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가시아메바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리듬 (토론 | 기여)
리듬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16번째 줄:
}}
}}


'''가시아메바과'''(Acanthamoebidae)는 [[아메바류]]에 속하는 [[단세포 생물|단세포]] [[진핵생물]] 과이다.<ref>Sawyer, T.K.; Griffin, J.L. 1975: A proposed new family, Acanthamoebidae n. fam. (order Amoebida), for certain cyst-forming filose Amoebae.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icroscopical Society, 94 (1): 93–98.</ref><ref>{{서적 인용|제목=한국의 동물 = Animals of Korea |저자=정완호, 최진복, 이현주 |출판사=생명공학연구소 |연도=1999}}</ref> 가장 잘 알려진 종은 [[가시아메바속]]에 속하는 종이다.
'''가시아메바과'''(Acanthamoebidae)는 [[아메바류]]에 속하는 [[단세포 생물|단세포]] [[진핵생물]] 과이다.<ref>Sawyer, T.K.; Griffin, J.L. 1975: A proposed new family, Acanthamoebidae n. fam. (order Amoebida), for certain cyst-forming filose Amoebae.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icroscopical Society, 94 (1): 93–98.</ref><ref>{{서적 인용|제목=한국의 동물 = Animals of Korea |저자=정완호, 최진복, 이현주 |출판사=생명공학연구소 |연도=1999}}</ref> 가장 잘 알려진 종은 [[가시아메바속]]에 속하는 종이다. 많은 종류의 가시아메바류가 다양한 환경의 물과 토양에 널리 퍼져 있다.<ref name="e et al">{{저널 인용 |last=Edagawa|first=Akiko|author2=Akio Kimura|author3=Takako Kawabuchi-Kurata|author4=Yashiro Kusuhara|author5= Panagio Karanis|title=Isolation and Genotyping of Potentially Pathogenic Acanthamoeba and Naegleria Species from Tap-water Sources in Osaka, Japan |저널=Parasitology Research |year=2009 |volume=105|issue=4|pages=1109–1117|doi=10.1007/s00436-009-1528-4|pmid=19565268}}</ref>


== 하위 속 ==
== 하위 속 ==

2020년 7월 22일 (수) 13:29 판

가시아메바과
가시아메바속 종
가시아메바속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문: 아메바문
아문: 엽상근족충아문
강: 디스코사강
목: Centramoebida
과: 가시아메바과
(Acanthamoebidae)
  • 본문 참조

가시아메바과(Acanthamoebidae)는 아메바류에 속하는 단세포 진핵생물 과이다.[1][2] 가장 잘 알려진 종은 가시아메바속에 속하는 종이다. 많은 종류의 가시아메바류가 다양한 환경의 물과 토양에 널리 퍼져 있다.[3]

하위 속

각주

  1. Sawyer, T.K.; Griffin, J.L. 1975: A proposed new family, Acanthamoebidae n. fam. (order Amoebida), for certain cyst-forming filose Amoebae.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icroscopical Society, 94 (1): 93–98.
  2. 정완호, 최진복, 이현주 (1999). 《한국의 동물 = Animals of Korea》. 생명공학연구소. 
  3. Edagawa, Akiko; Akio Kimura; Takako Kawabuchi-Kurata; Yashiro Kusuhara; Panagio Karanis (2009). “Isolation and Genotyping of Potentially Pathogenic Acanthamoeba and Naegleria Species from Tap-water Sources in Osaka, Japan”. 《Parasitology Research》 105 (4): 1109–1117. doi:10.1007/s00436-009-1528-4. PMID 19565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