984. PMC 1991584. PMID 17912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