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대동맥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acidem547 (토론 | 기여)
새 문서: {{Infobox medical condition (new) | name = 복부대동맥류(Abdominal aortic aneurysm) | image = AneurysmAortaWithArrows.jpg | caption = Computed tomo...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차이 없음)

2017년 11월 22일 (수) 10:06 판

복부대동맥류(Abdominal aortic aneurysm)
다른 이름Triple-A
세 개의 하얀 화살표는 복부 대동맥의 확대를 가리킨다.
CT 복부 대동맥류 재건 사진 (하얀 화살표)
진료과혈관 수술
증상없거나, 배와 등과 다리의 고통[1][2]
예방금연, 위험인자치료[1]
치료수술 (Open aortic surgery
빈도~5% (65세 이상의 남성)[1]

복부대동맥류 (abdominal aortic aneurysm AAA or triple A)[6] 는 복부동맥이 직경 3cm보다 크게 확장되거나 평소보다 50%이상 확장된 증상이다.[1] 혈관이 파열되기 전까지 별다른 증상이 없다.[1] 종종 복부와 등, 그리고 다리에 고통이 발생할 수 있다.[2] 큰 동맥류는 때때로 복부를 밀기 때문에 느껴질 수 있다. [2] Rupture may result in pain in the abdomen or back, low blood pressure, or loss of consciousness, and often results in death.[1][7]

복부대동맥류는 가족력이 존재하는 50세 이상의 남성에게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1] 가족력 이외의 발병원인에는 흡연, 고혈압, 혹은 다른 심혈관 질병.[3] Marfan syndrome 이나 Ehlers-Danlos syndrome를 가지고 있는 환자의 발병 확률이 높다.[4] 복부대동맥류는 대동맥류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4] 이 질병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금연이다.[1] 심혈관 질병의 치료에 관심을 기울이거나 고혈압의 치료, 정상 체중의 유지가 복부대동맥류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전형적인 현대인의 만성질환이다. [1] 복부대동맥의 직경이 남성의 경우 5.5cm, 여성의 경우 5cm를 넘었거나 1년에 1cm이상의 급격한 직경 확장이 발생할 경우 수술을 시행한다.[1] 개방 수술 치고는 낮은 위험성과 증상이 빨리 호전되기 때문에 입원기간이 짧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다. ref name=Kent2014/>[8][9]

복부대동맥류는 65세 이상의 남성의 2~8%가 발병한다. [1] 여성의 비율은 1/4에 불과하다. [1] 동맥류가 5.5cm 미만인 환자는 내년에 파열 위험이 1 % 미만입니다.[1] 동맥류가 5.5 ~ 7 cm 인 경우 위험은 약 10 % 인 반면, 동맥류가 7 cm 이상인 경우 위험은 약 33 %입니다.[1] 복부대동맥이 파열된다면 치사율을 85~90%입니다.[1] 2013 년 동안 대동맥 동맥류는 1990 년에 10 만명에서 168,200 명이 사망했다. [5][10]

  1. Kent KC (2014년 11월 27일). “Clinical practice. Abdominal aortic aneurysm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1 (22): 2101–8. doi:10.1056/NEJMcp1401430. PMID 25427112. 
  2. Upchurch GR, Schaub TA (2006). “Abdominal aortic aneurysm”. 《Am Fam Physician》 73 (7): 1198–204. PMID 16623206. 
  3. Wittels K (November 2011). “Aortic emergencies.”.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29 (4): 789–800, vii. doi:10.1016/j.emc.2011.09.015. PMID 22040707. 
  4.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CDC2014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5. GBD 2015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2016년 10월 8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459–1544.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C 5388903. PMID 27733281. 
  6. Logan, Carolynn M.; Rice, M. Katherine (1987). 《Logan's Medical and Scientific Abbreviations》. Philadelphia: J. B. Lippincott Company. 3쪽. ISBN 0-397-54589-4. 
  7. Spangler R, Van Pham T, Khoujah D, Martinez JP (2014). “Abdominal emergencies in the geriatric patient.”.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7 (1): 43. doi:10.1186/s12245-014-0043-2. PMC 4306086. PMID 25635203. 
  8. Thomas DM, Hulten EA, Ellis ST, Anderson DM, Anderson N, McRae F, Malik JA, Villines TC, Slim AM (2014). “Open versus Endovascular Repair of Abdominal Aortic Aneurysm in the Elective and Emergent Setting in a Pooled Population of 37,781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SRN cardiology》 2014: 149243. doi:10.1155/2014/149243. PMC 4004021. PMID 25006502. 
  9. Biancari F, Catania A, D'Andrea V (November 2011). “Elective endovascular vs. open repair for abdominal aortic aneurysm in patients aged 80 years and olde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opean Journal of Vascular and Endovascular Surgery》 42 (5): 571–6. doi:10.1016/j.ejvs.2011.07.011. PMID 21820922. 
  10. GBD 2013 Mortality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2014년 12월 17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385 (9963): 117–71. doi:10.1016/S0140-6736(14)61682-2. PMC 4340604. PMID 25530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