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157: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학습자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4번째 줄: 14번째 줄:
}}
}}


'''O-157'''(읽는 법: 오-일오칠, [[영어]]:''Escherichia coli'' O157:H7)은 [[혈청형]] [[박테리아]] 종이고, 시가 독성을 가진 [[대장균]]이다. [[멸균]]이 되지 않은 우유나 익지 않은 갈은 소고기를 포함해서 오염된 날 음식을 통해서 생기는 식품 매개 질병의 원인균이다.<ref>{{저널 인용|제목=Microbe Profile: Escherichia coli O157:H7 - notorious relative of the microbiologist's workhorse|저널=Microbiology (Reading, England)|성=Gally|이름=David L.|성2=Stevens|이름2=Mark P.|url=https://www.ncbi.nlm.nih.gov/pubmed/28218576|날짜=01 2017|권=163|호=1|출판사=|쪽=1–3|doi=10.1099/mic.0.000387|issn=1465-2080|pmid=28218576}}</ref><ref>{{저널 인용|제목=Enterohaemorrhagic Escherichia coli in human medicine|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IJMM|성=Karch|이름=Helge|성2=Tarr|이름2=Phillip I.|url=https://www.ncbi.nlm.nih.gov/pubmed/16238016|날짜=2005-10|권=295|호=6-7|쪽=405–418|doi=10.1016/j.ijmm.2005.06.009|issn=1438-4221|pmid=16238016|성3=Bielaszewska|이름3=Martina}}</ref> 이 유형의 병원성 박테리아에 감염되면, 3~4일의 잠복기를 거쳐 출혈성 설사와 복통 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신부전증이나 뇌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대부분의 전염은 오염된 생잎 채소, 덜 익힌 고기나 생 우유의 유통을 통해 발생한다.<ref>{{웹 인용|url=https://www.cdc.gov/ecoli/outbreaks.html|제목=Reports of Selected E. coli Outbreak Investigations / E. coli|성=CDC|이름=|날짜=2020-02-26|웹사이트=|출판사=|언어=en-us|확인날짜=2020-04-28}}</ref>
'''O-157'''(오일오칠)은 [[1996년]] [[일본]]에서 8,000여 명의 환자가 발생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한 병원성 [[대장균]]으로, 햄버거, 우유, 주스, 소생간 등의 오염된 음식물을 통해 감염되어 [[식중독]]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O-157균에 의한 식중독에 걸리면 3~4일간의 잠복기를 거쳐 설사, 복통 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신부전증이나 뇌장애를 일으킨다.

== 징후 및 증상 ==
O-157의 감염은 종종 심한 급성 출혈성 설사와 복부 경련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열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으며, 질병은 5~10일 내에 해결된다.<ref>{{저널 인용|제목=Management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neonatal and pediatric gastroenteritis|저널=Infection and Drug Resistance|성=Ciccarelli|이름=Simona|성2=Stolfi|이름2=Ilaria|url=https://www.ncbi.nlm.nih.gov/pubmed/24194646|날짜=2013-10-29|권=6|쪽=133–161|doi=10.2147/IDR.S12718|issn=1178-6973|pmc=3815002|pmid=24194646|성3=Caramia|이름3=Giuseppe}}</ref> 때로는 무증상일 수 있다.<ref>{{저널 인용|제목=The asymptomatic bacteriuria Escherichia coli strain 83972 outcompetes uropathogenic E. coli strains in human urine|저널=Infection and Immunity|성=Roos|이름=Viktoria|성2=Ulett|이름2=Glen C.|url=https://www.ncbi.nlm.nih.gov/pubmed/16369018|날짜=2006-01|권=74|호=1|쪽=615–624|doi=10.1128/IAI.74.1.615-624.2006|issn=0019-9567|pmc=1346649|pmid=16369018|성3=Schembri|이름3=Mark A.|성4=Klemm|이름4=Per}}</ref>

5세 미만의 어린이나 면역력이 손상된 사람 및 노인의 경우 감염으로 인해 적혈구가 파괴되어 신장 기능이 일부 정지되는 용혈성 요독 증후군(HUS)이 발생할 수 있다. 감염자의 약 2-7%가 합병증을 유발한다.

== 감염 경로 ==
O-157은 오염된 음식이나 오염된 물 또는 오염된 물질의 표면과 [[구강]] 접촉으로 인해 감염될 수 있다. 주된 경로로 익지 않은 소고기와 잎이 많은 채소와 생우유를 들 수 있다. 밭은 물을 주는 관개 과정이나 자연적으로 토양에 유입되는 오염된 물을 통해 박테리아에 오염된다.<ref>{{웹 인용|url=https://www.cnn.com/2018/05/02/health/e-coli-lettuce-explainer/index.html|제목=Why deadly E. coli loves leafy greens|성=CNN|이름=Susan Scutti|확인날짜=2020-04-28}}</ref> 오염된 밭의 채소가 잘 씻지 않은 채로 섭취되면 감염이 될 수 있는 것이다.

== 치료 ==

* 대증치료 : 수분공급 및 전해질 교정(지사제 투여는 권장치 않음)
* 항생제 요법 : [[시프로플록사신]], 코트리목사졸, [[암피실린]] 등의 항생제를 투여해볼 수 있으나 효과자체에 대해 논란이 있음
* 급성신부전 : 혈액 투석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전히 회복이 될 수 있다.<ref>{{웹 인용|url=https://www.busan.go.kr/nbnews/123160|제목=장출혈성대장균(대장균O157)을 예방합시다. : 부산소식 : 새소식 : 공지사항 : 부산광역시|확인날짜=2020-04-28}}</ref>
<br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2020년 4월 28일 (화) 22:51 판

O157:H7
O-157의 전자현미경 사진
진료과감염내과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O-157(읽는 법: 오-일오칠, 영어:Escherichia coli O157:H7)은 혈청형 박테리아 종이고, 시가 독성을 가진 대장균이다. 멸균이 되지 않은 우유나 익지 않은 갈은 소고기를 포함해서 오염된 날 음식을 통해서 생기는 식품 매개 질병의 원인균이다.[1][2] 이 유형의 병원성 박테리아에 감염되면, 3~4일의 잠복기를 거쳐 출혈성 설사와 복통 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신부전증이나 뇌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대부분의 전염은 오염된 생잎 채소, 덜 익힌 고기나 생 우유의 유통을 통해 발생한다.[3]

징후 및 증상

O-157의 감염은 종종 심한 급성 출혈성 설사와 복부 경련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열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으며, 질병은 5~10일 내에 해결된다.[4] 때로는 무증상일 수 있다.[5]

5세 미만의 어린이나 면역력이 손상된 사람 및 노인의 경우 감염으로 인해 적혈구가 파괴되어 신장 기능이 일부 정지되는 용혈성 요독 증후군(HUS)이 발생할 수 있다. 감염자의 약 2-7%가 합병증을 유발한다.

감염 경로

O-157은 오염된 음식이나 오염된 물 또는 오염된 물질의 표면과 구강 접촉으로 인해 감염될 수 있다. 주된 경로로 익지 않은 소고기와 잎이 많은 채소와 생우유를 들 수 있다. 밭은 물을 주는 관개 과정이나 자연적으로 토양에 유입되는 오염된 물을 통해 박테리아에 오염된다.[6] 오염된 밭의 채소가 잘 씻지 않은 채로 섭취되면 감염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치료

  • 대증치료 : 수분공급 및 전해질 교정(지사제 투여는 권장치 않음)
  • 항생제 요법 : 시프로플록사신, 코트리목사졸, 암피실린 등의 항생제를 투여해볼 수 있으나 효과자체에 대해 논란이 있음
  • 급성신부전 : 혈액 투석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전히 회복이 될 수 있다.[7]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Gally, David L.; Stevens, Mark P. (01 2017). “Microbe Profile: Escherichia coli O157:H7 - notorious relative of the microbiologist's workhorse”. 《Microbiology (Reading, England)》 163 (1): 1–3. doi:10.1099/mic.0.000387. ISSN 1465-2080. PMID 28218576. 
  2. Karch, Helge; Tarr, Phillip I.; Bielaszewska, Martina (2005년 10월). “Enterohaemorrhagic Escherichia coli in human medicine”.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IJMM》 295 (6-7): 405–418. doi:10.1016/j.ijmm.2005.06.009. ISSN 1438-4221. PMID 16238016. 
  3. CDC (2020년 2월 26일). “Reports of Selected E. coli Outbreak Investigations / E. coli” (미국 영어). 2020년 4월 28일에 확인함. 
  4. Ciccarelli, Simona; Stolfi, Ilaria; Caramia, Giuseppe (2013년 10월 29일).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neonatal and pediatric gastroenteritis”. 《Infection and Drug Resistance》 6: 133–161. doi:10.2147/IDR.S12718. ISSN 1178-6973. PMC 3815002. PMID 24194646. 
  5. Roos, Viktoria; Ulett, Glen C.; Schembri, Mark A.; Klemm, Per (2006년 1월). “The asymptomatic bacteriuria Escherichia coli strain 83972 outcompetes uropathogenic E. coli strains in human urine”. 《Infection and Immunity》 74 (1): 615–624. doi:10.1128/IAI.74.1.615-624.2006. ISSN 0019-9567. PMC 1346649. PMID 16369018. 
  6. CNN, Susan Scutti. “Why deadly E. coli loves leafy greens”. 2020년 4월 28일에 확인함. 
  7. “장출혈성대장균(대장균O157)을 예방합시다. : 부산소식 : 새소식 : 공지사항 : 부산광역시”. 2020년 4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