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파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aroonyam (토론 | 기여)
"Autophagy" 문서를 번역하여 만듦
(차이 없음)

2016년 10월 4일 (화) 10:59 판

(A) 자가소화작용 도표; (B) 초파리 애벌레에서 지방조직안의 자가소화 작용의 전자현미경 사진; (C) 굶주린 쥐의 간 세포에서 형광표지된 자가소화포(autophagosomes).

자가소화작용(Autophagy 또는 autophagocytosis)( 그리스어 auto-,"자신의" phagein,"먹다")은 조절과정에서 불필요하거나 기능하지 않는 세포 구성성분을 해체하는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파괴 기제이다.[1]

자가소화작용은 세포 구성 요소의 파괴와 재활용에 질서를 제공한다.[1] 이 과정 동안, 대상 세포질 구성 성분은 세포내의 다른 성분들과는 격리되어 이중막에 둘러싸이는데, 이를 자가소화체라 한다. 자가소화체는 그 이후 라이소좀과 융합합하고 내용물들은 분해되어 재활용된다.[2] 세 가지 형태의 자가소화작용(autophagy)이 일반적으로 언급된다 : 거대자가포식(macroautophagy), 미세자가포식(microautophagy), 그리고 샤프론(chaperone)매개 자가포식이 있다.[3] 질병과 관련하여, 자가소화작용은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 반응으로 생존을 증진시키는 것이 관찰됐는데, 반면에 다른 경우에는 세포의 사멸과 질병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보인다.[2] 에극단적인 기아의 경우, 세포 구성성분의 파괴는 세포 에너지 수준을 낮추어 유지함으로써 세포 생존에 도움을 준다.

이름"autophagy"는 벨기에 생화학자  크리스티앙 드 뒤브 에 의해 1963 년에 명명되었다.[4] 1990년대부터 요시노리 오스미 에 의해 자가소화작용의 작용기작과 중요성이 설명되기 시작했고, 이를 통해 2016 년 노벨상  생리의학상 을 수상했다.[5]

References

  1. Kobayashi S (2015). “Choose Delicately and Reuse Adequately: The Newly Revealed Process of Autophagy”.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38 (8): 1098–103. doi:10.1248/bpb.b15-00096. PMID 26235572. 
  2. Patel AS; Lin L; Geyer A; 외. (2012). Eickelberg, Oliver, 편집. “Autophagy in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PLoS ONE》 7 (7): e41394. doi:10.1371/journal.pone.0041394. PMC 3399849. PMID 22815997. 
  3. “Involvement of autophagy in ovarian cancer: a working hypothesis”. 《J Ovarian Res》 5 (1): 22. September 2012. doi:10.1186/1757-2215-5-22. PMC 3506510. PMID 22974323. 
  4. Klionsky, DJ (2008). “Autophagy revisited: A conversation with Christian de Duve”. 《Autophagy》 4 (6): 740–3. doi:10.4161/auto.6398. PMID 18567941. 
  5.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16”. The Nobel Foundation. 2016년 10월 3일. 2016년 10월 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