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문근융해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16번째 줄:
'''횡문근융해증'''({{llang|en|Rhabdomyolysis}})은 손상된 [[골격근]]이 빠르게 분해되는 질환이다.<ref name=AFP2002>{{cite journal | vauthors = Sauret JM, Marinides G, Wang GK | title = Rhabdomyolysis | journal = American Family Physician | volume = 65 | issue = 5 | pages = 907–12 | date = March 2002 | pmid = 11898964 }}</ref> 증상으로는 [[근육통]], 무기력, [[구토]], [[정신착란]] 등이 있을 수 있다.<ref name=AFP2002/><ref name=CritCare2005/> 또한 [[차 (음료)|차]]색 소변이나 [[부정맥]]이 있을 수 있다.<ref name=AFP2002/> 단백질 [[미오글로빈]]과 같은 근육을 파괴하는 제품들 중 일부는 [[신장]]에 해로우며 급성 신부전을 초래할 수 있다.<ref name=AFP2002/>
'''횡문근융해증'''({{llang|en|Rhabdomyolysis}})은 손상된 [[골격근]]이 빠르게 분해되는 질환이다.<ref name=AFP2002>{{cite journal | vauthors = Sauret JM, Marinides G, Wang GK | title = Rhabdomyolysis | journal = American Family Physician | volume = 65 | issue = 5 | pages = 907–12 | date = March 2002 | pmid = 11898964 }}</ref> 증상으로는 [[근육통]], 무기력, [[구토]], [[정신착란]] 등이 있을 수 있다.<ref name=AFP2002/><ref name=CritCare2005/> 또한 [[차 (음료)|차]]색 소변이나 [[부정맥]]이 있을 수 있다.<ref name=AFP2002/> 단백질 [[미오글로빈]]과 같은 근육을 파괴하는 제품들 중 일부는 [[신장]]에 해로우며 급성 신부전을 초래할 수 있다.<ref name=AFP2002/>


근육 손상은 [[크러시 증후군]], 격렬한 운동, [[의약품]] 또는 {{임시링크|약물남용|en|Substance abuse}}으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ref name=AFP2002/> 다른 원인으로는 [[감염]], [[감전]], 열사병, 장기간 부동화, {{임시링크|급성하지허혈|en|cute limb ischaemia}}, [[사교상]] 등이 있다.<ref name=AFP2002/>
근육 손상은 [[크러시 증후군]], 격렬한 운동, [[의약품]] 또는 {{임시링크|약물남용|en|Substance abuse}}으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ref name=AFP2002/> 다른 원인으로는 [[감염]], [[감전]], 열사병, 장기간 부동화, {{임시링크|급성하지허혈|en|cute limb ischaemia}}, [[사교상]] 등이 있다.<ref name=AFP2002/> 어떤 사람들은 횡문근융해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근육이 [[유전]]되었다.<ref name=AFP2002/> 진단은 혈액에 양성인 {{임시링크|뇨진단 검사지|en|Urine test strip}}에 의해 진단되지만, [[조직학|현미경으로 검사]]했을땐 소변에 [[적혈구]]가 있지 않다.<ref name=AFP2002/> [[혈액 검사]]에서 1,000 U/L 이상의 {{임시링크|크레아틴키나아제|en|Creatine kinase}}가 발견되었으며, 중증 질환은 5,000 U/L 이상이다.<ref name=Cha2016>{{cite journal | vauthors = Chavez LO, Leon M, Einav S, Varon J | title = Beyond muscle destruction: a systematic review of rhabdomyolysis for clinical practice | journal = Critical Care | volume = 20 | issue = 1 | pages = 135 | date = June 2016 | pmid = 27301374 | pmc = 4908773 | doi = 10.1186/s13054-016-1314-5 }}</ref>


== 각주 ==
== 각주 ==

2020년 10월 29일 (목) 22:22 판

횡문근융해증
횡문근융해증 환자의 소변으로 마이오글로빈뇨(영어판)의 특징인 갈색이 나타난다.
발음
진료과중환자의학(영어판), 신장학
증상근육통, 무기력, 구토, 정신착란, 색 소변, 부정맥[3][4]
합병증급성 신부전, 고칼륨혈증, 저칼슘혈증, 파종성 혈관 내 응고, 파종성 혈관 내 응고[3]
병인압박 증후군, 과격한 운동, 의약품, 약물남용, 특정 감염[3]
진단 방식혈액 검사 (크레아틴키나아제(영어판)), 뇨진단 검사지(영어판)[3][5]
치료정맥 주사, 인공투석, 혈액여과(영어판)[3][4]
빈도연간 26,000 (미국 기준)[3]

횡문근융해증(영어: Rhabdomyolysis)은 손상된 골격근이 빠르게 분해되는 질환이다.[3] 증상으로는 근육통, 무기력, 구토, 정신착란 등이 있을 수 있다.[3][4] 또한 색 소변이나 부정맥이 있을 수 있다.[3] 단백질 미오글로빈과 같은 근육을 파괴하는 제품들 중 일부는 신장에 해로우며 급성 신부전을 초래할 수 있다.[3]

근육 손상은 크러시 증후군, 격렬한 운동, 의약품 또는 약물남용으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3] 다른 원인으로는 감염, 감전, 열사병, 장기간 부동화, 급성하지허혈(영어판), 사교상 등이 있다.[3] 어떤 사람들은 횡문근융해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근육이 유전되었다.[3] 진단은 혈액에 양성인 뇨진단 검사지(영어판)에 의해 진단되지만, 현미경으로 검사했을땐 소변에 적혈구가 있지 않다.[3] 혈액 검사에서 1,000 U/L 이상의 크레아틴키나아제(영어판)가 발견되었으며, 중증 질환은 5,000 U/L 이상이다.[5]

각주

  1. “Rhabdomyolysis”. 《메리엄-웹스터 사전》. 
  2. “Rhabdomyolysis”. 《Dictionary.com》. 랜덤하우스. 
  3. Sauret JM, Marinides G, Wang GK (March 2002). “Rhabdomyolysis”. 《American Family Physician》 65 (5): 907–12. PMID 11898964. 
  4.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CritCare2005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5. Chavez LO, Leon M, Einav S, Varon J (June 2016). “Beyond muscle destruction: a systematic review of rhabdomyolysis for clinical practice”. 《Critical Care》 20 (1): 135. doi:10.1186/s13054-016-1314-5. PMC 4908773. PMID 2730137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