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자의식: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13번째 줄: 13번째 줄:
갖도록 생물학적으로 설계되는지 의문이 있다.
갖도록 생물학적으로 설계되는지 의문이 있다.
There are questions regarding what part of the [[brain]] allows us to be self-aware and how we are biologically programmed to be self-aware. [[라마찬드란]](Vilayanur S. Ramachandran)은 [[거울뉴런]](mirror neuron)이 자의식의 신경학적 기반을 제공한다고 추측한다.<ref>{{cite book |author1 = Oberman, L. | author2 = Ramachandran, V.S. |chapter = Reflections on the Mirror Neuron System: Their Evolutionary Functions Beyond Motor Representation | editor = Pineda, J.A. |title= Mirror Neuron Systems: The Role of Mirroring Processes in Social Cognition |url = https://archive.org/details/mirrorneuronsyst00pine |url-access = limited | publisher = Humana Press |year= 2009 |pages= [https://archive.org/details/mirrorneuronsyst00pine/page/n49 39]–62 |isbn= 978-1-934115-34-3}}</ref> [[엣지기금]](Edge Foundation)을 위해 작성한 2009년 에세이에서, 라마찬드란은 자신의 이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또한 나는 이러한 뉴런들이 타인의 행동을 모방할 뿐만 아니라 당신이 갖고 있는 초기 두뇌 처리 과정에 대한 2차표상(second-order representations) 혹은 메타표상(meta-representations)들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안으로/내면으로(inward) 구부러질 수 있다고 본다. 이는 [[내성]](introspection)의 신경 기반이자, 자의식과 타의식(other-awareness)의 상호성(reciprocity)에 대한 신경기반이 될 수 있다. 에중 무엇이 먼저 발달하는지에 대한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문제(chicken-or-egg question)'가 확실히 존재한다. 그러나... 핵심은 이 두 가지는 동시에 발달하는 것으로, 근대적 인간을 특징짓는 성숙한 자기표상(representation of self)을 만들어내도록 상호 강화한다는 것이다."<ref>{{cite web | author = Ramachandran, V.S. | title = Self Awareness: The Last Frontier, Edge Foundation web essay | url = http://www.edge.org/3rd_culture/rama08/rama08_index.html | date = January 1, 2009 | access-date = July 26, 2011}}</ref>
There are questions regarding what part of the [[brain]] allows us to be self-aware and how we are biologically programmed to be self-aware. [[라마찬드란]](Vilayanur S. Ramachandran)은 [[거울뉴런]](mirror neuron)이 자의식의 신경학적 기반을 제공한다고 추측한다.<ref>{{cite book |author1 = Oberman, L. | author2 = Ramachandran, V.S. |chapter = Reflections on the Mirror Neuron System: Their Evolutionary Functions Beyond Motor Representation | editor = Pineda, J.A. |title= Mirror Neuron Systems: The Role of Mirroring Processes in Social Cognition |url = https://archive.org/details/mirrorneuronsyst00pine |url-access = limited | publisher = Humana Press |year= 2009 |pages= [https://archive.org/details/mirrorneuronsyst00pine/page/n49 39]–62 |isbn= 978-1-934115-34-3}}</ref> [[엣지기금]](Edge Foundation)을 위해 작성한 2009년 에세이에서, 라마찬드란은 자신의 이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또한 나는 이러한 뉴런들이 타인의 행동을 모방할 뿐만 아니라 당신이 갖고 있는 초기 두뇌 처리 과정에 대한 2차표상(second-order representations) 혹은 메타표상(meta-representations)들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안으로/내면으로(inward) 구부러질 수 있다고 본다. 이는 [[내성]](introspection)의 신경 기반이자, 자의식과 타의식(other-awareness)의 상호성(reciprocity)에 대한 신경기반이 될 수 있다. 에중 무엇이 먼저 발달하는지에 대한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문제(chicken-or-egg question)'가 확실히 존재한다. 그러나... 핵심은 이 두 가지는 동시에 발달하는 것으로, 근대적 인간을 특징짓는 성숙한 자기표상(representation of self)을 만들어내도록 상호 강화한다는 것이다."<ref>{{cite web | author = Ramachandran, V.S. | title = Self Awareness: The Last Frontier, Edge Foundation web essay | url = http://www.edge.org/3rd_culture/rama08/rama08_index.html | date = January 1, 2009 | access-date = July 26, 2011}}</ref>

=== 신체 ===
신체 (자)의식(Bodily (self-)awareness)은 [[고유수용성감각]](proprioception)과 and [[심상]](visualization)과 관련 있다.

==== 건강 ====
보건 및 의학 분야에서, 신체의식은 다양한 내인감각(internal sensation)에 정확하게 초점을 맞추는 능력 전반을 나타내는 구성체이다. 고유수용성감각과 내부감각(interoception)은 다양한 감각을 의식적으로 인식하게 한다.<ref>{{cite journal |last1=Mehling |first1=Wolf E. |last2=Gopisetty |first2=Viranjini |last3=Daubenmier |first3=Jennifer |last4=Price |first4=Cynthia J. |last5=Hecht |first5=Frederick M. |last6=Stewart |first6=Anita |title=Body Awareness: Construct and Self-Report Measures |journal=PLOS ONE |date=19 May 2009 |volume=4 |issue=5 |pages=e5614 |doi=10.1371/journal.pone.0005614 |pmid=19440300 |pmc=2680990 |bibcode=2009PLoSO...4.5614M }}</ref> 고유수용성감각은 근육, 관절, 자세, 균형 감각에 집중하게 하지만, 내부감각은 심박 변동, 호흡, 폐 질환, 포만감 등 내부 장기의 감각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지나치게 예민한 신체의식(over-acute body-awareness), 덜 예민한 신체의식(under-acute body-awareness), 왜곡된 신체의식(distorted body-awareness)는 비만, 거식증(anorexia nervosa), 만성 관절염과 같은 장애나 질병에 나타나는 증상들이다.<ref>Body Awareness in Anorexia Nervosa: Disturbances in "Body Image" and "Satiety"</ref> 예를 들어, 거식증 환자는 포만감에 대한 인지가 왜곡되어 있다.

==== 인간 발달 ====
인간 발달에 있어 신체 자의식은 물리적 성질(physical property)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대상(other object)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물리적 대상(physical object)으로서 자신의 몸을 의식하는 것이다. 실험을 통해, 수개월 된 젖먹이 영아들도 자신들이 받은 고유수용성감각 정보와 시각 정보 사이의 관계를 의식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ref name="Moore & Mealiea 2007">{{cite journal |last1=Moore |first1=Chris |last2=Mealiea |first2=Jennifer |last3=Garon |first3=Nancy |last4=Povinelli |first4=Daniel J. |title=The Development of Body Self-Awareness |journal=Infancy |date=1 March 2007 |volume=11 |issue=2 |pages=157–174 |doi=10.1111/j.1532-7078.2007.tb00220.x }}</ref> 이는 일인칭 자의식(first-person self-awareness)이라 한다.

생후 18개월 정도가 되면, 아이들은 반영적 자의식(reflective self-awareness)을 개발하기 시작한다. 반향적 자의식은 신체적 자의식의 다음 단계로서 아이들은 반사된 모습이나 거울 및 사진 속 자신의 모습을 알아차리기 시작한다.<ref>{{cite journal |last1=Brownell |first1=Celia A. |last2=Zerwas |first2=Stephanie |last3=Ramani |first3=Geetha B. |title="So Big": The Development of Body Self-Awareness in Toddlers |journal=Child Development |date=September 2007 |volume=78 |issue=5 |pages=1426–1440 |doi=10.1111/j.1467-8624.2007.01075.x |pmid=17883440 |pmc=3351035 }}</ref> 신체적 자의식 단계를 통과하지 못한 아이들은 무언가에 비춰진 자신의 반영을 다른 아이로 인식하고 반응하여, 마치 얼굴을 맞대고 다른 누군가를 바라보고 있는 것처럼 행동한다. 반면에 이러한 자의식에 도달한 아이들은 자기가 자기 모습을 보는 것을 인지하여, 거울로 얼굴에 흙이 묻은 모습을 보면 자기 얼굴을 닦아낸다.

반영적 자의식 획득 직후, 아이는 자신의 신체에 대하여 다른 대상과 상호작용하고 다른 대상에 영향을 주기도 하는 물리적 대상으로서 시공간 내에서 인지하는 능력을 개발한다. 예를 들어, 담요 위에 놓여진 유아는 누군가에게 담요를 건너주라는 요청을 받으면 담요를 들 수 있도록 담요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을 안다.<ref name="Moore & Mealiea 2007"/> 이것은 신체적 자의식의 마지막 단계로서 대상적 자의식(objective self-awareness)이라고 한다.


== 각주 ==
== 각주 ==

2021년 4월 15일 (목) 20:04 판

화가와 구매자(The Painter and the Buyer) (1565).
피터 브뤼겔(Pieter Brueghel the Elder) 작품, 화가는 자화상을 그리는 것으로 보임.

자아철학(philosophy of self)에서, 자의식(self-awareness)은 자신의 인격(personality)이나 개별성(individuality)에 대한 경험이다.[1][2] 감각질(qualia) 내에서의 의식(consciousness)과 혼동해서는 안된다. 의식은 개인의 환경, 신체, 생활양식을 인식(awareness)하고 있는 상태이지만, 자의식은 그러한 인식을 알아차리고 있는 것이다.[3] 자의식은 개인이 의식적으로 자신의 성격(character), 느낌, 동기, 욕구(desire)를 잘 알고 이해하는 방식이다. 자의식에는 크게 내적 자의식(internal self-awareness)과 외적 자의식(external self-awareness) 두 범주가 있다.[4]

신경생물학적 기반

개요

두뇌(brain) 중 어느 부위가 자의식을 깨우치게 하고 자의식을 갖게 하고 어떻게 자의식을 갖도록 생물학적으로 설계되는지 의문이 있다. There are questions regarding what part of the brain allows us to be self-aware and how we are biologically programmed to be self-aware. 라마찬드란(Vilayanur S. Ramachandran)은 거울뉴런(mirror neuron)이 자의식의 신경학적 기반을 제공한다고 추측한다.[5] 엣지기금(Edge Foundation)을 위해 작성한 2009년 에세이에서, 라마찬드란은 자신의 이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또한 나는 이러한 뉴런들이 타인의 행동을 모방할 뿐만 아니라 당신이 갖고 있는 초기 두뇌 처리 과정에 대한 2차표상(second-order representations) 혹은 메타표상(meta-representations)들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안으로/내면으로(inward) 구부러질 수 있다고 본다. 이는 내성(introspection)의 신경 기반이자, 자의식과 타의식(other-awareness)의 상호성(reciprocity)에 대한 신경기반이 될 수 있다. 에중 무엇이 먼저 발달하는지에 대한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문제(chicken-or-egg question)'가 확실히 존재한다. 그러나... 핵심은 이 두 가지는 동시에 발달하는 것으로, 근대적 인간을 특징짓는 성숙한 자기표상(representation of self)을 만들어내도록 상호 강화한다는 것이다."[6]

신체

신체 (자)의식(Bodily (self-)awareness)은 고유수용성감각(proprioception)과 and 심상(visualization)과 관련 있다.

건강

보건 및 의학 분야에서, 신체의식은 다양한 내인감각(internal sensation)에 정확하게 초점을 맞추는 능력 전반을 나타내는 구성체이다. 고유수용성감각과 내부감각(interoception)은 다양한 감각을 의식적으로 인식하게 한다.[7] 고유수용성감각은 근육, 관절, 자세, 균형 감각에 집중하게 하지만, 내부감각은 심박 변동, 호흡, 폐 질환, 포만감 등 내부 장기의 감각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지나치게 예민한 신체의식(over-acute body-awareness), 덜 예민한 신체의식(under-acute body-awareness), 왜곡된 신체의식(distorted body-awareness)는 비만, 거식증(anorexia nervosa), 만성 관절염과 같은 장애나 질병에 나타나는 증상들이다.[8] 예를 들어, 거식증 환자는 포만감에 대한 인지가 왜곡되어 있다.

인간 발달

인간 발달에 있어 신체 자의식은 물리적 성질(physical property)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대상(other object)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물리적 대상(physical object)으로서 자신의 몸을 의식하는 것이다. 실험을 통해, 수개월 된 젖먹이 영아들도 자신들이 받은 고유수용성감각 정보와 시각 정보 사이의 관계를 의식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9] 이는 일인칭 자의식(first-person self-awareness)이라 한다.

생후 18개월 정도가 되면, 아이들은 반영적 자의식(reflective self-awareness)을 개발하기 시작한다. 반향적 자의식은 신체적 자의식의 다음 단계로서 아이들은 반사된 모습이나 거울 및 사진 속 자신의 모습을 알아차리기 시작한다.[10] 신체적 자의식 단계를 통과하지 못한 아이들은 무언가에 비춰진 자신의 반영을 다른 아이로 인식하고 반응하여, 마치 얼굴을 맞대고 다른 누군가를 바라보고 있는 것처럼 행동한다. 반면에 이러한 자의식에 도달한 아이들은 자기가 자기 모습을 보는 것을 인지하여, 거울로 얼굴에 흙이 묻은 모습을 보면 자기 얼굴을 닦아낸다.

반영적 자의식 획득 직후, 아이는 자신의 신체에 대하여 다른 대상과 상호작용하고 다른 대상에 영향을 주기도 하는 물리적 대상으로서 시공간 내에서 인지하는 능력을 개발한다. 예를 들어, 담요 위에 놓여진 유아는 누군가에게 담요를 건너주라는 요청을 받으면 담요를 들 수 있도록 담요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을 안다.[9] 이것은 신체적 자의식의 마지막 단계로서 대상적 자의식(objective self-awareness)이라고 한다.

각주

  1. Google def: Self-awareness is the ability to focus on yourself and how your actions, thoughts, or emotions do or don't align with your internal standards. If you're highly self-aware, you can objectively evaluate yourself, manage your emotions, align your behavior with your values, and understand correctly how others perceive you.May 11, 2018
  2. “Self-awareness - Definition of Self-awareness by Merriam-Webster”. 
  3. Jabr, Ferris (2012). “Self-Awareness with a Simple Brain”. 《Scientific American Mind》 23 (5): 28–29. doi:10.1038/scientificamericanmind1112-28. 
  4. “What Self-Awareness Really Is (and How to Cultivate It)”. 《Harvard Business Review》. 2018년 1월 4일. 2018년 3월 6일에 확인함. 
  5. Oberman, L.; Ramachandran, V.S. (2009). 〈Reflections on the Mirror Neuron System: Their Evolutionary Functions Beyond Motor Representation〉. Pineda, J.A. 《Mirror Neuron Systems: The Role of Mirroring Processes in Social Cognition》. Humana Press. 39–62쪽. ISBN 978-1-934115-34-3. 
  6. Ramachandran, V.S. (2009년 1월 1일). “Self Awareness: The Last Frontier, Edge Foundation web essay”. 2011년 7월 26일에 확인함. 
  7. Mehling, Wolf E.; Gopisetty, Viranjini; Daubenmier, Jennifer; Price, Cynthia J.; Hecht, Frederick M.; Stewart, Anita (2009년 5월 19일). “Body Awareness: Construct and Self-Report Measures”. 《PLOS ONE》 4 (5): e5614. Bibcode:2009PLoSO...4.5614M. doi:10.1371/journal.pone.0005614. PMC 2680990. PMID 19440300. 
  8. Body Awareness in Anorexia Nervosa: Disturbances in "Body Image" and "Satiety"
  9. Moore, Chris; Mealiea, Jennifer; Garon, Nancy; Povinelli, Daniel J. (2007년 3월 1일). “The Development of Body Self-Awareness”. 《Infancy》 11 (2): 157–174. doi:10.1111/j.1532-7078.2007.tb00220.x. 
  10. Brownell, Celia A.; Zerwas, Stephanie; Ramani, Geetha B. (September 2007). "So Big": The Development of Body Self-Awareness in Toddlers”. 《Child Development》 78 (5): 1426–1440. doi:10.1111/j.1467-8624.2007.01075.x. PMC 3351035. PMID 17883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