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담도운동실조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질병 정보 | 이름 = 담도운동실조증 | 그림 = | 그림설명 = | 질병DB = 12297 | ICD10 = {{ICD10|K|82|8|k|80}}...
(차이 없음)

2017년 3월 14일 (화) 14:25 판

담도운동실조증
진료과위장병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담도운동실조증(膽道運動失調症, biliary dyskinesia은 소화계통의 담도 부분의 일부 성분에 관련한 질병으로, 쓸개즙이 물리적으로 쓸개길을 따라 올바른 방향으로 가지 못한다.

치료

담낭의 운동 장애로 인한 것이라면 복강경단일공법 담낭 절제술을 사용하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1]

증상은 담낭 절제술 이후에 남아있을 수 있으며,[2] 양성자펌프억제제의 사용과 관련이 있다.[3]

접골 요법의 치료, 325 밀리그램의 경구용 마그네슘 보충, 소화 효소의 사용은 일찍이 개선을 유도하였다.[4]

각주

  1. Haricharan RN, Proklova LV, Aprahamian CJ, 외. (June 2008).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for biliary dyskinesia in children provides durable symptom relief”. 《J. Pediatr. Surg.》 43 (6): 1060–1064. doi:10.1016/j.jpedsurg.2008.02.032. PMID 18558183. 
  2. Geiger TM (May 2008). “Prognostic indicators of quality of life after cholecystectomy for biliary dyskinesia”. 《Am Surg》 74 (5): 1364–1367. PMID 18481495. 
  3. Cahan MA (Sep 2006). “Proton pump inhibitors reduce gallbladder function”. 《Surg. Endosc.》 20 (9): 1364–1367. doi:10.1007/s00464-005-0247-x. PMID 16858534. 
  4. Heineman, Katherine (2014). “Osteopathic Manipulative Treatment in the Management of Biliary Dyskinesi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Osteopathic Association》 114 (2): 129–133. doi:10.7556/jaoa.2014.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