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MIDI: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Replyone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출처 필요|날짜=2013-06-27}}
[[파일:NoteNamesFrequenciesAndMidiNumbers.svg|thumb|right|악보 이름과 미디 악보 숫자.]]
[[파일:NoteNamesFrequenciesAndMidiNumbers.svg|thumb|right|악보 이름과 미디 악보 숫자.]]
'''MIDI'''(미디)는 악기 디지털 인터페이스(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를 줄인 말로 [[전자 악기]]끼리 디지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각 신호를 규칙화한 일종의 규약이다. 다시 말해 악기와 컴퓨터, 악기와 악기끼리 주고받을 수 있는 언어와 통로의 신호 체계 표준이라 할 수 있다. 어떤 전자 악기(건반, [[신서사이저]], 모듈 등)가 이 표준에 따라 만들어졌다면, 그 전자 악기가 미디를 지원한다고 할 수 있다. 미디 안에는 업체별로 많은 규약들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일반 미디]](General MIDI), [[GS]] 등이 있다. 하지만 지금은 미디라는 용어 자체가 하나의 상품이나 제품의 이름처럼 사용되고 있다.
'''MIDI'''(미디)는 악기 디지털 인터페이스(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를 줄인 말로 [[전자 악기]]끼리 디지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각 신호를 규칙화한 일종의 규약이다. 다시 말해 악기와 컴퓨터, 악기와 악기끼리 주고받을 수 있는 언어와 통로의 신호 체계 표준이라 할 수 있다. 어떤 전자 악기(건반, [[신서사이저]], 모듈 등)가 이 표준에 따라 만들어졌다면, 그 전자 악기가 미디를 지원한다고 할 수 있다. 미디 안에는 업체별로 많은 규약들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일반 미디]](General MIDI), [[GS]] 등이 있다. 하지만 지금은 미디라는 용어 자체가 하나의 상품이나 제품의 이름처럼 사용되고 있다.

== 역사 ==
=== 초기 개발 ===
1981년 6월, [[롤랜드]]의 창립사 [[카케하시 이쿠타로]]는 [[오버하임 일렉트로닉스]]의 창립자 [[톰 오버하임]]에게 표준화의 개념을 제안하였고, 톰 오버하임은 [[시퀀셜 서킷]]의 사장 [[데이브 스미스]]에게 이 이야기를 전달하였다. 1981년 10월, 카케하시, 오버하임, 스미스는 [[야마하]], [[코르그]], [[카와이 악기 제작소|카와이]]의 대표들과 이 아이디어를 논하였다.<ref name="chadab5100"/>

시퀀셜 서킷의 엔지니어들과 신시사이저 디자이너인 데이브 스미스와 쳇 우드는 통일된 신시사이저 인터페이스를 고안해냈으며, 이 인터페이스는 각기 다른 제조업체들의 장비 간 직접 통신을 허용하였다. 1981년 11월 스미스는 이 표준을 [[오디오 엔지니어링 소사이어티]](AES) 쇼에 제안하였다.<ref name="Huber"/>{{rp|4|date=November 2012}} 그 뒤 2년이 지나, 이 표준이 논의되어 롤랜드, 야마하, 코르그, 카와이, 오버하임, 시퀀셜 서킷과 같은 회사들의 대표들에 의해 개정되었으며<ref name="Holmes" />{{rp|22|date=November 2012}}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로 이름이 변경되기에 이른다.<ref name="Huber"/>{{rp|4|date=November 2012}} MIDI의 개발은 [[로버트 묵]]이 1992년 10월 [[키보드 (잡지)|키보드]] 지에서 발표하였다.<ref name="Manning" />{{rp|276|date=November 2012}}

1983년 1월 겨울 [[NAMM 쇼]]에서 스미스는 그의 [[Sequential Circuits Prophet-5|Prophet 600]] 아날로그 신시사이저와 [[롤랜드 주피터-6|롤랜드 JP-6]]의 MIDI 연결을 시연할 수 있었다. 이 [[MIDI 1.0 프로토콜|MIDI 사양]]은 1983년 8월에 출판되었다.<ref name="chadab5100">{{저널 인용|last=Chadabe|first=Joel|authorlink=Joel Chadabe|date=1 May 2000|제목=Part IV: The Seeds of the Future|journal=Electronic Musician|publisher=Penton Media|volume=XVI|issue=5|url=http://www.emusician.com/gear/0769/the-electronic-century-part-iv-the-seeds-of-the-future/145415}}</ref> 이 MIDI 표준은 카케하시 이쿠타로와 데이브 스미스가 공개하였고, 나중에 이 두 사람은 MIDI 개발의 중요한 역할을 한 공로로 [[그래미 기술상]]을 2013년 받았다.<ref>http://www.grammy.com/news/technical-grammy-award-ikutaro-kakehashi-and-dave-smith</ref><ref>http://www.grammy.com/videos/technical-grammy-award-recipients-ikutaro-kakehashi-and-dave-smith-at-special-merit-awards</ref><ref>{{서적 인용|last1=Vail|first1=Mark|제목=The Synthesizer|date=2014|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location=New York|isbn=978-0-19-539481-8|page=56}}</ref>

=== 음악 산업에 미친 영향 ===
MIDI의 매력은 본래 팝 음악을 생산하기 위해 전자 악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로 국한되었다. 1983년 8월, 뉴 오더는 프로토타입 수준의 자체적 스텝 타임 바이너리 코드 프로그래밍과 단조로운 MIDI 연주로 기반한 상징적인 [[Blue Monday]]을 출시하였다.<ref>http://www.nme.com/blogs/nme-blogs/new-order-how-we-wrote-blue-monday</ref> 이 표준은 각기 다른 악기들이 다른 악기나 컴퓨터들과 소통할 수 있게 하였고, 전자 악기와 음악 소프트웨어의 판매와 생산을 빠르게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ref name="Holmes" />{{rp|21|date=November 2012}} 이러한 상호운용성은 하나의 장치가 다른 장치로부터 제어될 수 있게 하여, 음악인들이 소유하여야 하는 하드웨어의 용적을 줄일 수 있었다.<ref>{{저널 인용|last=Paul|first=Craner|제목=New Tool for an Ancient Art: The Computer and Music|journal=Computers and the Humanities|date=Oct 1991|volume=25|issue=5|pages=308–309|jstor=30204425|doi=10.1007/bf00120967}}</ref> MIDI의 도입, [[샘플러]]와 [[디지털 신시사이저]]의 도입은 [[개인용 컴퓨터의 역사|개인용 컴퓨터 시대]]와 결부되었다.<ref>Macan, Edward. ''Rocking the Classics: English Progressive Rock and the Countercultur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p.191</ref> The creative possibilities brought about by MIDI technology have been credited as having helped to revive the music industry in the 1980s.<ref>Shuker, Roy. ''Understanding Popular Music''. London: Routledge, 1994. p.286</ref>

MIDI는 음악가들이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킨 수많은 기능들을 도입하였다. [[뮤직 시퀀서|MIDI 시퀀싱]]은 기보 능력이 없는 사용자들이 복잡한 배치를 가능하게 하였다.<ref>Demorest, Steven M. ''Building Choral Excellence: Teaching Sight-Singing in the Choral Rehearsa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p. 17</ref> 가능한 적은 수의 한 두 명의 구성원들이 제각기 MIDI 기기들을 조작하는 음악적 행위는 훨씬 더 큰 그룹의 음악가들의 것과 비슷한 소리를 전달하였다.<ref>Pertout, Andrian. ''[http://www.pertout.com/Midi.htm Mixdown Monthly]'', #26. 26 June 1996. Web. 22 August 2012</ref> 특정 프로젝트를 위해 외부의 음악가들을 고용하는 비용을 줄이거나 제할 수 있었으며,<ref name="Huber"/>{{rp|7|date=November 2012}} 신시사이저가 키보드나 시퀀서와 통합된 만큼 시스템 상에서 복잡한 생산 단계는 완화될 수 있었다.

MIDI는 [[홈 레코딩]]을 도와주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전제작]]을 수행함으로써 예술가는 부분적으로 미리 완성된 작품을 가지고 녹음 스튜디오에 도착하여 녹음 비용을 줄일 수 있다.<ref name="Huber"/>{{rp|7–8|date=November 2012}} MIDI가 가능케 한 [[교육 기술]]은 [[음악 교육]]을 변화시켰다.<ref>Crawford, Renee. ''An Australian Perspective: Technology in Secondary School Music". ''Journal of Historical Research in Music Education''. Vol. 30, No. 2. Apr 2009. Print.</ref>

=== MIDI와 디지털 오디오의 대조 ===
MIDI에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디지털 오디오]]와 혼동할 수 있다. MIDI와 디지털 오디오 장비가 디지털 장비를 이용하여 여러 음악 채널을 녹음한다는 점에서 같은 일을 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 파일 형식 ==
== 파일 형식 ==
{{출처 필요 문단|날짜=2013-06-27}}
=== 표준 미디 파일 ===
=== 표준 미디 파일 ===
타이밍 정보를 포함한 미디 메시지는 나중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파일 시스템 상에 미디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는데, 이러한 미디 파일의 정식 명칭이 바로 '''표준 미디 파일'''(Standard MIDI File, '''SMF''')이다. SMF 규격은 MMA (MIDI Manufacturers Association)가 개발하고 관리하고 있다. 미디 파일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기반의 시퀀싱 소프트웨어(때로는 하드웨어 기반의 미디 악기 또는 워크스테이션)를 이용하여 만드는데, 미디 메시지를 하나 또는 독립적인 녹음 및 편집을 위한 여러 개의 출력으로 구성한다. 대부분의 시퀀서에서 각 출력은 특정 미디 채널 또는 특정 [[일반 미디]] 악기 패치에 할당된다. 현재의 미디 시퀀서 소프트웨어 대부분은 SMF 대신에 전용의 세션 [[파일 형식]]을 사용하지만, "다른 이름으로 저장(Save As...)" 하는 형태로 SMF 포맷을 지원한다.
타이밍 정보를 포함한 미디 메시지는 나중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파일 시스템 상에 미디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는데, 이러한 미디 파일의 정식 명칭이 바로 '''표준 미디 파일'''(Standard MIDI File, '''SMF''')이다. SMF 규격은 MMA (MIDI Manufacturers Association)가 개발하고 관리하고 있다. 미디 파일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기반의 시퀀싱 소프트웨어(때로는 하드웨어 기반의 미디 악기 또는 워크스테이션)를 이용하여 만드는데, 미디 메시지를 하나 또는 독립적인 녹음 및 편집을 위한 여러 개의 출력으로 구성한다. 대부분의 시퀀서에서 각 출력은 특정 미디 채널 또는 특정 [[일반 미디]] 악기 패치에 할당된다. 현재의 미디 시퀀서 소프트웨어 대부분은 SMF 대신에 전용의 세션 [[파일 형식]]을 사용하지만, "다른 이름으로 저장(Save As...)" 하는 형태로 SMF 포맷을 지원한다.
16번째 줄: 34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버스 (컴퓨팅)]]
* [[버스 (컴퓨팅)]]

== 각주 ==
{{각주}}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22번째 줄: 43번째 줄:
* [http://midiuser.net 미유넷]
* [http://midiuser.net 미유넷]


{{토막글|기술}}
{{컴퓨터 버스}}
{{컴퓨터 버스}}
{{토막글|기술}}


[[분류:전자 악기]]
[[분류:전자 악기]]

2016년 4월 9일 (토) 17:25 판

악보 이름과 미디 악보 숫자.

MIDI(미디)는 악기 디지털 인터페이스(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를 줄인 말로 전자 악기끼리 디지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각 신호를 규칙화한 일종의 규약이다. 다시 말해 악기와 컴퓨터, 악기와 악기끼리 주고받을 수 있는 언어와 통로의 신호 체계 표준이라 할 수 있다. 어떤 전자 악기(건반, 신서사이저, 모듈 등)가 이 표준에 따라 만들어졌다면, 그 전자 악기가 미디를 지원한다고 할 수 있다. 미디 안에는 업체별로 많은 규약들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일반 미디(General MIDI), GS 등이 있다. 하지만 지금은 미디라는 용어 자체가 하나의 상품이나 제품의 이름처럼 사용되고 있다.

역사

초기 개발

1981년 6월, 롤랜드의 창립사 카케하시 이쿠타로오버하임 일렉트로닉스의 창립자 톰 오버하임에게 표준화의 개념을 제안하였고, 톰 오버하임은 시퀀셜 서킷의 사장 데이브 스미스에게 이 이야기를 전달하였다. 1981년 10월, 카케하시, 오버하임, 스미스는 야마하, 코르그, 카와이의 대표들과 이 아이디어를 논하였다.[1]

시퀀셜 서킷의 엔지니어들과 신시사이저 디자이너인 데이브 스미스와 쳇 우드는 통일된 신시사이저 인터페이스를 고안해냈으며, 이 인터페이스는 각기 다른 제조업체들의 장비 간 직접 통신을 허용하였다. 1981년 11월 스미스는 이 표준을 오디오 엔지니어링 소사이어티(AES) 쇼에 제안하였다.[2]:4 그 뒤 2년이 지나, 이 표준이 논의되어 롤랜드, 야마하, 코르그, 카와이, 오버하임, 시퀀셜 서킷과 같은 회사들의 대표들에 의해 개정되었으며[3]:22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로 이름이 변경되기에 이른다.[2]:4 MIDI의 개발은 로버트 묵이 1992년 10월 키보드 지에서 발표하였다.[4]:276

1983년 1월 겨울 NAMM 쇼에서 스미스는 그의 Prophet 600 아날로그 신시사이저와 롤랜드 JP-6의 MIDI 연결을 시연할 수 있었다. 이 MIDI 사양은 1983년 8월에 출판되었다.[1] 이 MIDI 표준은 카케하시 이쿠타로와 데이브 스미스가 공개하였고, 나중에 이 두 사람은 MIDI 개발의 중요한 역할을 한 공로로 그래미 기술상을 2013년 받았다.[5][6][7]

음악 산업에 미친 영향

MIDI의 매력은 본래 팝 음악을 생산하기 위해 전자 악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로 국한되었다. 1983년 8월, 뉴 오더는 프로토타입 수준의 자체적 스텝 타임 바이너리 코드 프로그래밍과 단조로운 MIDI 연주로 기반한 상징적인 Blue Monday을 출시하였다.[8] 이 표준은 각기 다른 악기들이 다른 악기나 컴퓨터들과 소통할 수 있게 하였고, 전자 악기와 음악 소프트웨어의 판매와 생산을 빠르게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3]:21 이러한 상호운용성은 하나의 장치가 다른 장치로부터 제어될 수 있게 하여, 음악인들이 소유하여야 하는 하드웨어의 용적을 줄일 수 있었다.[9] MIDI의 도입, 샘플러디지털 신시사이저의 도입은 개인용 컴퓨터 시대와 결부되었다.[10] The creative possibilities brought about by MIDI technology have been credited as having helped to revive the music industry in the 1980s.[11]

MIDI는 음악가들이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킨 수많은 기능들을 도입하였다. MIDI 시퀀싱은 기보 능력이 없는 사용자들이 복잡한 배치를 가능하게 하였다.[12] 가능한 적은 수의 한 두 명의 구성원들이 제각기 MIDI 기기들을 조작하는 음악적 행위는 훨씬 더 큰 그룹의 음악가들의 것과 비슷한 소리를 전달하였다.[13] 특정 프로젝트를 위해 외부의 음악가들을 고용하는 비용을 줄이거나 제할 수 있었으며,[2]:7 신시사이저가 키보드나 시퀀서와 통합된 만큼 시스템 상에서 복잡한 생산 단계는 완화될 수 있었다.

MIDI는 홈 레코딩을 도와주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전제작을 수행함으로써 예술가는 부분적으로 미리 완성된 작품을 가지고 녹음 스튜디오에 도착하여 녹음 비용을 줄일 수 있다.[2]:7–8 MIDI가 가능케 한 교육 기술음악 교육을 변화시켰다.[14]

MIDI와 디지털 오디오의 대조

MIDI에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디지털 오디오와 혼동할 수 있다. MIDI와 디지털 오디오 장비가 디지털 장비를 이용하여 여러 음악 채널을 녹음한다는 점에서 같은 일을 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파일 형식

표준 미디 파일

타이밍 정보를 포함한 미디 메시지는 나중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파일 시스템 상에 미디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는데, 이러한 미디 파일의 정식 명칭이 바로 표준 미디 파일(Standard MIDI File, SMF)이다. SMF 규격은 MMA (MIDI Manufacturers Association)가 개발하고 관리하고 있다. 미디 파일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기반의 시퀀싱 소프트웨어(때로는 하드웨어 기반의 미디 악기 또는 워크스테이션)를 이용하여 만드는데, 미디 메시지를 하나 또는 독립적인 녹음 및 편집을 위한 여러 개의 출력으로 구성한다. 대부분의 시퀀서에서 각 출력은 특정 미디 채널 또는 특정 일반 미디 악기 패치에 할당된다. 현재의 미디 시퀀서 소프트웨어 대부분은 SMF 대신에 전용의 세션 파일 형식을 사용하지만, "다른 이름으로 저장(Save As...)" 하는 형태로 SMF 포맷을 지원한다.

SMF는 하나의 헤더 청크와 하나 이상의 출력 청크로 이루어져 있다. SMF 포맷에는 세 가지 다른 종류가 있는데, 해당 SMF 포맷에 대한 정보는 파일 헤더로부터 알아 낼 수 있다. 형식 0 파일은 단일 출력만 포함하며 단일 노래 연주를 표현한다. Format 1 파일은 여러 개의 출력을 포함하고 시퀀서 출력 구조의 보존이 가능하며, 단일 노래 연주를 표현할 수 있다. 형식 2 파일은 여러 개의 출력을 가지며 별도의 노래 연주를 표현할 수 있다. 일부 시퀀서는 이 형식 2를 지원하지 않는다. 이 SMF 파일들은 웹에서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보통 확장 이름으로 .mid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SMF 파일들은 GM 플레이어로 재생되는 것을 전제로 제작된다.

같이 보기

같이 보기

각주

  1. Chadabe, Joel (2000년 5월 1일). “Part IV: The Seeds of the Future”. 《Electronic Musician》 (Penton Media) XVI (5). 
  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Huber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3.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Holmes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4.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Manning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5. http://www.grammy.com/news/technical-grammy-award-ikutaro-kakehashi-and-dave-smith
  6. http://www.grammy.com/videos/technical-grammy-award-recipients-ikutaro-kakehashi-and-dave-smith-at-special-merit-awards
  7. Vail, Mark (2014). 《The Synthesize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6쪽. ISBN 978-0-19-539481-8. 
  8. http://www.nme.com/blogs/nme-blogs/new-order-how-we-wrote-blue-monday
  9. Paul, Craner (Oct 1991). “New Tool for an Ancient Art: The Computer and Music”. 《Computers and the Humanities》 25 (5): 308–309. doi:10.1007/bf00120967. JSTOR 30204425. 
  10. Macan, Edward. Rocking the Classics: English Progressive Rock and the Countercultur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p.191
  11. Shuker, Roy. Understanding Popular Music. London: Routledge, 1994. p.286
  12. Demorest, Steven M. Building Choral Excellence: Teaching Sight-Singing in the Choral Rehearsa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p. 17
  13. Pertout, Andrian. Mixdown Monthly, #26. 26 June 1996. Web. 22 August 2012
  14. Crawford, Renee. An Australian Perspective: Technology in Secondary School Music". Journal of Historical Research in Music Education. Vol. 30, No. 2. Apr 2009. Print.

바깥 고리